현대차그룹, '3세 체제' 가속화...세대교체 속 '완급조절' 정의선 회장 체제 두각 경영진·신성장동력 관련 임원 승진, 김용환·정진행 부회장 '용퇴'
김경태 기자공개 2020-12-16 08:15:08
이 기사는 2020년 12월 15일 16시4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임원인사를 단행하면서 미래사업 체제로 전환을 강조했다. 아울러 이번 인사를 통해 한세대가 물러나고 새로운 세대가 들어섰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정의선 회장 사람'으로 각인된 경영진들이 두각을 드러냈고 과거 정몽구 명예회장의 '가신'으로 불렸던 경영진은 일선에서 물러났다. 다만 일부 부회장은 인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완급 조절'을 했다는 평가도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2020년 하반기 임원인사를 발표했다. 신규 승진자 중 30%가 미래 신사업·신기술·R&D부문이다. 현대차는 급변하는 대내외 경영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미래 산업 생태계를 주도할 리더십 확보하는데 초점을 맞춘 인사라고 설명했다.
승진자 중 정 회장 체제에서 부각된 임원이 대거 포함됐다. 대표적인 인물이 현대차 대표이사로 올라선 장재훈 사장이다. 그는 2011년 현대글로비스에 상무로 합류한 뒤 승승장구했다. 정 회장의 경영 철학을 가장 잘 이해하는 임원으로 꼽힌다. 현재 경영지원본부장, 국내사업본부장, 제네시스사업본부장 3개 직책을 맡을 정도로 신뢰가 두텁다.
미래사업·기술 분야 승진자 중 가장 높은 직급인 신재원 도심항공모빌리티(UAM)사업부장도 마찬가지다. 그는 미 항공우주국(NASA) 서열 3위에 해당하는 항공연구총괄본부 본부장을 역임한 입지전적 인물이다. 정 회장이 삼고초려 끝에 조국으로 돌아왔다. 작년 9월 영입 후 약 1년만에 사장으로 승진시키며 '특급 대우'를 했다.
이밖에 부사장에서 사장으로 승진하면서 계열사 대표이사가 된 경영진도 정 회장 체제에서 부각된 인물이다. 조성환 현대모비스 전장BU·R&D부문장, 윤영준 현대건설 주택사업본부장은 각각 현재 몸담은 계열사의 수장으로 올라섰다. 정재욱 현대·기아차 구매본부장은 현대위아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아울러 과거 현대차그룹에서 주요 경영진으로 활약했던 인물들이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자연스럽게 세대교체가 이뤄졌다. 김용환 현대제철 부회장, 정진행 현대건설 부회장, 김경배 현대위아 사장, 박동욱 현대건설 사장, 서보신 현대차 사장이 고문으로 위촉됐다.
재계에서는 이 중 두 부회장의 고문 이동에 주목한다. 정 회장이 부회장이던 2010년 현대차그룹의 부회장단은 14명에 달했었다. 이중 현대차에 가장 많이 포진했다. 설영흥(중국사업총괄), 이정대(경영기획 담당), 윤여철(노무총괄담당), 최한영(상용사업본부 담당), 이현순(연구개발총괄본부 담당), 신종운(품질·생산개발 담당), 김용환(기획조정담당) 8명의 부회장이 있었다.
그 후 점차 부회장단은 한두명씩 일선에서 물러나기 시작했다. 정 회장이 수석부회장으로 올라선 2018년9월에는 부회장단 중 김용환·양웅철·권문식·우유철·윤여철·정태영 부회장 등 6명만 남았다. 그해 연말 양웅철·권문식 부회장이 고문으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정진행 사장이 부회장으로 승진하며 부회장단은 5명이 됐다.
작년말 우 부회장이 현대로템으로 이동한지 1년만에 용퇴했고 부회장단은 4명으로 줄었다. 이번에 김 부회장과 정 부회장이 물러나면서 현대차그룹 부회장단은 윤 부회장과 정태영 부회장 2명만 남게 됐다.
다만 정 부회장의 경우 정 회장의 매형이라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과거 부회장단 중 남은 인물은 윤 부회장 1명이다. 윤 부회장 역시 이번 인사를 앞두고 고문으로 퇴진과 유임 등 엇갈린 관측이 나왔다. 최고위층에서 결정을 내리는 만큼 함께 일하는 임직원들도 결과를 가늠하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현대차가 올 8월 노무관리 조직도 재정비한 점도 윤 부회장의 거취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됐다. 애초 정책개발팀과 정책기획팀에 상무급 임원 두 명이 있는 체제였다. 정책개발실을 만들어 두 팀을 조정할 컨트롤타워를 만들었다.
정책개발실장으로는 정책개발팀장을 맡던 정상빈 전무를 임명했다. 새로운 정책개발팀장으로는 박병훈 현대모비스 상무를 선임했다. 그는 과거에도 현대차에서 노무관리 업무에 경력을 쌓은 전문가다. 정책기획팀장은 이창근 상무가 계속 맡기로 했다.
정책개발실 사정에 밝은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인사에서 윤 부회장은 물론 정 전무, 박 상무, 이 상무의 직급과 직책에는 변화가 없다. 이는 최근 노사가 합심하는 성과를 거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현대차 노사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도 무분규로 임금교섭 합의를 했다. 2년 연속 무분규는 2009년~2011년 이후 역대 두 번째다.
결과적으로 윤 부회장이 자리를 지키면서 세대교체의 '완급 조절'을 하게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책개발실 사정에 밝은 그룹 관계자는 "윤 부회장은 권위적인 면이 없는 스타일이고 조직간 조정도 노련하다"며 "대외적으로 인맥도 넓고 내부에서는 정치를 하지 않는다는 점이 롱런의 비결로 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가족경영' 원일티엔아이, 이해관계자 리스크 공시 '눈길'
- [i-point]한성크린텍 최대주주, 자사주 매입 "성장 자신"
- [i-point]상장 추진 덕산넵코어스, 사상 최대 매출 달성
- [달바글로벌 road to IPO]반성연 대표 "5년내 키엘·이솝과 어깨 나란히 할 것"
- [i-point]TKENS, 제습제 캐파 증설 "글로벌 최대 전기차업체향 공급 확대 중"
- [VC 투자기업]리메세, 50억 시리즈A 유치…인도 유통 경쟁력
- 코오롱인베, 700억 기술혁신전문펀드 결성
- [VC 투자기업]매스프레소, 200억 매출 돌파…글로벌 확장 가속
- [VC 투자기업]위펀, 성장보다 내실 다지기 집중…IPO 몸 만들기 '착착'
- 인바이츠, 괌병원 인수 막바지…헬스케어 '생태계' 구축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그룹, 실트론 매각 추진 배경 '오너 지분 탓'
- [Company Watch]삼성메디슨, 소니오 시너지 가시화 '아직'
- [Company Watch]삼성전자, 실적 버팀목 MX…'노태문 직대' 힘실리나
- '파운드리 끈기' 삼성, 빅테크 영업에 'ARM 출신' 투입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