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 프리뷰]'비공개' 유지하는 이마트 보수 정책…주주제안으로 바뀔까보상위원회 도입했으나 평가 기준 깜깜이…주주연대 '세이온페이' 도입 요구
안준호 기자공개 2025-02-11 09:28:31
[편집자주]
주주총회 안건은 기업의 미래를 담고 있다. 배당부터 합병과 분할, 정관변경과 이사 선임 등 기업의 주요한 결정은 주주총회에서 매듭짓게 된다. 기업뿐 아니라 주주들의 의견을 드러내는 장치이기도 하다. 특별·보통결의 안건들은 주주의 구성에 따라 통과되기도, 반대의견에 부딪혀 무산되기도 한다. 더벨이 주주총회 안건이 불러올 기업의 변화를 분석해보고 주주 구성에 따른 안건 통과 가능성 등을 전망해 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6일 16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임원 보수체계는 정기 주주총회 시기가 다가오면 늘 안건에 오르는 단골소재다. 이마트의 경우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보수 규모에 대해 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정 회장이 10년 이상 미등기 임원으로 머물고 있는 가운데 30억원 이상의 연봉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이마트 소액주주연대 역시 임원 보수체계 관련 요구사항을 주주제안에 담을 예정이다. 회사는 최근 보상위원회 설치,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도입 등 성과 중심 보상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평가 기준을 공개하진 않고 있다. 대주주인 정 회장이 등기임원에 오르고, 주총 검토를 거쳐 보수 규모를 책정해야 한다는 것이 주주연대 의견이다.
◇보상위 신설·RSU 도입한 이마트, 평가 기준은 비공개
정용진 회장은 2024년 상반기 약 17억20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급여로 받은 연봉은 9억9100만원, 설과 추석 등 명절 상여가 포함된 성과급으로 7억2900만원을 수령했다. 이마트에서 5억원 이상 보수를 받은 것은 6명이다. 정 회장에게 지급된 금액은 다른 이들의 두 배 이상이다. 직전 연도 지급 추이를 고려하면 2024년 연간 보수로 37억원 안팎을 받을 전망이다.
국내 기업들은 이사진 보수의 한도를 주총 표결에서 결의하고, 이사회가 검토해 지급한다. 미등기 임원의 경우 보수 상한이 없다. 이마트의 경우 지난 2022년 이사회 내에 보상위원회를 만들어 임원 보수를 정하고 있다. 보상위 설립에 이어 2023년에는 RSU 제도를 도입해 성과에 따른 보상 체계를 강화했다. 지난해 상반기까지 임원 31명에게 보통주 6050주를 부여했다.
임원에 대한 보수는 이사회의 규정과 보상위원회 승인을 거쳐 지급된다. 이 과정에서 매출액, 영업이익 등 재무성과로 구성된 계량지표와 중점추진사항 이행 정도, 핵심과제 평가 등 비계량지표를 고려한다. 단 보수 책정에 대한 구체적 평가 기준은 공개되지 않고 있다.
회사 측은 “등기, 미등기 임원들의 보수의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022년 3월 보상위원회를 신설하여 운영 중”이라며 “성과와 연계하여 적절한 수준의 임원 보수를 산정하고 있으나, 정책을 별도로 공개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주주연대 측은 주주들이 개별 임원의 보수에 대해 일정 수준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는 지급 총액 한도만 표결이 이뤄지며, 보상 규정의 구체적 내용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마트 주총 주주제안을 준비 중인 소액주주 행동주의 플랫폼 액트(ACT) 측은 “미국 등에서는 ‘세이온페이(Say on Pay) 정책을 통해 보수 산정방법과 지급 계획을 주총에서 보고하고 표결을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다”며 “정관으로 해당 규정을 도입하라는 주주제안을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5/02/06/20250206155215528.png)
◇주주연대, 보수정책 주총 표결 거치는 '세이온페이' 요구
경영진 보수에 대한 주주 투표권은 2000년대 초반 영국에서 나온 정책이다. 미국에서는 2010년 ‘도드-프랭크 법’(Dodd-Frank Act)과 함께 도입됐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초래한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의 고액 연봉에 대한 논란이 입법 배경이 됐다. 두 국가 이외에도 호주, 캐나다 등이 시행 중이다.
발원지인 영국에선 회사법을 개정해 상장 기업은 임원 보상 규모에 대한 주총 승인을 의무화했다. 임원보상에 대한 보고서가 제출되면 이를 표결로 판단하는 방식이다. 주주 판단은 권고적 성격으로 법적 구속력을 갖진 않는다. 다만 과거와 미래의 보수 정책에 대한 정보 공유와 주주 권한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는 것이 학계 의견이다.
액트 측은 “현재 이마트 소액주주들의 경우 과거보다 저하된 실적, 경영성과에 비해 임원 보수가 과도하다는 생각이 많은 편”이라며 “최소한 보수 규모가 어떤 기준을 거쳐 산정된다는 것을 주주들 앞에서 발표하고 표결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주된 목표”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한미 오너가 분쟁]형제 추천 사외이사 사임, 분쟁종식 가시화
- [i-point]'효율성 무게' 미래산업, 흑자전환 성공
- HPSP, 예스티가 제기한 특허권리심판 '각하 판정'
- 20돌 맞은 넥슨 던전앤파이터, 되살아난 '흥행가도'
- [i-point]노을, 차세대 암진단 기술로 범부처 10대 대표과제 선정
- [Company Watch]한화에어로, 오션 지분 7% 매입에 1조…주가상승 실감
- [IR Briefing]이우현 OCI 회장, 미 태양광 시장 '낙관적'으로 보는 배경은
- [컨콜 Q&A 리뷰]바닥 지났다고? 우려 불식 못 시킨 롯데케미칼
- [Company Watch]아시아나항공, '최대 매출'에도 4800억 순손실 전환
- [Company Watch]에어부산, 매출 '확' 뛰었는데 순익 급감 배경은
안준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주주총회 프리뷰]'비공개' 유지하는 이마트 보수 정책…주주제안으로 바뀔까
- [주주총회 프리뷰]재무부담 커진 이마트…밸류업 프로그램 '주주제안'
- [트럼프발 관세전쟁]현실화된 무역 장벽, K푸드 현지 생산 기업 '주목'
- [주주총회 프리뷰]소액주주 결집한 이마트, 주주제안 '임박'
- [에이유브랜즈 IPO]3년만의 K-패션 상장, 중요도 높아진 '성장 스토리'
- [구다이글로벌이 꿈꾸는 K뷰티]인디뷰티 큰손, ODM사도 물밑경쟁
- [에이유브랜즈 IPO]코스닥 예심 승인, 증권신고서 제출 ‘속전속결’
- [구다이글로벌이 꿈꾸는 K뷰티]유통플랫폼에서 K뷰티 강자로
- [thebell note]백종원 팬덤과 더본코리아 주주의 차이
- [한화 김동선의 홀로서기]'급식' 만으론 부족한 실익…중장기 시너지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