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 시대 대원제약, '에스디' 보는 이유 '돈버는 사업' 백인환 사장 시대 첫 딜, 에스디생명공학 인수전 참여…사업다각화 총력
정새임 기자공개 2023-08-25 15:04:36
이 기사는 2023년 08월 24일 07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경영 전면에 나선 대원제약 오너 3세가 새로운 매출원으로 제약이 아닌 화장품을 선택했다. 상용화가 까다로운 신약보다는 당장 수익을 낼 수 있는 분야에서 활로를 찾겠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약 2년 전 건강기능식품 회사를 인수했던 대원제약은 올해 화장품 회사 에스디생명공학 인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3세 경영 개막 후 첫 딜 추진…대상은 '화장품'
대원제약은 최근 매물로 나온 화장품 제조기업 에스디생명공학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이뤄지는 이번 딜에서 대원제약은 DKS컨소시엄과 함께 조건부 투자계약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입찰에 참여하며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확보했다. 최대 10영업일 이내 조건부 투자계약 성사 여부가 결정된다.
이번 에스디생명공학 인수 시도는 오너 3세인 백인환 사장이 경영 일선에 오른 뒤 추진하는 첫 딜이다. 그는 오너 2세 백승호 회장의 장남이다. 작년까지 마케팅을 총괄하다 올해 초 경영총괄사장에 올랐다.
백 사장이 첫 번째 인수 기업으로 화장품 회사를 지목한 건 눈여겨 볼 지점이다. 대원제약은 제약 매출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중견 제약사다. 호흡기 질환에서 강점을 갖는다. 코대원·콜대원·펠루비 등 감기약이 대표적이다.
특히 대원제약 감기약은 코로나19 경증 환자가 폭등하던 2021~2022년 호황을 맞았다.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789억원, 430억원으로 창립 이래 최대 실적을 보였다.
에스디생명공학은 코로나19 이전까지 호황기를 누리던 화장품 제조사다. SNP 브랜드의 마스크팩으로 대표된다. 중국 등 해외 수출의 힘으로 2018년 최대 매출 1566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2020년 코로나19로 수출 타격을 받았고 건기식·마스크로 사업다각화를 꾀하는 과정에서 적자가 늘어나 회생절차를 밟게 됐다. 건기식 사업을 위해 회사를 인수하고 신규 공장을 지었는데 기업 규모 대비 과다한 비용을 쓴 탓이다.

◇엔데믹과 함께 멀어진 연매출 1조원, 에스디생명공학 전환점 되나
대원제약은 연매출 1조원을 목표로 두고 있지만 엔데믹에 접어든 현재 현실이 녹록하지 않다. 연 1000억원에 달했던 감기약 제품들의 매출 감소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코로나19와 독감의 동시 유행으로 여전히 높은 매출을 냈으나 코로나라는 특수성이 점차 사라지면서 실적 감소를 피할 수 없을 것이란 전망이다. 코대원과 펠루비 시리즈는 대원제약 총 매출액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내수에 한정된 수익구조도 고민이다. 대원제약은 매출의 98%가 국내 시장에서 나온다. 연간 수출로 발생한 매출은 작년 기준 117억원에 불과했다. 연매출 1조원 이상인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상당수는 해외에서 수익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대원제약은 상업화까지 오랜시간 소요되는 신약 대신 빠르게 매출을 낼 수 있는 분야를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에스디생명공학은 중국과 동남아, 미국, 호주 등 글로벌 유통망을 탄탄히 갖추고 있어 해외 진출도 용이하다.
대원제약이 최종적으로 에스디생명공학을 인수하게 되면 건기식에 이어 화장품으로도 사업 영역을 넓히게 된다. 앞선 2021년 건기식 제조업체 극동에치팜(현 대원헬스케어)을 141억원에 인수하며 건기식 진출 신호탄을 날렸다. 건기식을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사업 다각화에 나섰다.
대원제약은 에스디생명공학 인수에 상당한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백 사장이 신사업을 직접 관장하면서 다양한 분야를 검토한 결과"라며 "우선협상 권한이 있는 만큼 인수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제노코 줌인]시장 지배력 강화로 인한 '경쟁제한성' 판단 관건
- [우리기술 사업 돋보기]연이은 해외 수주 낭보, 매출 규모 '껑충'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비이아이, 하반기 LMB 양산 돌입…2027년 IPO 계획
- [VC 투자기업]중고에서 길 찾은 트렌비…월 BEP로 생존력 증명
- [VC 투자기업]'위피·콰트' 엔라이즈, 흑자전환…"올해 글로벌 방점"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1000억 밸류 도전 미스터아빠, 1분기 매출 200억 달성
- 혁신산업펀드 출자 '흥행'…패자부활 전략 통했다
- 경남지역혁신펀드, 케이런벤처스 반전서사 쓸까
- [유증&디테일]'1조 그룹' 오텍, 재무 건전성 '시험대'
- 사외이사를 발굴하는 SK의 안목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BT-877 적응증 재탐색" 대응 나선 브릿지바이오
- [인투셀 IPO]상장 주관사에 후한 보상, 10% 신주인수권 별도 지급
- 브릿지바이오, 'BBT-877' 유효성 불발…멀어진 기술이전
- [이뮨온시아 IPO]기술이전 기반 시총 2000억 겨냥, 기댈 구석 'IMC-002'
- [thebell note]달라지는 제약사 주총
- [인투셀 IPO]58% 불안한 '오버행', 우려 덜어준 '리가켐·광혁건설'
- 에이비엘바이오, '빅딜'로 단숨에 흑자전환…현금 2000억
- 한국 오는 노바티스 글로벌 BD, 신약 협업 파트너 찾는다
- [와이바이오로직스 항암신약 로드맵]항암 새 기전 '항체-사이토카인 융합체' 데이터·인력 자신감
- 에이비엘 이상훈 대표가 말한 GSK 딜 의미 '선급금 74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