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에 미소 짓는 고려신용정보…호실적에 중간배당도 준비 1분기 순익 전년 대비 34.8% 증가…2금융권 건전성 악화 '호재'
이기욱 기자공개 2023-07-04 08:10:06
이 기사는 2023년 06월 30일 16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1위 채권추심업체 고려신용정보가 경기침체 국면에 힘입어 호실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들어 2금융권 금융사들의 건전성이 악화됨에 따라 고려신용정보의 영업규모도 자연스럽게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자회사 '행복드림금융대부' 역시 향후 2금융권 대출 축소의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려신용정보는 호실적을 바탕으로 중간배당까지 준비하며 주주가치 제고에도 힘을 쏟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고려신용정보는 지난 1분기 3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23억원) 대비 34.8% 증가한 수치다. 금리인상, 부동산시장 침체 등으로 저축은행, 카드사 등 타 업권 금융사들이 실적 악화를 겪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전체적인 매출 규모가 전년 대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기준 고려신용정보의 매출액은 36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358억원) 대비 3.07%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매출액(1468억원) 역시 전년(1452억원) 보다 소폭 늘어나는 등 안정적인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다. 주요 사업인 채권추심업이 329억원으로 별도 기준 전체 매출의 91.6%를 담당하고 있다.
호실적의 가장 큰 배경으로 꼽히는 것은 2금융권 금융사들의 건전성 악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여신전문금융사의 경우 전체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지난해말 1.21%에서 1분기말 1.5%로 0.29%포인트 악화됐으며 상호금융권 역시 2.19%에서 2.94%로 0.8%포인트 상승했다.
하반기 저축은행업권의 부실채권 매각 규제가 풀릴 경우 고려신용정보의 영업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1분기말 기준 저축은행업계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4.64%로 타업권 대비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자회사 행복드림대부의 업황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여전사와 저축은행 등은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영업 규모를 지속적으로 줄이는 중이다. 저축은행업계 총 자산규모는 지난해말 138조6000억원에서 올해 1분기말 135조1000억원으로 2.5% 줄어들었으며 여전업계 자산 역시 412조4000억원에서 408조원으로 1.06% 감소했다.
그만큼 대출 수요 일부가 대부업체들로 옮겨갈 가능성이 높다. 지난 1분기 행복드림대부의 매출액은 97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981억원)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총 자산은 지난해말 307억원에서 1분기말 315억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고려신용정보는 이러한 호실적과 성장 흐름을 바탕으로 주주가치 제고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려신용정보는 최근 공시를 통해 중간배당을 위한 주주명부폐쇄(기준일) 결정 사실을 알렸다. 지난 3월 24억원 규모의 결산 배당을 실시한 이후 또 한 차례 중간 배당에 나설 준비를 마쳤다.
고려신용정보는 지난 2020년까지 매년 결산배당만을 실시해오다 2021년부터 중간 배당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2021년과 2022년 각각 21억원, 22억원의 중간 배당을 실시했다.
올해 역시 비슷한 규모의 배당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결산 배당을 포함한 전체 배당금의 배당성향은 약 43%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고려신용정보는 채권추심업계 유일한 상장사로 소액주주의 지분율은 43.86%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저축은행경영분석]위기에 빛난 애큐온저축의 남다른 '수신' 전략
- [여전사경영분석]BC카드, 2024년 순익 90% 급증…우리카드 이탈에도 선방
- [여전사경영분석]한투캐피탈, PF 부실 여파 순익 급감…건전성 개선 위안
- [은행경영분석]토스뱅크, NIM 나홀로 상승하며 연간 흑자 '스타트'
- [은행경영분석]씨티은행, 14년 만에 ROE 5% 돌파…배경엔 '순익·배당'
- [이사회 분석]SBI저축, 금감원 출신 금융보안 전문가 사외이사 영입
- [NPL CEO 돋보기]대신F&I 주성균, 'NPL 큰손'의 리스크 게임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통합 2년차 KB프라삭은행, 희비 엇갈려
- 산은, NPL 매각 시동…올해 2000억 규모
- [IBK저축은행은 지금]전병성 신임 대표가 제시한 청사진, 핵심은 '건전성'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자본잠식 해소한 에이비온, 핵심은 법차손 규제
- [이사회 모니터|바이젠셀]새주인 '가은' 체제 확립, 정리 못한 보령 지분 '이사직 유지'
- 에이비온의 넥스트 'ABN202', 미국 개발 '합작사' 추진
- [제약사 넥스트 오너십]삼진제약, 공동경영에도 불균등 지분…외부세력 양날의 검
- 종근당, '인니 법인' 2년 흑자 '손상' 대여금 회수 가능성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유준하 동화약품 대표 "베트남 법인 체질 개선, 투자 지속"
- 동화약품 '4세 경영' 본격화, 윤인호 각자 대표 선임
- 한올바이오, 3상 유효성에도 상업성 탓 분위기 '냉담'
- [제약사 넥스트 오너십]삼진제약, 전문경영인 퇴진 '2세 공동경영' 시작됐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환인제약의 미래 '비피도' 추가 자금 지원 가능성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