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 수수료 점검]HL만도 공모채 '성과보수' 없애나2018년 이후 5bp 안팎 성공수수료 지급…올해 2년만에 신고서에서 언급 사라져
안준호 기자공개 2023-04-24 07:22:45
이 기사는 2023년 04월 20일 15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공모채 발행을 앞둔 HL만도가 보수 체계에 변화를 줬다. 대표 주관사에 지급하던 성과 보수를 이번 발행에서는 없앴다. 과거 발행에서는 매번 빼놓지 않고 5bp 가량의 성공 수수료를 주관사단에 지급했다.이번 발행에서 대표 주관사단이 대폭 늘어난 만큼 수수료도 다르게 적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3~4개의 증권사를 주관사로 선정했으나 이번에는 7개사로 구성된 대규모 주관사단을 꾸렸다. 규모를 고려하면 이번에도 수수료율 자체는 적은 편이 아니다.
HL만도는 공모채 시장을 꾸준히 찾는 정기 이슈어(Issuer)로 꼽힌다. 지난해 한 차례 발행을 쉬었지만 이전까지는 매년 한 차례 회사채를 찍었다. '파트너'인 주관사에 대한 보상 역시 확실한 기업으로 꼽혔다. 업계 평균보다 많은 20bp 수준의 수수료를 오랜 기간 유지해 왔다. 별도로 주관수수료를 책정해 주관사단에게는 최대 30bp 가량의 수수료를 지급했다.
직전 발행이었던 2020년, 2021년까지는 이런 기조를 유지했다. 2020년 일반회사채(SB) 발행 과정에서는 인수수료율 20bp, 대표주관수수료율 5bp에 더해 성과수수료를 5bp 지급했다. 대표주관사인 미래에셋대우와 삼성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에겐 총 30bp에 해당하는 수수료율을 적용했다.
성공수수료는 딜 진행을 맡은 주관사와 기여도가 인정되는 인수단에 지급하는 성과보수다. 기업공개 등 주식자본시장(ECM)에서는 일반적으로 나타나지만 회사채 시장에서는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사례는 아니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성공수수료 자체가 일반적으로 지급되는 것은 아니며 이 역시 사전 협의한 발행 조건이 충족될 경우 지급하는 방식이 대다수"라고 설명했다.
만도는 지난 2018년 성공수수료를 처음 도입했다. 방식은 다양했다. 5bp였던 성공보수를 10bp로 지급한 사례도 있었다. 2019년에는 트렌치에 따라 3~5bp로 차등화된 성과수수료율을 적용하기도 했다. 그룹 최초로 SRI채권(사회책임투자채권, ESG채권)을 발행했던 2021년에는 모든 트렌치에 3.4bp의 성공수수료를 지급하며 추가 보수를 챙겨줬다.
이번 발행에서는 성공수수료율이 적용되지 않았다. 주관수수료는 5bp, 인수수수료 20bp를 지급하기로 했다. 주관사단과 인수단에 각각 25bp와 20bp의 수수료율이 적용되는 셈이다. 이를 감안한 수수료 총합은 255bp다.
마지막으로 일반회사채(SB)를 발행했던 2020년의 경우 주관사단에 지급된 수수료율은 270bp로 나타났다. 당시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 NH투자증권과 KB증권이 대표주관사을 맡았다. 인수회사로는 신영증권, 신한투자증권, 우리종합금융, 하이투자증권, 한국산업은행, 현대차증권이 참여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발행을 위한 증권신고서에 성공수수료에 대한 언급이 없는 만큼 발행 결과와 무관하게 동일한 수수료가 지급될 것으로 보인다"며 "오랜 기간 성과보수 지급을 해왔는데 이번 발행을 계기로 기조가 바뀔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HL만도 관계자는 "증권신고서에서 성과보수에 대한 언급이 사라진 것은 맞지만 지급 여부에 대해 현재 결정된 바는 없다"며 "발행 결과에 따라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JLK-LVO' 혁신의료기기 통과
- [i-point]포커스에이아이,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유공 표창장 수상
- [thebell interview]"매출 1000억 이어 신사업 두 마리 토끼 잡을 것"
- [Red & Blue]테마 바람 탄 아이스크림에듀, 사업 경쟁력 '재조명'
- 제노스코 '상장 불발' 이후, 오스코텍·메리츠 복잡한 셈법
- [클리니컬 리포트]동아ST의 메타비아, 위고비 빈틈 겨냥 '비만약' 내약성 입증
- 유유제약, 수익성 개선에 쌓이는 현금 '차입 축소' 행보
- 동성제약, 자금조달 '총력' 자사주 매각 이어 20억 유증
- 성숙기 접어든 KDDF, 지원과제 늘리고 투자유치 스퍼트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브릿지바이오 "상폐 임박? 넥스트도 지원군도 있다"
안준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독보적이던 수익성의 '둔화'…해외 진출로 반전 꾀한다
- [동원F&B 상장폐지]'밸류업' 고려한 구조 재편, 주가에도 '호재'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몸값 올라간 'K패션' 대표주자, 내년 상장 도전
- '노티드' 운영사 GFFG, 실적 턴어라운드 배경은
- 티몬 인수 ‘8부 능선’ 오아시스…'데이터·브랜드' 주목
- [주류 스마트오더 점검]데일리샷 김민욱 대표 "주류 이커머스 잠재력, 여전히 유효"
- 'A+' 오른 삼양식품, 조달 계획 없는 이유는
- 더핑크퐁컴퍼니, '손실 지속' 홍콩 자회사 매각
- 바이오비쥬, 공모 일정 연기…1분기 잠정 실적 반영
- [주류 스마트오더 점검]날개 단 편의점, 플랫폼과 '동반 성장'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