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 밝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 안 판다 우호적인 시장 분위기 영향, 매각 없이 '추가 성장' 전략 선회
임효정 기자공개 2025-02-14 17:59:05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4일 17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CJ제일제당이 그린바이오사업을 매각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간 MBK파트너스 등 대형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를 비롯해 매화, 광신 등 중국 내 전략적투자자(SI)가 적극적 관심을 보이며 인수를 타진해왔다. 하지만 CJ제일제당은 최종적으로 현 시점에서는 매각의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그린바이오사업을 매각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주요 원매자들에게 관련 내용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그린바이오사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공격적인 R&D 투자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기술 우위를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파악됐다.
변화된 시장 분위기가 이번 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CJ제일제당의 그린바이오사업을 둘러싼 최근 사업 환경은 갈수록 우호적인 상황이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맞물려 관세 폭탄의 수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는 것도 긍정적 요인이다.
톱티어 그린바이오 기업 중 유일하게 미국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데다 유럽 그린바이오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 역시 성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유럽 그린바이오 수요를 자국 내 기업에서 소화가 불가능해 CJ 인니 공장의 수출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사업의 경우 자국 내 자체 수요를 대응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세 영향도 비껴갈 수 있는 상황이다.
그린바이오사업은 지난해 큰 폭으로 실적이 개선되면서 그룹 내에서도 알짜사업으로 꼽혔다. 내수 경기 침체로 인한 식품 수익성 악화를 보완해주고 있다는 평가다. 이 때문에 현재 매각이 급하지 않다는 시각도 우세했다.
CJ제일제당 그린바이오사업부문의 예상 몸값은 6조원대로 추산됐다. 올해 매출 4조원,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나온 M&A 매물들 가운데 가장 몸값이 높았다.
CJ제일제당은 모건스탠리를 자문사로 선정하고 그린바이오사업 매각 작업을 진행했다. 지난 12일이 본입찰 마감일이었다. 후보자 가운데 MBK파트너스가 유력 원매자로 거론된 상태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우리기술 사업 돋보기]연이은 해외 수주 낭보, 매출 규모 '껑충'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비이아이, 하반기 LMB 양산 돌입…2027년 IPO 계획
- [VC 투자기업]중고에서 길 찾은 트렌비…월 BEP로 생존력 증명
- [VC 투자기업]'위피·콰트' 엔라이즈, 흑자전환…"올해 글로벌 방점"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1000억 밸류 도전 미스터아빠, 1분기 매출 200억 달성
- 혁신산업펀드 출자 '흥행'…패자부활 전략 통했다
- 경남지역혁신펀드, 케이런벤처스 반전서사 쓸까
- [유증&디테일]'1조 그룹' 오텍, 재무 건전성 '시험대'
- 사외이사를 발굴하는 SK의 안목
- [TAX & 밸류업]미미한 법인세 효과, 그마저도 추진 실패
임효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피자헛, 인가전 M&A 닻 올렸다
- 새주인 찾는 '티오더', 최대 2000억 유증 카드 꺼냈다
- 'DIP 카드' 김병주 MBK 회장, 직접 출연 아닌 보증 택했다
- '고려아연 우군' 베인캐피탈, 브릿지론→인수금융 대환 나선다
- SK시그넷 남긴 SK그룹, 조직 슬림화 '속도' 낸다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오창걸 서현 재무자문 대표 "R&D랩·DB, 차별화 전략 자산 강점"
- MBK-영풍 연합, 고려아연 '정기 주총 효력정지' 가처분 낸다
- HMM, SK해운 '일부 사업부 vs 선박' 인수 저울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