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PMI 포럼]"금리 상승기가 M&A 적기, 내재가치 대비 시가 크게 하락"남상욱 딜로이트안진 부문장 "과거에도 좋은 M&A 사례 나와"
감병근 기자공개 2022-11-18 08:35:47
이 기사는 2022년 11월 17일 17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처럼 급격한 금리 상승기가 인수합병(M&A)을 시도하기에 좋은 시점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현 상황에서는 기업의 시장가격(Market Price)이 내재가치(Intrinsic Value) 대비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과거 금리 상승기에 성공적인 M&A 사례가 다수 나왔다는 점도 근거로 제시됐다.남상욱 딜로이트안진 딜 부문장(사진)은 17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더벨 사모투자포럼(Private Market Investment Forum)에서 “현재는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하며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며 “이런 시기에는 기업의 내재가치보다 시장가격 하락폭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실질금리는 명목이자율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율을 뺀 수치를 말한다. 소비, 투자, 자산시장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어 기업의 시장가격에도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로 꼽힌다.
최근 수년 동안은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상태였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현금 보유를 회피하고 주식 등 위험자산을 포함한 자산시장에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실질금리가 상승하며 플러스로 전환됐다. 연초 대비 나스닥 지수가 약 31%, S&P500 지수가 약 20% 하락한 점 등이 실질금리 상승으로 자산시장이 하락 압력을 받은 사례로 제시됐다.
올해 이전에는 최근 10년간 실질금리가 플러스로 전환된 시기가 2008~2009년, 2017~2019년이었다. 이 시기에는 실질금리 상승으로 시장의 비합리성이 증가하며 기업의 내재가치와 시장가격의 괴리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남 부문장은 “과거 실질금리 상승기에는 국내 기업의 시장가격 역시 전반적으로 하락했다”며 “이 시기에 이뤄진 M&A는 이후 시장가격이 내재가치에 맞게끔 오르면서 주관적인 기준에서는 성공적으로 이뤄졌다고 평가할 만한 부분이 있었다”고 말했다.
실질금리 상승기에 이뤄진 우수 M&A 사례로는 2009년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어피너티 컨소시엄의 OB맥주 인수, KT의 금호렌터카(현 롯데렌터카) 인수 사례 등을 꼽았다. OB맥주는 18억달러에 인수된 뒤 2014년 AB인베브에 58억달러에 매각됐다. 3000억원에 인수된 금호렌터카는 2015년 1조200억원의 인수가를 제시한 롯데그룹을 새 주인으로 맞았다.
남 부문장은 실질금리가 상승하는 시기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투자 대상이 될 수 있는 시장가격이 과도하게 하락한 기업을 찾아내기 위해 내재가치 파악이 중요하다는 점도 설명했다.
남 부문장은 “실사 등을 통해 내재가치를 파악하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만 이는 매우 중요하다”며 “시장가격은 시간이 흐르면 결국에는 내재가치로 향해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신생 코발트인베-VCM 컨소, 엠플러스운용 인수 완주할까
- 애경그룹, AK플라자 대신 중부CC 파는 이유는
- IMM인베, 1.5조 목표 '10호 인프라펀드' 조성 본격화
- [thebell League Table]김앤장, 1위 지켰다...세종·광장 초박빙 2위 경쟁
- [한화 아워홈 인수추진]'펀딩 순항에도…' 삼녀, 한화 딜 클로징에 의구심 지속
- '일정 변경 없다' SK에코플랜트, 내년 7월 IPO 간다
- 스텔라인베스트먼트, 청과물 도매법인 구리청과 인수
- [LP Radar]2년 만에 재개' 교공 PE 출자, LOC 확보 하우스 강세 전망
- [프로젝트펀드 앵커LP 점검]교직원공제회, 우량 딜 선별투자 기조 이어간다
- 한앤코, SK해운 벌크선 2척 우양상선에 매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