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분석]솔브레인, 삼성전자 신뢰 덕 '후계 승계'도 착착주식교환 상대방 '머티리얼즈파크', 오너 2~3세가 지분 보유
김경태 기자공개 2023-11-10 09:40:21
이 기사는 2023년 11월 09일 07시33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솔브레인그룹은 삼성전자와 주식교환(지분스왑)을 통해 최대 거래처의 굳건한 신뢰를 재확인했다는 점 외에 또 다른 효과도 누렸다. 삼성전자에 솔브레인홀딩스 주식을 넘겨받은 머티리얼즈파크는 오너 2~3세가 지분을 보유한 곳이기 때문이다. 솔브레인그룹으로서는 지주사 지배력을 보충하는 한편 향후 승계에 관한 준비도 하는 일석이조 이상의 거래를 한 셈이다.◇삼성전자 거래 상대방 머티리얼즈파크, 솔브레인그룹 오너 2~3세 지배 법인
삼성전자는 지난달 30일 머티리얼즈파크와 솔브레인·솔브레인홀딩스 주식교환계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가 보유한 솔브레인홀딩스 주식 전량(46만1741주)를 머티리얼즈파크에 넘기고, 머티리얼즈파크가 가진 솔브레인 주식 6만3971주를 삼성전자가 넘겨받았다. 거래는 이달 1일 완료됐다.
이번 거래는 솔브레인그룹이 최대 고객사인 삼성전자의 신뢰를 재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 삼성전자가 지주사 지분을 넘기는 대신 사업회사인 솔브레인의 지분율을 더 높이며 앞으로도 협력 관계를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였기 때문이다.
다만 솔브레인그룹 입장에서는 다른 차원에서도 상당한 의미를 지니는 거래다. 삼성전자와 주식교환 거래를 한 상대방이 머티리얼즈파크이기 때문이다. 머티리얼즈파크는 정지완 솔브레인 회장의 자제와 손주가 지분을 보유해 지배구조와 후계 승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머티리얼즈파크의 최대주주는 지분 40.61%를 보유한 정호경 솔브레인홀딩스 전략기획부실장(전무)이다. 이 외에 지분은 애초 정 회장의 자녀인 고 정석호 이사가 갖고 있었다. 그가 고인이 된 후 여식인 정호경 씨가 물려받았고 지분율은 20.17%다. 나머지는 자사주 39.22%다.

◇삼성전자 신뢰 덕 후계 승계 준비 탄력받나
솔브레인그룹은 2020년 7월 지주사 체제로 전환했다. 현재 지배구조의 정점에는 솔브레인홀딩스가 있고 휘하에 솔브레인을 거느리고 있다.
현재 솔브레인그룹 오너일가의 지배력은 확고하다. 오너일가의 솔브레인홀딩스 지분율은 75.64%에 달한다. 정 회장이 지분 55.89%를 보유해 최대주주다. 정 회장의 부인인 임혜옥 솔브레인나눔재단 이사장의 지분율은 14.61%로 2대주주다.
향후 안정적인 후계 승계를 위해서는 상속이 이뤄지기 전에 오너 2~3세들의 점진적인 지분율 확대가 필요하다. 정 전무와 정호경씨는 솔브레인홀딩스 지분을 각각 2.38%, 1.93% 들고 있기는 하다. 다만 자체적인 자금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자녀들이 지배하는 법인이 지주사의 지분을 매입한다면 후계 승계에 보탬이 될 수 있다. 정 전무와 정호경씨가 지분을 보유한 머티리얼즈파크가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지목되는 이유다. 머티리얼즈파크는 이번 삼성전자와의 주식교환 거래를 통해 존재 이유를 입증한 셈이 됐다.
최근 머티리얼즈파크가 계열사의 도움을 바탕으로 호실적을 지속하고 있어 지주사 지분을 매입할 여력도 충분한 것으로 분석된다. 머티리얼즈파크의 작년 매출과 영업이익은 808억원, 영업이익은 121억원이다. 작년 매출 중 솔브레인을 통해 발생한 금액은 187억원이다.
정 회장이 머티리얼즈파크를 적극 돕는다는 점도 있다. 정 회장은 지분 100%를 보유한 '씨제이더블유글로벌'이라는 개인회사를 갖고 있다. 이 법인을 통해 2018년 머티리얼즈파크가 갖고 있던 골프클럽 '킹스데일'을 매입했다. 킹스데일 지분 51.11%를 396억원에 인수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SK그룹, 실트론 매각 추진 배경 '오너 지분 탓'
- [Company Watch]삼성메디슨, 소니오 시너지 가시화 '아직'
- [Company Watch]삼성전자, 실적 버팀목 MX…'노태문 직대' 힘실리나
- '파운드리 끈기' 삼성, 빅테크 영업에 'ARM 출신' 투입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