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10월 29일 07:0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MBK파트너스가 재계에 던진 화두의 파장이 상당하다. 과연 오너 경영만이 정답인가. 견제 장치는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가. 오너 경영하에 주주들은 행복한가. 현실적 인식부터 철학적 주제까지, 이번 MBK파트너스의 고려아연 인수 도전은 먼 훗날 경영학 교과서의 한 페이지를 장식할 것임이 분명하다.다만 MBK파트너스 입장에선 이제부터 맞닥뜨려야 할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고려아연이 마지막 딜은 아닐테니 말이다. 재계에 던진 화두의 무게, 과연 그 무거움을 감당할 수 있을까.
시장의 관측은 크게 두 갈래다. 먼저 더 이상 국내 대기업들과 일하기 힘들 것이란 비관론이다. 기업은 하나의 인격체다. 살아 움직인다. 당연히 가족도 있다. 대기업들은 그 범위가 더 넓다. 혈연과 혼맥으로 이어진 하나의 거대한 네트워크다.
고려아연이란 기업 또한 마찬가지다. 대한민국 재계의 한 축을 맡고 있는 거대한 기둥이다. 그런 고려아연과 척을 졌으니 얼마나 많은 기업들이 등을 돌렸겠는가. 오너 경영의 잘못을 지적한 날카로움이 결과적으로 부메랑이 되고 있다는 지적 또한 나온다.
이미 출자 사업에서 그 징후가 나오고 있다. 공제회와 연기금 등 주요 투자자들이 MBK파트너스에 출자하는 것에 대해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전언이다. 당장 가장 최근에 과학기술인공제회 출자 사업에서 MBK파트너스가 고배를 마셨다. 고려아연 사태 이전 국내 출자사업에서 연전연승을 하고 있었던 터라 그 결과에 시장의 이목이 더욱 집중됐다. 과연 보이지 않은 손이 작동한 것일까.
다만 반대 의견도 있다. 오히려 일복이 터질 수 있다는 반론이다. 국내 기업들은 성장기를 지나 이제 성숙기에 접어들었다. 자연스럽게 다양한 형태의 지배구조가 나오고 있다. 1세대에는 탄탄한 오너십 경영이 가능하지만 세대가 지날수록 그 형태와 구조가 복잡해지고 있다. 어느덧 4세 경영 시대에 접어든 기업들도 상당하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집단 간의 마찰이 빚어지고 있다. 비단 고려아연만의 문제가 아니다. MBK파트너스는 이 시장을 선점한 시장 지배자다.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다른 투자사들은 경험할 수 없는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했다.
실제 지배구조 이슈에 노출돼 있는 상당수의 기업들이 이미 MBK파트너스를 찾아가고 있다는 말들도 들리고 있다. 새로운 시장 개척자에게 많은 일들이 몰리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그 많은 과실을 MBK파트너스가 향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MBK파트너스는 동북아 최대 규모의 PEF 운용사다. 한국 시장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이 주 무대다. 한국 시장에만 특화된 투자 전략이 있는 것은 아니다. 결국 이 시장들을 관통하는 투자 철학이 존재해야 한다.
이번 고려아연 투자의 핵심은 바로 '주주가치' 제고다. 이 투자 프레임으로 봐야 고려아연 투자의 본질이 보인다. 경영권 분쟁과 적대적 M&A는 부수적인 방법론이다.
MBK파트너스의 미래 또한 이 본질과 철학을 좇는 과정이 될 것이다. 그 과정에선 협업과 협력이 있을 수도 있고 분쟁과 갈등도 불거질 수 있다. 투자 원칙을 위해서라면 트러블메이커도 마다하지 않은 배짱과 용기가 있을 뿐이다. 해결사와 싸움꾼, 아니면 그 중간 어느 지점? MBK파트너스의 미래가 궁금해진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thebell interview]"블록체인에 지식그래프 입힌 클레어, B2G 시장 공략"
- [이슈 & 보드]삼성전자 자기주식 매입, 허은녕 사외이사만 기권
- [더벨 경영전략 포럼 2024]"외부 리스크 높은 국내 석유화학, 원료·수출 다변화 필요"
- [더벨 경영전략 포럼 2024]"헤게모니 전쟁 승리 원하는 트럼프, 고금리 정책 펼 가능성"
- [더벨 경영전략 포럼 2024]"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2% 안 될 수도…불황 장기화 대비"
- 미국 DOGE와 한국의 관치금융
- 베일에 가려진 임원 '보상기준'
- [thebell note]이상고온과 날씨경영
- 한국 대주단의 '악셀사태' 성장통
- 한앤코와 SK의 영리한 '상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