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맘마, 미래에셋 주관사 낙점…내년 IPO 본격화 매출 증가세, 호텔엔조이 인수로 밸류 상승 '청신호'…2022년 말 코스닥 간다
이지혜 기자공개 2021-09-23 07:45:53
이 기사는 2021년 09월 17일 14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더맘마가 IPO(기업공개)의 닻을 돌렸다. 미래에셋증권을 상장 대표주관사로 낙점했다. 이르면 2022년 하반기 코스닥에 입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더맘마가 16일 미래에셋증권을 상장 대표주관사로 선정한다는 내용의 계약서에 도장을 찍었다. 미래에셋증권이 전자상거래(e-commerce)과 온라인플랫폼 등 신성장기업 IPO에 특화한 점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셋증권은 크래프톤을 비롯해 야놀자, 쏘카, 티몬 등 유니콘기업 IPO를 잇달아 수임했다.
더맘마는 2016년 유통 IT기업으로 설립돼 지역마트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인 ‘맘마먹자’를 운영하고 있다. GPS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소비자의 반경 3km 이내의 마트를 1대 1로 연결해준다. 맘마먹자 앱을 이용하면 소비자는 신선식품을 주문한 시점부터 2시간 안에 받을 수 있다.
사업을 다각화하는 데도 적극 나서고 있다. 더맘마는 올 초 호텔엔조이를 운영하는 메이트아이를 인수해 시너지를 꾀하고 있다. 호텔엔조이는 종합숙박전문 예약사이트다. 정부기관 120여곳, 민간기업 제휴업체 1000여 곳, 제휴회원 1000만명 등을 보유했다. 이를 기반으로 올 8월 신선식품 쇼핑기능에 숙박 예약기능을 더한 플랫폼 '자(ZA)'도 출시했다.
이밖에 더맘마는 배달서비스플랫폼인 혼밥인의 만찬도 인수했다. 더맘마가 몸값을 높이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맘마의 실적 성장세는 가파르다. 2018년까지만 해도 11억원이었던 매출이 지난해 662억원 규모로 불어났다. 올 상반기 매출은 6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 늘어났다. 영업이익도 흑자전환했다. 2018년 영업손실 5억원을 냈지만 2019년 흑자전환하기 시작해 지난해 1억8000만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더맘마 관계자는 "전자가격표시기(ESL)과 무인계산대 같은 리테일 기술에 대한 연구와 개발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며 "2022년부터 IPO를 본격화해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코스닥에 상장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미 반덤핑관세 면한 효성중공업, 성장모멘텀 확보
- 한화에어로, 동유럽 생산 '현지화'...내년에 자금 80% 투입
- [변곡점 맞은 해운업]매각 포석?...SK해운, 몸집 줄이기 돌입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새출발' 인베니, 투자·배당이익 선순환 집중
- [에쓰오일 밸류업 점검]미래투자·수익성 저하에 줄어든 '배당인심'
- [변곡점 맞은 해운업]'HMM과 협상' SK해운, 수익성 개선 '뚜렷'
- SK엔무브의 결혼식
- 토스뱅크 청사진 '글로벌·기업'…이은미 대표 진가 발휘하나
- [보험사 CSM 점검]DB손보, 가정 변경에 1.3조 증발…잔액 증가 '거북이 걸음'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스마트저축, 비수도권 순익 1위 배경엔 '리스크 관리'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
- 'SLL중앙 기대감' 콘텐트리중앙 CB 발행 순풍
- 카카오엔터, 스토리사업 대통합…신임 부문장에 박정서
- [Company Watch]더블랙레이블 , 로제 <아파트> 흥행에도 수익성 악화
- 카카오엔터, 분할매각 가능성 '스토리 지킬까'
- [Company Watch]테크 전략의 핵심 하이브IM, 적자에도 '5000억 밸류'
- [이사회 분석]하이브, '대기업 리스크 대응' 사외이사진 재편
- [상호관세 후폭풍]쇼크에도 K팝 엔터주는 '웃었다'
- [탈한한령 훈풍 부는 콘텐츠기업들]잠잠한 듯했는데…JYP엔터의 중국 굴기 '반격 노린다'
- 엔터4사 주총, 말의 온도와 숫자의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