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경영분석]국민은행, NIM 증가세 멈췄다3분기 누적 순익 2.9조…순수수료익 성장, 유가증권 손익개선
서은내 기자공개 2023-10-25 07:31:14
이 기사는 2023년 10월 24일 17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국민은행이 조달부담 증가로 순이자마진(NIM)이 하락했다. 2020년 이후 매년 NIM이 상승해왔으나 3분기 들어 지난 2분기 대비 NIM 수치가 소폭 꺾였다. 정기예금과 시장성예금을 중심으로 조달부담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순이자마진 하락에 따른 수익성 부족을 수수료이익 등 다른 부문으로 채우면서 전체 순이익은 여전히 성장하는 모습이다.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은 이날 2023년 3분기 경영실적 발표 IR을 개최했다. 국민은행은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2% 증가한 2조8554억원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그룹 전체 순이익(4조3700억원) 중 65.3%에 해당한다.
서영호 KB금융지주 부사장은 "올해 3분기 국민은행은 보수적인 충당금 적립 정책에 따른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이 증가했음에도 순이자이익과 순수수료이익의 균형잡힌 성장과 유가증권관련 손익 개선에 힘입어 순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12% 증가했다"고 말했다.
3분기 누적 충당금적립전영업이익은 4조7716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30.7% 증가했다.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은 3분기 누적 9182억원이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인 3555억원의 두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다만 순이자마진 성장세가 꺾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3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84%로 지난 2분기 대비 1bp 하락했다. 은행의 NIM은 2020년부터 매년 늘어왔다. 2020년 1.51%, 2021년 1.58%, 2022년 1.73%를 기록한 후 올해 2분기 1.85%수준까지 상승했다.
국민은행 측은 NIM 하락에 대해 "정기예금과 시장성예금 증가로 조달비용이 상승하고, 대출자산 리프라이싱(Repricing) 효과가 점차 둔화된데에서 주로 기인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룹 총 NIM 역시 2분기 말 2.1%에서 3분기 말 2.09%로 1bp 하락했다.
2023년 9월 말 기준 원화대출금은 336조원이다.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지난 6월 말 대비 1.8% 증가한 수치다. 특히 기업대출 중 대기업 여신은 회사채 발행시장 위축과 전반적인 대출수요 증가로 6월 말 대비 8.9% 큰 폭 증가하며 여신성장을 견인했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 및 전세자금대출을 중심으로 대출수요가 회복되면서 6월 말 대비 0.6% 증가했다. 2023년 3분기 누적 대손충당금전입비율(CCR)은 상반기 보수적 대손충당금 적립 영향에도 불구하고 0.23%를 기록하며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순이자마진 증가세가 꺾인데에 대해 국민은행은 수익기반 다변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영호 KB금융지주 부사장은 "정교한 여신 프라이싱 정책과 저원가성예금 증대 노력을 통해 수익성 제고를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은행의 순수수료이익은 3분기 말 누적 8660억원을 기록 중이다. 지난해 3분기 누적 수치인 8260억원 보다 400억원 증가했다. 순수수료이익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외화수수료 등 기타항목이며 그 다음 순으로 신탁(1840억원), 뱅킹업무(1430억원), 신용카드업무대행(1070억원), 방카슈랑스(790억원), 펀드판매(740억원)가 뒤를 이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서은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매물로 나온 카카오엔터, 콘텐츠업계 '부정적 시그널'
- [기업 & 아트]글로벌세아의 S2A, 공격적 컬렉션 투자 이목 집중
- YG엔터, 외부감사인 한영회계법인으로 변경
- SM C&C, 올해 최대 화두 '자체 IP' 확보
- 외국계 화랑 국내진출, '국제갤러리'에 좋을까 나쁠까
- [Company Watch]갤러리현대, 44억 에트나컴퍼니 CB 출자전환
- 국제갤러리, 국제갤러리홀딩과 60억 부동산 거래
- 디앤씨미디어, 보다 끈끈해진 넷마블 관계
- [Gallery Story]상하이에 공들이는 아라리오갤러리, 10년간 50억 출자
- [웹툰사 지배구조 점검]대원미디어 '스토리작', IPO 목표기한 두달 '현실성 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