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한국토지신탁 독주 속 신탁업계 시장점유율 '지각변동' [부동산신탁사 경영분석]KB·무궁화 '약진'…영업이익 변화 극심, 3~10위권 자리바꿈

김경태 기자공개 2019-04-09 11:31:21

이 기사는 2019년 04월 05일 14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부동산신탁 시장은 금융당국으로부터 인가받은 11곳이 과점하고 있다. 이들은 수년간 이어졌던 부동산 경기 호황을 바탕으로 급성장해왔다. 금융당국이 새로운 부동산신탁사 인가를 내려는 배경이다. 작년에도 11곳은 외형을 키우는 데 성공했고, 시장 파이는 더 확대했다.

주목되는 부분은 기존 업체 간에 전통적으로 굳어지는 듯했던 순위에 변화가 있었다는 점이다. 매출과 이익 측면에서 모두 변동이 생겼다. 부동산신탁은 과점 시장이다. 때문에 최근 이뤄진 일부 업체의 인수합병(M&A)과 신규 인가로 순위 다툼이 더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토신, 압도적 1위 수성…KB·무궁화신탁 '약진'

부동산신탁사 11곳의 작년 별도 기준 매출 합계는 1조2183억원이다. 전년보다 21.2% 증가했다. 각 업체의 매출 증가 폭은 각기 달랐지만, 성장세를 이어갔다는 점은 동일했다. 단 한 곳도 매출 역성장을 기록한 곳이 없었을 정도로 국내 부동산신탁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 기조를 보여줬다.

11곳 중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곳은 단연 한국토지신탁이다. 차정훈 엠케이전자 회장이 이끄는 한국토지신탁은 줄곧 부동산신탁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선두주자다. 작년 매출은 2543억원으로 전년보다 10.9% 신장했다. 11곳 매출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9%로 1.9%포인트 하락했지만, 다른 신탁사들과 비교해 압도적이다.

2위에는 엠디엠그룹의 일원인 한국자산신탁이 자리매김했다. 한국자산신탁은 한국토지신탁과 매년 선두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곳이다. 작년 매출은 2045억원으로 전년보다 1.5% 늘었다. 매출 증가 폭이 작았던 탓에 한국토지신탁과의 격차가 벌어졌다. 하지만 3위 코람코자산신탁과는 여전히 격차가 상당하다.

부동산신탁사 11곳, 별도 기준 매출
△출처: 감사보고서·영업보고서, 기준: 별도·누적, 단위: 백만원·%

눈에 띄는 점은 작년에 순위 변동이 일어났다는 점이다. 2017년에 매출 5위를 기록했던 KB부동산신탁이 4위로 올라섰고, 대한토지신탁은 5위로 하락했다. 대한토지신탁의 작년 매출은 982억원으로 전년보다 14.6% 증가해 성장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KB부동산신탁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4위 자리를 내줬다. KB부동산신탁의 작년 매출은 1146억원으로 전년보다 49.5% 급증했다.

국제자산신탁도 한 단계 밀려났다. 국제자산신탁은 2017년에 9위였지만, 10위로 떨어졌다. 국제자산신탁이 밀려난 자리에는 무궁화신탁이 올라섰다. 무궁화신탁의 작년 매출은 전년보다 66.7% 급증하면서 643억원을 기록, 국제자산신탁(636억원)을 근소하게 앞질렀다.

이 외에 코람코자산신탁과 하나자산신탁, 아시아신탁, 생보부동산신탁, 코리아신탁의 순위에는 변화가 없었다. 매년 마지막에 자리하고 있는 코리아신탁은 작년 매출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2017년에는 228억원이었지만, 작년에는 2.5배가량 불어난 557억원을 거뒀다.

◇영업이익 순위 변동 더 커, 한자신 비롯 4곳 감소

부동산신탁사 11곳의 영업이익 합계 역시 매출처럼 증가가 이뤄졌다. 작년 6804억원으로 전년보다 1.5% 확대했다. 하지만 각 업체를 들여다보면, 매출과 상당히 다르다.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감소한 곳도 4곳 있었고, 순위 변화가 매출보다 심했다.

우선 상위권을 보면 한국토지신탁과 한국자산신탁 2강 체제에는 변함이 없었지만, 매출과 마찬가지로 격차가 벌어졌다. 한국토지신탁은 10.2% 증가해 1844억원을 기록했다. 한국자산신탁은 1228억원으로 18.9% 줄었다. 다만 한국자산신탁은 3위를 기록한 KB부동산신탁보다 2배가량 많아 멀찌감치 따돌렸다.

2강을 제외하고 3위에서 10위까지의 순위는 2017년과 비교해 전부 바뀌었다. KB부동산신탁은 2강의 수준에는 근접하지 못하지만, 작년에 순위가 2계단 올라가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뒀다고 볼 수 있다. 2017년에 코람코자산신탁과 대한토지신탁에 이어 5위였지만, 작년에 3위에 등극했기 때문이다.

반면 기존 2위였던 코람코자산신탁은 5위로 내려갔다. 4위였던 대한토지신탁은 9위로 급하락했다. 아시아신탁은 7위였는데 한 계단 내려가 8위를 나타냈다. 이는 다른 업체들은 영업이익이 증가했는데, 3곳은 모두 감소했기 때문이다. 코람코자산신탁과 대한토지신탁, 아시아신탁의 작년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각각 16.5%, 12.7%, 41.4% 줄었다.

일부 업체들이 부진한 이익을 남기는 사이 하나자산신탁과 국제자산신탁, 생보부동산신탁은 약진했다. 각각 영업이익 증가율은 34.7%, 16.3%, 13.4%였다. 특히 국제자산신탁은 매출이 전체 10위로 하위권에 있는 곳이지만, 수익성에서는 중위권을 나타내 눈길을 끌었다.

매출 대비 영업이익을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인 영업이익률을 보면 11곳 모두 30%를 상회했다. 가장 높은 곳은 한국토지신탁으로 72.5%에 달했고 유일하게 70%를 넘었다. 이 외 60%를 웃도는 곳은 국제자산신탁(64.4%), 하나자산신탁(61.7%), 한국자산신탁(60.1%) 3곳이다. 다음으로는 KB부동산신탁(56.3%), 생보부동산신탁(55.7%), 코리아신탁(53.7%), 아시아신탁(49.2%), 무궁화신탁(44.6%), 코람코자산신탁(36.5%), 대한토지신탁(31.9%) 순이었다.

부동산신탁사 11곳, 별도 기준 영업이익
△출처: 감사보고서·영업보고서, 기준: 별도·누적, 단위: 백만원·%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