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치디프로, 경영권 분쟁 1년만에 재점화 소액주주 '임원 해임' 요구...전문경영인 추대 추진
신상윤 기자공개 2018-11-07 08:22:36
이 기사는 2018년 11월 06일 16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에치디프로가 또다시 경영권 분쟁에 휩싸일 조짐이다. 지난해 경영권 분쟁을 겪다가 중국 자본을 앞세운 새 주인 넥스트아이에 인수됐지만 1년여 만에 또다시 소용돌이에 빠졌다. 이번에는 일부 소액주주들이 소송을 제기하고 나섰다.6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사 에치디프로는 오는 8일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에서 심문 기일을 앞두고 있다. 박택상 외 4명이 지난달 26일 법원에 임시 주주총회 소집허가 소송을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임시 주주총회 소집 목적은 이사·감사의 해임과 선임 등이 주요 안건이다.
에치디프로는 지난 2016년 10월쯤부터 1년 넘게 경영권 분쟁을 겪었다. 기존 최대주주와 무관하게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떠올랐다. 에치디프로에 자금을 투자했던 회사가 이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에치디프로를 두고 일부 기업 간 M&A 계약 체결과 해지가 수차례 오갔다. 이어 경영권을 최종 인수했던 회사와 재무적투자자(FI)간 법적 갈등도 촉발됐다.
이 갈등은 지난해 말 중국 화장품 전문기업 유미도 뷰티 체인지그룹(이하 유미도그룹)이 최대주주와 경영권 등을 확보하면서 일단락됐다. 올 상반기 기준 에치디프로 최대주주는 유미도그룹이 지배하고 있는 코스닥 상장사 넥스트아이다. 넥스트아이는 지난해 11월 에치디프로가 진행한 1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자금을 납입하면서 지분율 13.06%의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일단락된 듯했던 경영권 분쟁은 최근 일부 소액주주들이 소송을 제기하면서 되살아났다. 넥스트아이가 에치디프로의 최대주주가 된 지 1년 만이다. 에치디프로는 지난 2004년 설립된 폐쇄회로(CC)TV 제조 및 판매사다. 올 상반기 연결기준 에치디프로는 매출액 81억원, 영업손실 23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은 55.2% 줄고, 영업손실 규모는 96.7% 확대됐다. 같은 기간 당기순손실은 12.4% 늘어난 24억원으로 집계됐다.
소송을 제기한 소액주주들은 진양 대표와 진광·조희운 이사, 류동희 감사의 해임을 주장하고 있다. 진양 대표와 진광 이사는 자매다. 이들을 포함해 현 경영진은 모두 유미도그룹의 주요 인사들이다. 소액주주들은 이들의 경영능력에 의구심을 갖고 있다.
유미도그룹은 에치디프로의 최대주주와 경영권을 확보하면서 중국 내 CCTV 사업을 추진한다고 했지만 성과는 미미한 상황이다. 실제 지난해 상반기 에치디프로의 수출 실적은 99억원을 웃돌았지만, 올 상반기에는 절반 가까이 줄어든 57억원 수준에 그쳤다. 이에 소액주주들은 전문성 있는 경영진을 추대해 정상화 방안을 찾겠다는 방침이다. 신임 사내이사와 감사 후보는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배터리솔루션즈 "IPO 계획 변함없다"
- 다나와 "그래픽카드 거래액 증가…신제품 출시 효과"
- 메리츠증권 PBS 진출 사력…NH증권 키맨 영입 '불발'
- VIP운용 조창현 매니저, '올시즌 2호' 4년만에 내놨다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머스트의 조용한 '구조 개입'…침묵이 아닌 설계
- 한국증권, 채권형 중심 가판대 재정비
- 알토스벤처스, 크림 구주 인수 검토…1조보다 낮은 밸류
- 한화증권, 해외 라인업 강화 스탠스 '고수'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금융사도 일임 경쟁 참전…관건은 은행권 확보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고객만족 최우선시, 시나리오별 절세 노하우 제공"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대우건설, 해외 토목 현장 관리에 달렸다
- [디벨로퍼 프로젝트 리포트]넥스플랜, '에테르노 압구정' 옆 '효성빌라' 추가 취득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SK에코플랜트, 하이닉스발 수주 효과 '기대감'
- [디벨로퍼 리포트]엠디엠그룹, '서리풀·해운대' 앞두고 숨 고르기
- [이사회 분석]동신건설, 베일에 가린 오너3세 대표로 등장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삼성물산 건설부문, 수익성 견인한 공사비 협상력
- [디벨로퍼 리포트]빌더스개발원, 첫 매출 '이천 부발역 에피트' 촉진 관건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현대건설, 발주처 증액 협상 난이도 높아졌다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사업 다각화 성과 수익성 개선 효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