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증&디테일]판타지오, 제2의 아스트로·위키미키 키운다①250억 조달 예고, 38.04% 자본잠식 개선…아이돌 보이·걸그룹 육성, 매출 편중 탈피
신상윤 기자공개 2021-04-02 09:17:52
[편집자주]
자본금은 기업의 위상과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대표 회계 지표다. 자기자금과 외부 자금의 비율로 재무건전성을 판단하기도 한다. 유상증자는 이 자본금을 늘리는 재무 활동이다. 누가, 얼마나,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근간이 바뀐다. 지배구조와 재무구조, 경영전략을 좌우하는 이벤트이기 때문이다. 더벨은 유상증자 추진 기업들의 투자위험 요소와 전략 내용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1년 03월 30일 15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엔터테인먼트 기업 '판타지오'가 주주 대상 자금 조달에 나섰다. 대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250억원을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특정 아티스트에 편중된 사업구조를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할 새로운 얼굴 발굴에 나설 예정이다. 조달 금액 가운데 90억원 이상을 투입해 K-한류 시장을 공략할 제2의 아스트로와 위키미키 육성이 목표다.코스닥 상장사 판타지오는 지난 26일 이사회를 열고 250억원 규모 주주 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이 주관사로 나선 이번 유상증자는 주주 배정 후 실권주를 일반 공모하는 방식이다. 일반 공모에서도 모집되지 않은 실권주는 이베스트투자증권이 전액 인수한다.
오는 6월2일 발행가액을 확정할 예정이다. 발행가액이 확정되면 같은달 4~7일 구주주 청약, 9~10일 일반 공모 절차를 밟는다. 신주 상장 예정일은 같은달 28일이다. 발행 예정인 신주는 2억5000만주다. 일반 공모 청약 진행에 이어 주관사 이베스트투자증권이 실권주를 전액 인수할 예정인 만큼 계획했던 자금 조달에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판타지오는 배우와 가수 등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와 음반 제작이 주요 매출원이다. 지난해 말 소속 아티스트는 31명이다. 그 외 데뷔하지 않은 신인 7명과 연습생 12명 등 총 50명이 소속돼 있다. 데뷔한 아티스트 중에는 아이돌 보이그룹 '아스트로'와 걸그룹 '위키미키' 등의 소속사로 잘 알려졌다.
그러나 지난해 기준 보이그룹 '아스트로'와 '옹성우', '차은우' 등이 전체 매출액 164억원 가운데 119억원(73%)을 책임지면서 특정 아티스트에 의존한다는 한계도 노출하고 있다. 세 아티스트에 편중돼 매출이 일어난다는 점은 2018년(51%)과 2019년(65%)에도 유사했다.
이는 엔터테인먼트 산업 특성상 아티스트와 계약 종료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업에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는 약점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 아스트로는 오는 2023년 2월, 옹성우과 위키미키는 오는 2024년 8월에 전속 계약이 종료된다.
이에 판타지오는 신인 아이돌 그룹 발굴과 드라마 제작사 인수 등 엔터테인먼트 사업 다각화에 힘을 실을 예정이다. 조달 자금 250억원 가운데 90억4500만원을 투자해 신인 아이돌 그룹을 데뷔시킬 계획이다.
제2의 아스트로와 위키미키 등을 발굴해 현재 특정 아티스트에 편중된 매출 구조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걸그룹은 오는 11월, 보이그룹은 내년 7월 데뷔가 목표다. 이와 관련 걸그룹에는 31억8000만원, 보이그룹에는 58억6500만원 투자가 계획돼 있다.
또 일부 자금으론 드라마 제작사를 인수해 소속 아티스트와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와 관련 드라마 제작사 인수에는 130억원을 사용할 예정이다.
판타지오 관계자는 "이번 유상증자는 드라마 제작사 인수와 신인 보이그룹, 걸그룹 육성을 목표로 한다"며 "미래아이앤지 등 계열사들과도 협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보험사 CSM 점검]삼성화재, 계리적 가정 변경 여파…물량 공세로 극복
- [금융사 KPI 점검/우리은행]정진완 행장 '개인·중기' 고객 증대에 영업력 집중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안건소위 편입 승인 논의 본격화, 관건은 '내부통제 개선'
- 우리카드, 감사위 재정비…'관 출신'으로 무게 실었다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한국캐피탈, 리테일 관리 모델 최적화…부도 위험 필터링 강화
- [애큐온은 지금]두 번의 대주주 교체, 인수합병 거쳐 복합금융그룹으로 성장
- 신한금융,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자산운용 사업 철수
- [금융지주사 조직 분석]신한금융지주에서 '부사장'이 되려면
- 키움증권, 카카오뱅크와 손잡고 투자자 저변 넓힌다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미스터아빠, 설립 5년만에 상장 준비 착수…청사진은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SK에코플랜트, 하이닉스발 수주 효과 '기대감'
- [디벨로퍼 리포트]엠디엠그룹, '서리풀·해운대' 앞두고 숨 고르기
- [이사회 분석]동신건설, 베일에 가린 오너3세 대표로 등장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삼성물산 건설부문, 수익성 견인한 공사비 협상력
- [디벨로퍼 리포트]빌더스개발원, 첫 매출 '이천 부발역 에피트' 촉진 관건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현대건설, 발주처 증액 협상 난이도 높아졌다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사업 다각화 성과 수익성 개선 효과로
- [thebell desk]삼호개발의 도전과 발전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지에이이노더스, '현대건설' 이탈 후 홀로서기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