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해외법인 분석]기아, 미국 KMA·인도 KMI '두각'코로나19 악영향 불구 선전...조지아공장법인 대규모 적자
김경태 기자공개 2021-03-11 11:02:19
이 기사는 2021년 03월 09일 15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아는 연결 종속사로 23곳을 거느리고 있다. 모두 해외에 소재한 판매법인이거나 생산 거점이다. 이 중 주요 종속사로 분류하는 법인은 6개다. 작년 코로나19 위기로 역성장한 곳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흑자를 거두며 선방했다. 반면 미국 조지아공장법인(KMMG)는 유일하게 대규모 적자를 기록해 부진이 두드러졌다.9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기아의 연결 종속사 중 주요 기업 6곳의 작년 매출 단순합계는 39조7345억원이다. 전년보다 2.4% 감소했다. KMMG, 슬로바키아법인(KMS), 멕시코법인(KMM), 러시아법인(KMR) 4곳의 매출이 지난해보다 줄었다.
매출 감소 폭과 금액이 가장 컸던 법인은 KMM이다. 작년 3조8434억원으로 24.6% 줄었다. 금액으로는 1조2508억원이 감소했다. 부진은 코로나19 영향으로 공장이 원활이 돌아가지 못한 영향이 크다. 지난해 3분기 누적 생산실적은 14만3954대로 가동률은 53.9%다. 기아의 해외 생산거점 중 두번째로 가동률이 낮았다.
감소 금액 기준으로 KMM에 이어 매출이 부진한 곳은 KMS다. 전년보다 15.6%, 1조1399억원이 줄었다. 그다음은 KMR로 17.6%, 7629억원이 축소됐다. KMMG는 9.9%, 7014억원이 감소했다.

매출과 달리 주요 종속사 4곳의 당기순이익은 단순합계는 4248억원으로 13.2% 증가했다. 이는 KMA가 대규모 이익을 거둔 영향이 컸다. KMA의 작년 매출은 16조8264억원으로 5.2%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7223억원으로 28배 이상 급증했다.
기아의 새로운 효자로 불리는 KMI도 전체 이익 증대에 일조했다. 인도는 현대차그룹이 전략적으로 공을 들이는 지역이다. 현대차는 1996년 인도에 진출했다. 기아는 2017년 KMI를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현지에 진입했다. KMI는 2019년에 처음으로 주요 종속사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KMI의 작년 매출은 2조9532억원으로 전년보다 223.1% 늘었다. 금액으로는 2조392억원이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737억원으로 흑자로 돌아섰다. 인도공장의 작년 3분기 누적 가동률은 41.6%로 글로벌 거점 중 가장 낮았다.
하지만 현지 판매 돌풍을 일으으킨 덕분에 호실적이 가능했다. 작년 인도 도매 판매는 14만대로 210.7% 성장했다. 기아는 올해도 현지에서 성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올 인도 도매 판매량 목표는 18만대다. 지난해보다 28.1% 높은 수치다.
주요 종속사 중 이익에 가장 악영향을 끼친 곳은 KMMG다. 작년 당기순손실은 6157억원이다. 전년보다 4배 가까이 손실이 확대했다. 주요 종속사 6곳 중 유일하게 적자를 거뒀다. 조지아공장의 작년 3분기 누적 가동률은 59.5%다. 글로벌 생산기지 중 세번째로 낮은 수치다.
KMMG는 작년 대규모 당기순손실 탓에 재무안정성도 급격히 흔들렸다. 2019년말 부채비율은 254.4%였는데 작년말 3509.6%로 상승했다. 자본총계는 6949억원에서 854억원으로 감소했다.
반면 KMA는 대규모 당기순이익을 기반으로 부채비율이 1939.1%에서 564.1%로 낮아졌다. KMS와 KMR는 각각 80.4%, 93.1%로 100%를 하회했다. KMM은 416.1%, KMI는 302.3%를 나타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그룹, 실트론 매각 추진 배경 '오너 지분 탓'
- [Company Watch]삼성메디슨, 소니오 시너지 가시화 '아직'
- [Company Watch]삼성전자, 실적 버팀목 MX…'노태문 직대' 힘실리나
- '파운드리 끈기' 삼성, 빅테크 영업에 'ARM 출신' 투입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