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 투자기업]'로봇 모빌리티' 서울다이나믹스, 글로벌 시장 '노크'CES 2025 참가, 전시 준비 착수…PBV 솔루션 공급 논의 진행
유정화 기자공개 2024-12-12 08:25:21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5일 16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자율주행이 가능한 무인 다목적 모빌리티 로봇을 만드는 서울다이나믹스가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항만·택배 운송, 물류 트랙터 등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솔루션을 앞세워 해외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5일 벤처캐피탈(VC)업계에 따르면 최근 서울다이나믹스는 내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 참가를 확정하고 전시 준비에 착수했다. CES는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박람회로, 서울다이나믹스로서는 첫 참가다. 회사는 자사 주력 제품인 200kW급 모빌리티 로봇 플랫폼 'E-CVP'을 선보일 계획이다.
회사는 해외 세일즈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9월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24(베를린 국제 가전 박람회)에서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와 함께 초격차 특별관을 운영했다. 올해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초격차 스타트업 1000+'(DIPS 1000+) 육성사업에서 프로젝트 로봇분야 스타트업으로 선정돼 전시 기회가 주어졌다.
서울다이나믹스 한 관계자는 "IFA에 참석해 해외 투자자나 다수 바이어와 미팅을 가졌고 PBV 솔루션 공급과 관련해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단계"라며 "유럽뿐 아니라 일본이나 미국 등 국가 고객사를 확보하기 위해 현지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2년 설립된 서울다이나믹스는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작업수행용 PBV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자율·원격주행 전환 알고리즘과 자율주행 관제 소프트웨어(SW)를 접목해 차량간통신(V2X) 기술을 구현했다. 모듈화 설계를 통해 별도의 특수부품 설계나 제작 없이 현장 상황에 맞춰 호환이 가능하다.
서울다이나믹스는 모빌리티 용도별로 PBV 제품 라인업을 갖췄다. 회사 측에 따르면 무인운송차량(AGV)과 자율이동로봇(AMR)은 출력에 따라 10wK급(서빙로봇), 50wK급(무인 승객 셔틀), 200kW급(승용 전기차·중장비), 400kW급(무인 자율주행 트랙터) 등으로 구분된다. 회사는 10wK급, 50wK급, 200kW급 PBV 개발을 완료했다. 주력 제품은 200kW급 모빌리티 로봇 플랫폼 E-CVP다.
서울다이나믹스는 해외 진출을 추진하면서 동시에 연구개발(R&D)을 통해 현장 수요에 적합한 PBV 제품을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내년까지 400kW급 무인 자율주행 트랙터(ATT)를 개발하고 PBV 솔루션을 고도화해 국내외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거송 서울다이나믹스 대표가 회사를 이끌고 있다. 이 대표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를 졸업하고 인천국제공항에서 기계 시설을 점검하는 엔지니어로 근무한 경험을 보유했다. 또 다른 경영진으로는 이용승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있다. IT 전문기업 티맥스에서 운영체제(OS) 개발을 담당한 인물이다.
서울다이나믹스의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30억원 수준이다. 지난해부터 올 5월까지 프리시리즈A 라운드를 열어 아이피에스벤처스, 대교인베스트먼트, 스트롱벤처스, UTC인베스트먼트, 불스원 등으로부터 26억원을 유치했다. 서울다이나믹스는 2022년 8월 크립톤과 소풍벤처스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thebell interview]"TIGER미국배당커버드콜, 새로운 형태의 연금대체 ETF"
- JB운용 투자 사모사채, EOD 위기 직전 '숨통'
- 마스턴운용, 하인즈와 맞손…첫 사업지 후보 '주목'
- [헤지펀드 해외주식 시대]롱온리부터 메자닌 하우스까지…'해외주식 진출' 선언
-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법안 점검]'구원투수 기대' 국내투자형 ISA, 탄핵정국에 무기한 연기
- [LP Radar]치열해진 혁신성장 모펀드 선정, 성장금융 수성할까
- 'K바이오 3호' PE 참여 집중…VC 시선은 5호 펀드로
- [LP Radar]출자사업 시작한 농금원, GP와 LP 접점 늘린다
- [2025 VC 로드맵]김대현 키움인베 대표 "성장 준비 마쳐, 글로벌 도약"
- [2025 VC 로드맵]김명환 대표 "바이오 여전히 유망, 뷰티의료 주목"
유정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더케이저축, 공제회서 인력 수혈…전략·재무 '총괄'
- [저축은행중앙회 차기 리더는]탄핵정국 속 오화경 회장 후임 누가될까
- 김청호 BNK저축은행 전무, 최우선 과제는 '건전성'
- 푸른저축, 여신관리본부장 교체…건전성 관리 '고삐'
- [저축은행중앙회 차기 리더는]'임기 D-30' 회추위 구성 차일피일…리더십 공백 '반복'
- [새마을금고 경영 쇄신]누락된 '혁신', 지역 이사·상근임원 권한 커졌다
- OK저축, 기업금융 전문가 이영석 영입…심사본부 '총괄'
- [새마을금고 경영 쇄신]'적기시정조치' 칼 빼든 행안부, 감독 빈틈 메운다
- [새마을금고 경영 쇄신]제2의 '뱅크런' 없다…유동성 확보 '안전장치' 마련
- [2025 금융권 신경영지도]NH저축, 리테일금융실 신설…우량 자산 확대 '방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