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형제들, 김범석 대표 신규 선임 우버 튀르키예 법인 거친 플랫폼 전문가, 배달수익 수축 위기 '과제'
최현서 기자공개 2025-01-03 09:46:53
이 기사는 2025년 01월 02일 14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아한형제들이 모회사 '딜리버리히어로'의 피터 얀 반데피트 COO 임시대표 체제를 끝내고 정식 대표를 선임했다. 신규 선임된 김범석 대표(사진)는 튀르키예를 주요 무대로 삼았다. 현지 우버 법인, 배달 서비스 법인 '글로보' 등을 세우고 직접 경영한 경험이 있는 플랫폼 전문가다.김 대표는 전임 우아한형제들 대표들과 다르게 신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상생안으로 인한 배달 수익의 감소를 예견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존에 진행하고 있던 배달로봇 사업에 더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플랫폼 경영 전문가, 부임 전부터 활발한 활동
우아한형제들은 2일 이사회를 열고 김 대표를 신규 선임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 30일 새 대표로 내정된 이후 우아한형제들에 종종 출근해왔다. 지난해 11월과 12월에는 회의에도 참석하면서 우아한형제들의 현황과 사업 내역 등을 확인했다. 아울러 이 기간 타운홀미팅을 여는 등 직원들과 조금씩 접촉을 늘려왔다.

김 대표는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과 경제학을 전공했다. 우버 튀르키예 법인과 음식 배달앱 '글로보', '트렌디욜 고' 등을 설립하고 경영하기도 했다.
주요 임원들과 전 직원이 참여하는 '전사발표'를 이달 8일에 열 예정이다. 전사발표를 통해 앞으로의 사업 및 경영 방향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배달로봇, 핵심 매출 감소 '충격 완화'
새로 우아한형제들의 수장을 맡은 김 대표가 언급한 '새로운 성장 사업'이 눈에 띈다. 우아한형제들의 대표가 직접적으로 신사업을 언급한 사례는 드물다.
신규 사업을 언급한 배경으로 올해 중 시행될 '배달앱 수수료 상생안'이 꼽힌다. 우아한형제들은 중개이용료율 9.8%, 배달료 1900~2900원으로 적용해 왔다. 하지만 상생안을 통해 중개료율을 2~7.8%으로 낮췄다. 배달료는 지역과 거래액에 따라 차등 적용하기로 했다. 전통시장의 중개이용료와 배달비는 받지 않기로 했다.
올해부터 적용될 상생안은 우아한형제들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우아한형제들은 △제품매출 △상품매출 △서비스매출 △기타매출로 수익을 분류하고 있다. 이중 배달 수익이 서비스매출로 분류된다. 2023년 서비스매출은 2조7187억원으로 전체 매출(3조3155억원) 중 79.6%를 차지한다.
우아한형제들은 배달 매출 감소 충격을 줄이기 위해 로봇 사업 부문에 집중하고 있다. 고층 빌딩이나 위험한 현장 등 사람이 직접 음식을 전달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배달로봇이 활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인력을 구하기 어려운 곳에서도 배달로봇이 일반 종업원 대신 쓰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우아한형제들은 로봇 사업을 고도화하기 위해 2023년 로봇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한 자회사 '비로보틱스'를 세우기도 했다. 지분율은 90%다. 비로보틱스는 2023년 매출 101억원을 올렸지만 순손실 34억원을 기록했다.
그동안 규제로 인해 배달로봇 사업을 고도화하기 어려웠지만 지난해부터 조금씩 빗장이 풀리는 추세다.
지난해 12월 우아한형제들이 신청한 '영상정보 원본 활용 자율주행 배달로봇 시스템 고도화'가 실증 특례를 승인받았다. △원본 영상의 허용된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 △개인 식별 목적 활용 및 제3자 제공 금지 등을 담은 기준을 지키는 조건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지난해 8월 우아한형제들의 배달로봇 '딜리'가 '실외이동로봇 운행안전인증'을 받았다. 해당 인증이 있는 자율주행로봇은 보행자와 동일한 법적 지위를 갖는다. 허들이 점차 낮아짐으로써 우아한형제들의 로봇 사업은 더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빅데이터' 뉴엔AI, 코스닥 상장 예심 4개월만 통과
- NH농협은행, '단기채·가치주' 고수…안정성 중점
- 라이프운용 PIV펀드, KB증권서 300억 자금몰이
- 신한PBS-타임폴리오, 두 번째 맞손…롱숏에 힘쏟는다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세무·법률·부동산 전문가 라인업…'연구 DNA' 전문성 제고"
- 신한증권 가판대 전면 재배치, 기아·삼전 신규 등판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AI PB의 등장…규제 탓에 더뎠던 확산 속도
- 블루코브운용, 명동 뉴오리엔탈호텔 인수한다
- 미래에셋운용 '핀→테크' 진화…퇴직연금 RA 진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 현대제철 미국 현지 JV 검토 배경은
최현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허들 높여 이사회 구성 '정석현 회장 의지'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테마에 흔들리는 주가 '가려진 성과'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Company Watch]지란지교시큐리티, 순손실 배경 'SSR' 영업권 손상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글로벌 시장 실패의 기억 벗어날까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통신기술로 시작한 수산아이앤티, 보안 기업 '탈바꿈'
- 지니언스, 미국법인에 잇단 추가 출자
- [Company Watch]우아한형제들, 배달 전쟁 실탄 단비 '대여금 회수'
- [Company Watch]KMW, 자회사 기가테라라이팅 미운 오리? '유일한 희망'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체크멀, 과감한 일반상장 추진…'피어그룹' 고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