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 ‘테일러메이드 동의권 잡음’ 핵심 쟁점은 경영권 전제로 대규모 투자, 우선매수권·사전동의권 확보
변세영 기자공개 2025-02-07 07:45:14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6일 16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F&F가 센트로이드PE와 테일러메이드 경영 관련 사항 사전 동의권을 두고 입장차를 드러내고 있다. F&F 측은 경영권을 전제조건으로 우선매수권과 사전 동의권을 확보해 테일러메이드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했지만, 센트로이드 측이 3자매각 등을 고려하면서 분쟁 리스크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자본시장(IB) 및 패션업계에 따르면 F&F는 최근 테일러메이드 주요 투자자들에게 자신들이 우선매수권을 비롯해 회사 매각, 이사 선임 등 주요 경영 사항에 대한 사전 동의권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이와 관련 일부 투자자들은 F&F가 사전 동의권을 갖는지 몰랐다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F&F는 2021년 센트로이드 펀딩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테일러메이드에 투자했다. 당초 센트로이드 측은 내셔널지오그래픽을 전개하는 패션기업 더네이쳐홀딩스를 SI로 선정하며 손을 잡았다. 그러다 더네이쳐홀딩스가 센트로이드로부터 추가 투자를 요구받으면서 인수 참여를 철회했다.
이 공백을 메꾼 게 F&F다. 인수 자금이 모이지 않자 센트로이드 측은 F&F에 ‘SOS’ 형태로 투자를 제안했고 F&F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딜을 완수했다. F&F는 2021년 테일러메이드를 지배하고 있는 '19th Holdings Cooperatief U.A.' 지분 100%를 취득하기 위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에 투자하는 사모펀드(PEF)에 약 5000억원 가량을 출자했다.
특히 국내 금융 기관을 대상으로 모집한 테일러메이드 인수 펀드자금 6000억원 안팎 중 F&F는 60%에 가까운 3800억원을 담당했다.
당시 센트로이드 측은 펀딩 종결 후 F&F가 경영권을 매입할 수 있도록 우선매수권을 약속함과 동시에 경영 등 측면에 사전 동의권을 준다는 조건을 단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최근 들어 2027년 펀딩 만기를 앞두고 센트로이드 측이 투자금 회수를 위해 테일러메이드 제3자 매각 등을 추진한다고 하면서 F&F와 입장차가 발생한 것으로 관측된다.
F&F는 테일러메이드 경영권 인수 의지를 갖고 투자를 단행했다. 2022년 유안타증권이 보유한 센트로이드 제7호 지분 580억원 규모를 추가 매입했다는 점도 이를 방증한다. 사업적 측면에서도 글로벌 패션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MLB 큰 의존도를 낮춰야 할 필요도 있다. 휠라그룹이 아쿠쉬네트 인수로 체급이 달라진 것도 중요한 자극제로 통한다.
시장에서는 F&F가 동의권과 우선매수권을 보유하는 만큼, 가격만 맞다면 펀드 만기와 함께 테일러메이드 경영권을 인수하는 데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센트로이드 측이 제공한 동의권이 자본시장법에 어긋난다는 시각도 있는 만큼 이 점이 변수다. F&F 입장에서는 우선매수권이 있긴 하지만 이를 행사하기 위해서는 제3자가 제시한 금액만큼을 지불해야 하는 데 그렇게 되면 예상보다 자금 압박이 더 커질 수 있어서다.
이에 대해 F&F는 “F&F는 “F&F는 SI로서 테일러메이드 경영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우선매수권과 동의권 보장을 약속받았다”면서 "최대 투자자인 F&F의 동의없이 매각을 추진한다는 것은 양사가 계약한 합의내용 위반이며, 계약사항대로 적절한 조치가 이행되지 않는다면 법적 대응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라온시큐어, 2024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SM엔터 '슈퍼앱'의 꿈, 카카오와 이룰까
- [2025 기대작 프리뷰]크래프톤, 'AI 게임' 새 지평 여나
- [위너스 road to IPO]내년 펀드 만기, 최대주주 변경 리스크 '변수'
- [Red & Blue]'얼라인 타깃' 코웨이, 흔들리는 주가
- [하이테크 소부장 리포트]미국 개척 나선 솔브레인, 생산 활로 '반도체용 식각액'
- [유료방송 3사 승부수]KT스카이라이프, 자회사 업고 '우영우 신드롬' 재현 시도
- [딥시크 임팩트]카카오, 발등 불 떨어진 오픈AI 덕 '협상력 제고' 기대
- [LG헬로 송구영 5년 성과평가]CJ헬로 인수 추진 장본인, 가시화된 침체기에 '난색'
- [게임사 기초체력 분석]'블레이드키우기' 모비릭스, 고정비 부담 탈피 숙제
변세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트럼프발 관세전쟁]미국 의존도 높은 K-패션, 생산망 다변화로 '대응'
- F&F, ‘테일러메이드 동의권 잡음’ 핵심 쟁점은
- GS피앤엘, ‘코엑스 호텔 중단 타격’ 배당수익 빨간불
- 실적 반등 필립모리스, '라인업 강화' 1등 탈환 시동
- [배당정책 리뷰]에이스침대, '차등배당 무색' 매년 줄어드는 격차
- 현대홈쇼핑·퓨처넷 합병 가능성, 변수는 '소액주주'
- [한성에프아이는 지금]'뿌리 깊은 형제경영' 2세 승계 스텝은
- GS피앤엘, '절묘한 후레쉬미트 지분' 행위제한 '이상무'
- '자사주 소각 철회' 빙그레, 배당으로 만회할까
- [퍼포먼스&스톡]불황에 나홀로 웃은 LF, 주가도 뚜렷한 우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