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11월 22일 08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오영은 국내 1위 의약품 유통 기업이다. 작년 3조63억원으로 사상 첫 3조원대 매출을 기록했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672억원과 598억원을 시현했다.설립 첫 해인 2002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흑자를 기록해온 알짜 중 알짜 회사로 평가받는다. 올해 M&A 시장에서 2조원의 높은 몸값이 인정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지오영을 품에 안은 MBK파트너스가 잘못된 투자를 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그 근거로는 설립자 조선혜 지오영 회장의 절대적인 영향력이 꼽힌다.
크게 두 가지 의미가 내포돼 있다. 조 회장은 약사 출신으로 시작해 지오영의 모든 영업 매뉴얼과 업계 네트워크를 만든 인물이다. 그만큼 기업 전반적으로 그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PEF가 수행해야 할 체질 개선 및 구조조정 작업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두 번째도 비슷한 맥락의 지적이다. 1955년 출생, 만 69세 나이의 조 회장이 향후 은퇴한 후에도 지금의 기업가치가 유지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다.
현 상황을 냉정하게 바라본 분석이라고 생각된다. 한 가지 간과한 것이 있다면 MBK파트너스의 기업 투자 방식이다.
MBK파트너스는 기업 인수가 결정되면 3개월, 약 100일동안 내부 전문가들을 해당 회사에 투입시킨다. 해당 기간 동안 각 회사의 경영진들과 함께 무수한 논의 과정을 거쳐 문제를 파악하고 3~5년 로드맵을 설정한다.
해당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기업 경영에 관여하지 않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사업개편 등을 놓고 기존 경영진과 대립하는 구조가 아니다. 조 회장 역시 과거부터 현재까지 비즈니스 파트너들에게 진심을 다하는 인물로 유명하다.
MBK파트너스와 지오영은 이미 함께 같은 미래를 그리고 있다. 디지털 전환이 그 것이다. 로봇업무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한 '구매업무 자동화 1차 프로젝트'도 최근 마쳤다. 시스템을 통해 개인 영업력에 대한 의존도도 낮추고 비용도 효율화할 수 있는 방안이다.
최근 MBK파트너스를 두고 많은 말들이 나오고 있다. 기업 사냥꾼, 적대적 M&A 등 여러 자극적 표현들이 난무한다. 한국에서는 아직 생소한 미국식 PEF 경영에 대한 우려는 이해된다. 하지만 적어도 현재 지오영의 모습에서는 필요없는 기우일 것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라젬, '밸런스' 제품 새 모델에 배우 김우빈 낙점
- [i-point]엑스페릭스, 스페인 'PTE 202' 참가…해외 시장 공략 박차
- [Sanction Radar]제일엠앤에스 "기존대로 수익인식, 회계법인 이견"
- [Company Watch]‘동물실험 폐지 수혜’ 바이오솔루션, 국내 유일 ‘국제 인증’
- 에이직랜드, 직급 체계 변경에…다수 임원 주식 '깜깜이'
- 카인사이언스, KINE-101 다기관 임상시험 종료
- [thebell interview]이원재 포디움앤컴퍼니 대표 “스타트업 종합상사 될 것”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농식품 유통' 미스터아빠, '농가·소상공인' 동행자 우뚝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투자 몰리는 비이아이, '황각규의 혜안' 주목
- [VC 투자기업]에이트테크, 첫 감사보고서 제출…IPO 준비 박차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굳건한 신약 '투 톱' 대웅제약, 엔블로 병용요법 두각
- '유통→제조업' 서울리거, 미용의료 체질 개선 본격화
- [제약사 IPO 전략 점검]아이디언스, 일동제약 '신약 가치' 지킬 최후의 보루
- 지오영 '토탈 헬스케어' 속도, IT솔루션 신사업 추진
- [thebell interview]엠비디 "기술수출 기반 해외 활로 확장, IPO 계획 이상무"
- 퓨쳐켐 'ORR 60%' 숨은 의미, 규제기관·경쟁사와 다른 기준
- 에스바이오메딕스, PD '톱 데이터' 재확인 미국 3상 직행
- 'AUM 20조' 아치벤처파트너스, 'K-뷰티 의료기기' 주목
- 엠비디, 키야텍에 암 분석 플랫폼 L/O…'매출기반' 구축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개량신약' 중심 종근당, 녹내장약 '중단' 고혈압약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