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현인베스트, 비디아이 CB 30억 투자 에너지펀드 '송현 e-신산업' 인수, 케이프투자 등 공동 참여
신상윤 기자공개 2019-05-14 07:14:29
이 기사는 2019년 05월 13일 15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벤처캐피탈 송현인베스트먼트가 화력발전 친환경 설비 등을 공급하는 비디아이에 30억원을 투자했다. 이번 투자는 비디아이가 발행한 전환사채(CB)를 인수하는 형태로 진행됐다.13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사 비디아이는 지난 10일 제6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벤처캐피탈 송현인베스트먼트는 전체 200억원 규모로 발행된 이번 CB 가운데 30억원어치를 인수했다.
송현인베스트먼트는 지난 2017년 11월 결성한 '송현 e-신산업 펀드'를 통해 비디아이에 투자했다. 이 펀드는 한국전력이 조성한 에너지신산업 펀드의 자펀드다. 에너지인프라자산운용이 750억원을 출자한 앵커 유한책임출자자(LP)다. 그 외 모태펀드와 대구테크노파크가 각각 90억원, 40억원을 출자했다. 펀드 운용사인 송현인베스트먼트도 50억원을 보탰다. 이 펀드는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전기차, 스마트그리드 등 에너지 관련 신산업 분야에 100% 투자해야 한다.
송현인베스트먼트 관계자는 "'송현 e-신산업 펀드'는 에너지 관련 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조성된 펀드"라며 "최근 비디아이가 정부의 친환경 정책과 맞물려 탈황설비 등의 수주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돼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1992년 설립된 비디아이는 화력발전과 관련된 발전소 보조기기(BOP) 설비를 공급하는 기업이다. 석탄취급설비를 비롯해 탈황 설비와 전기집진기 등 환경설비, 회처리 및 회정제 설비 등이 주요 제품이다. 지난 2017년 1월 코넥스 시장에 상장한 지 10개월여 만에 코스닥시장에 이전 상장했다.
창업주 안승만 회장은 지난해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예경남 대표에게 대표이사직을 넘기고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 신사업 쪽에 집중하고 있다. 사내이사직은 유지하고 있다.
비디아이가 이번에 발행한 CB는 송현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해 케이프투자증권(160억원)과 코어트렌드인베스트먼트(10억원) 등도 인수했다. 정부가 최근 미세먼지 절감 등을 위해 관련 예산을 편성하는 등 비디아이의 주사업의 성장성이 큰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운용자금이 필요한 데 따른 것이다.
비디아이 관계자는 "최근 발전트 분야 수주량이 증가해 가고 있는 만큼 운영자금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그 외 일부 고금리 대출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우리기술 사업 돋보기]해상풍력 '첫 트랙 레코드' 눈앞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CU06 '원툴 탈피' 맵틱스 콜라보 '사업화 기회' 늘었다
- [i-point]'아나패스 계열' GCT, 오빅과 개발·공급 의향서 합의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DI의 로비스트, 홀랜드&나이트 키맨에 쏠린 눈
- [영상]애경그룹 골프장 이어 모태사업 매각까지?
- [영상] 네이버, 컬리 지분 10%가량 인수 검토하는 배경은
- '몸값 올리기' 여기어때, 하드블록 축소로 이익 키웠다
- [VC ERP 생태계 점검]시장 점유율 1위 '로고스시스템' 품은 쿼타랩은
- 적자 지속 이수건설, 3개월 이하 사모채 릴레이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대우건설, 해외 토목 현장 관리에 달렸다
- [디벨로퍼 프로젝트 리포트]넥스플랜, '에테르노 압구정' 옆 '효성빌라' 추가 취득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SK에코플랜트, 하이닉스발 수주 효과 '기대감'
- [디벨로퍼 리포트]엠디엠그룹, '서리풀·해운대' 앞두고 숨 고르기
- [이사회 분석]동신건설, 베일에 가린 오너3세 대표로 등장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삼성물산 건설부문, 수익성 견인한 공사비 협상력
- [디벨로퍼 리포트]빌더스개발원, 첫 매출 '이천 부발역 에피트' 촉진 관건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현대건설, 발주처 증액 협상 난이도 높아졌다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사업 다각화 성과 수익성 개선 효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