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 서원주 CIO 재연임 수순 밟나 공개채용 절차 진행 안해, 최근 3년간 고수익률 유지
김경태 기자공개 2022-03-29 08:20:44
이 기사는 2022년 03월 28일 11:4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공무원연금공단 최고투자책임자(CIO)인 서원주 자금운용단 단장의 연임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임기 만료가 다가오고 있지만 신임 CIO를 선임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서 단장 부임 후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수익률을 거두고 있고 투자자산도 다변화한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28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공무원연금은 새로운 CIO를 선임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 이 사안에 밝은 관계자는 "공무원연금은 신임 CIO를 뽑을 때 2달 전 공개채용 공고를 낸다"며 "하지만 아직 별다른 움직임이 없어 내외부에서는 연임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서 단장은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88년 삼성생명보험에 입사해 뉴욕과 싱가포르 법인 등 해외 지점에서 경력을 쌓았다. 변액계정운용 부서장을 역임했다. 그 후 PCA생명(현 미래에셋생명) CIO를 지냈다. 그는 2019년 5월 공개채용 절차를 거쳐 공무원연금 CIO로 임명됐다. 2년 임기가 마무리된 뒤 작년에 1년 임기로 연임에 성공했다.

공무원연금은 서 단장이 취임한 뒤 최근 3년간 10% 안팎의 고수익률을 찍었다. 2018년에는 투자자산 수익률이 마이너스(-) 2.7%였다. 서 단장 취임 첫해인 2019년에 9.56%를 기록했다. 2020년에는 11.41%, 작년에는 9.7%를 기록했다.
자산별 수익률을 보면 대체투자 부문이 19.37%를 기록해 가장 높았다. 공무원연금의 대체투자부는 노승환 부장이 이끌고 있다. 국내외 모두 선전했다. 해외 사모투자펀드(PEF)의 평가이익이 늘었고, 국내 투자 기업의 활발한 기업공개(IPO)로 높은 수익을 냈다.
이 외에 주식 부문의 경우 해외 29.62%, 국내 5.76% 등 총 15.74%의 수익률을 달성했다. 국내외 채권자산은 -1.17%로 평가손실이다. 작년 글로벌 금리상승 영향을 받았다.
공무원연금이 투자자산 다변화를 이뤘다는 점도 서 단장 체제의 성과로 꼽힌다. 특히 대체투자부문에서 벤처캐피탈(VC), 해외 PEF, 해외 인프라 등으로 투자 영역을 넓히며 분산 투자를 통한 안정적인 자금 운용을 추구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에스엘바이오닉스, 수산화리튬 판매 사업 첫발
- 수확의 계절 맞은 신성이엔지, CE·RE 사업부 날개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두산건설, 최대주주 변경 후 재무개선 '눈길'
- 일레븐건설, 1조 유엔사부지 개발 승인 임박
- HDC현대산업개발, 첫 분양 앞두고 주가 꿈틀…경영 정상화 기대감
- [건설리포트]코오롱글로벌, 분할 앞두고 건설부문 성장세 '주춤'
- KH그룹, KLPGA 투어 '대학생 디자인 공모전' 개최
- 다올인베, 스케일업펀드 2000억 모았다
- [IPO 모니터]쏘카 주주들 ‘평가절하’ 수용...일등공신 '롯데렌탈'
- [VC 투자기업]급성장 오늘식탁, '정산시스템' 정비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신금투 참전' 사학연금 서울회관 입주 경쟁 격화
- 베이사이드PE, 윈저 M&A 클로징 사활 '전환점' 만드나
- 깐깐한 아폴로, 1년전부터 국내 파트너 평판 조사 '눈길'
- '특혜 논란 우려' 사학연금, 여의도 회관 공사비 증액 난색
- 콧대 높은 카무르PE, '천호엔케어 매각' 핀셋 마케팅 통할까
- 변동금리 택한 KKR, 'SK E&S 인수금융' 이자 부담 가중
- 물류센터 꽂힌 브룩필드, 업황 리스크 극복할까
- MBK, 메가스터디교육 고가 베팅 근거 '알짜 부동산'
- '대체투자 강화' 경찰공제회, 쌍용C&E LP 교체 딜 참여
- '세컨더리 강자' 골드만삭스, 쌍용C&E 장기 펀드 조성 '핵심 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