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 분사·IPO 위한 '인내' '아직 돈 못 버는 사업' 인식, 김준 사장 "수익성 확신 가지고 진행"
박기수 기자공개 2021-07-05 09:47:47
이 기사는 2021년 07월 01일 14시4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이 단독 법인 분할과 함께 기업공개(IPO) 가능성도 내비치면서 분할과 IPO의 명확한 시점에 대해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SK이노베이션은 '제 가격을 받을 수 있을 때'라고 한 마디로 답했다.1일 SK이노베이션 '스토리 데이(Story Day)' 행사에서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배터리 사업에 대한 분사를 검토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지동섭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 대표 역시 사업부 분사나 IPO를 통한 자금 조달 시점에 대해 "되도록이면 빨리 했으면 좋겠다"며 업계의 기대감을 모았다.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 분사는 업계에서 예상해왔던 시나리오였다. 경영 효율성을 제고하고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서 분할을 통해 단독 법인으로 거듭날 것이라는 게 업계 추측이었다. 동종업계의 LG에너지솔루션도 작년 LG화학에서 물적 분할을 통해 단독 법인으로 거듭난 상태다.
다만 지금 당장 분사와 IPO를 추진할 수 있냐는 질문에 김 총괄사장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 총괄사장은 "밸류에이션을 제대로 인정받을 수 있는 시점에 IPO를 진행할 것"이라면서 "영업 전망에 대한 부분이 선제적으로 반영되겠지만 (실적에 대한) 확신을 시장에 보여주는 시점을 염두해두고 역산을 통해 분할 시점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밸류에이션을 측정하는 데 사업의 유망성 뿐만 아니라 당장 현재의 현금창출력 등도 고려하기 때문에 김 총괄사장의 발언은 분사·IPO 과정을 무리하게 밟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실제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은 생산 능력에서는 빠른 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아직 '돈을 버는 사업'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2019년과 작년 각각 3091억원, 4265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176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배터리 사업의 유망성만으로는 투자자들의 마음을 얻기 쉽지 않은 숫자다.

그렇다면 언제가 '적기'일까. SK이노베이션은 우선 올해 영업손익 흑자전환을 목표로 했다. 지동섭 대표는 "2022년부터 영업이익 흑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라면서 "2023년부터 영업이익이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2025년부터는 높은 한 자릿 수(High Single Digit)의 수익률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연내 흑자전환이 가능하다면 적어도 내년부터는 제대로 된 몸값 측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현재 추진하고 있는 증설 프로젝트의 완성도가 높아질 경우 몸값 측정에서 더욱 긍정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IPO를 추진 중인 LG에너지솔루션 역시 처음으로 흑자 전환을 이뤘던 시점이 작년 중순이었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사업부 분사는 김 총괄사장이 이야기 하기 전부터 사실상 예고됐던 일"이라면서 "적절한 밸류에이션을 인정받으면서도 투자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자금 조달이 적시에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
- [밸류업 성과 평가]HD현대일렉트릭, 밸류업 1위 영예…실적·주가 완벽 뒷받침
- [밸류업 성과 평가]코스닥 기업 80%가 TSR 마이너스, 밸류업 의지 절실
- [조선업 리포트]사업부에 힘 싣는 한화오션, 관료 출신 사외이사도 영입
- [밸류업 성과 평가]삼양식품, '불닭'이 만들어준 밸류업 1위 '기염'
- [밸류업 성과 평가]메리츠금융·카뱅만 PBR 1배 이상, 저PBR '고질병' 여전
- [밸류업 성과 평가]7할이 PBR 1배 미만, 갈길 먼 '기업가치 제고'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1년, 어디가 잘했나…지표로 분석하니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엔진, 영업익 8배 증가…수익성 제고 1위는 에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