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진출 목표' H2O호스피탈리티, 최소 200억 투자유치 추진 대통령 UAE 방문 동행해 중동 지사 설립 발표, 무바달라와 협력 기대
김예린 기자공개 2023-02-01 08:05:59
이 기사는 2023년 01월 31일 12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디지털 숙박시설 위탁 운영사 H2O호스피탈리티(이하 H2O)가 수백억원 규모 투자금 유치에 나선다. 최근 중동 지사 설립 계획을 밝힌 만큼 투자 실탄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3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H2O는 해외 진출과 운용 자금 확보를 위해 투자자들과 접촉 중이다. 조달 규모는 최소 200억원으로 파악된다. 산업은행과 카카오인베스트먼트, 인터베스트 등 기존 투자자를 비롯해 일부 국내외 투자자가 검토에 나선 단계다. H2O가 일본과 동남아, 중동 등 글로벌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만큼 이번 라운드에서는 특히 해외 투자자 모집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펀딩은 아랍에미리트(UAE)를 거점 삼아 중동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H2O는 이달 윤석열 대통령 UAE 방문 당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해 중동 지사 설립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지난해 12월 국내 관광 관련 스타트업 최초로 아부다비 국부펀드(무바달라)의 예비 유니콘 지원 대상에 선정된 데 이은 행보다. 현재 무바달라와 함께 현지 법인 설립을 계획 중이다. 무바달라, 현지 기업들과 중동 지역 호텔들의 디지털 전환에 나선다는 청사진이다.

기존 누적 투자금은 480억원이다. 가장 최근에 마무리한 시리즈C 투자라운드에는 산업은행과 카카오인베스트먼트,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고릴라PE, 인도네시아 벤처캐피털(VC) 케조라캐피탈, 인터베스트, 나이스투자파트너스 등이 참여했고, 300억원을 투자했다. 기존 주주로는 삼성벤처투자, 스톤브릿지벤처스, IMM인베스트먼트 등이 있다.
비상장사를 향한 투심이 냉랭한 점은 변수다. IPO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재무적투자자(FI)들의 엑시트 창구가 막힌 탓이다. 재무제표로 수익성을 입증해내거나 압도적 점유율을 자랑하는 비상장사가 아닌 이상, 펀딩에 난항을 겪는 경우가 많다. H2O의 경우 중동 진출 등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힘입어 펀딩에 성공할 수 있을지 업계 관심이 쏠린다.
H2O 측은 “글로벌 투자자 위주로 펀딩 중인 건 사실”이라면서도 “규모나 투자자는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HD현대일렉 "수주잔고 상승, 분기별 매출 편차 축소"
- [GM·르노·KGM 생존기]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출시 효과' 실적 개선세
- [GM·르노·KGM 생존기]추가물량 배정받은 한국GM, 흑자행진 이어간다
- 이지스운용, 두산건설 논현사옥 5년 만에 판다
- 키웨스트운용, 주담대 펀드 주목 받는 이유
- 변동성 장세엔 KODEX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분배금도 우수
- 중국 주목하는 미래에셋운용, 테마형 ETF 출시 검토
- 해외 투자 여전히 강세…자문형랩도 활발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두산에너빌리티, '밥캣·베트남' 품고 배당수익 날아올랐다
- [CAPEX 톺아보기]현대글로비스, 1년 만에 300% 증액…탄탄한 재무 '뒷받침'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무신사에 꽂힌 IMM인베, 100억 추가 투자
- VIG파트너스, 마제스티골프 최대주주 올랐다
- 게임 개발사 '앤유', 최대 300억 투자유치 추진
- 이녹스리튬, 2500억 모은다…한투PE·KB운용 리딩 FI로
- '우본 LP 확보' 신한자산운용, 1150억 인수금융 투자 펀드 결성
- 'HD한국조선 EB 인수' IMM크레딧, 산캐 앵커 LP로 유치
- 자동차 부품사 코렌스, 최대 300억 투자 유치 돌입
- '유니콘 등극' 리벨리온, 2000억 프리IPO 추진
- 배터리 장비사 세종기술, 150억 투자유치 추진
- EQT, 인천공항 폐기물 처리업체 '경인에코텍' 인수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