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인더스트리

신라젠, 'SJ-607' 첫 해외특허의 의미 '플랫폼 L/O 가능성' 모태 기술 특허 장벽, 선도물질 SJ-650 중심 기술이전 작업 시작

김성아 기자공개 2025-02-05 09:20:55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18시2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라젠이 항암바이러스 플랫폼 'SJ-600' 시리즈의 첫 해외 특허 등록을 마쳤다. 이번 특허 취득은 그간 펙사벡 ‘원툴’ 기업으로 불리던 신라젠의 후속 파이프라인이 기술이전 채비를 마쳤다는 의미다.

특히 SJ-600 시리즈는 단일 후보물질이 아닌 플랫폼 기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더 크다. SJ-600 시리즈에 적용된 GEEV 플랫폼 기술은 그간 항암바이러스 치료제의 한계로 꼽혔던 정맥 투여 시 낮은 종양 전달률 개선이 핵심이다. 신라젠은 SJ-600 시리즈의 전임상 데이터를 통해 빠른 기술이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SJ-600 시리즈 핵심 ‘SJ-607’ 일본 특허 “원천 기술 장벽”

신라젠은 SJ-600 시리즈의 모태가 되는 GEEV 플랫폼 기술인 SJ-607의 일본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항암바이러스 치료제는 바이러스 기반 약물이라는 한계로 체내 방어 시스템인 보체에 의해 약효가 약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정맥 투여가 편의성이 더 높고 치료영역(TA)이 넓지만 이 단점 때문에 항암바이러스 치료제는 종양 직접투여가 가능한 피부암 등에 적응증이 국한돼 왔다.

SJ-607은 보체조절단백질 CD55를 바이러스 외피막에 발현시켜 중화항체에 의한 무력화 극복과 면역세포 공격 회피를 통해 정맥 투여로도 종양까지 전달률을 높인다. 정맥주사를 통해 전신에 투여할 수 있어 고형암은 물론 전이암까지 직접적으로 약물 전달이 가능하다.

신라젠 관계자는 “SJ-600 시리즈는 플랫폼 기술로서 기존 항암바이러스 치료제의 항암 효과에 다른 항암제를 탑재해 효능을 배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후속 파이프라인 도출 가능성으로 기술이전 후보군이 더 넓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신라젠은 SJ-607을 기반으로 한 최신 파이프라인 SJ-640, SJ-650을 도출했다. 앞선 관계자는 “SJ-607은 SJ-600시리즈의 큰 형님이라고 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특허 장벽을 걸어 놓는 것”이라며 “추후 SJ-640, SJ-650 등 후속 파이프라인도 특허를 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SJ-650 L/O 로드맵 시작, 본임상 진입 예상 시점 2027년 이전 L/O 목표

신라젠은 SJ-600 시리즈 파이프라인 중 가장 효능이 높은 SJ-650을 선도물질로 확정했다. SJ-607 특허 취득 시점을 기점으로 SJ-650 중심 기술이전 작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SJ-650은 현재 본임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 패키지 마련에 나섰다. 신라젠은 지난 1월 이탈리아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레이테라와 SJ-600 시리즈 관련 CDMO 포괄적 협력 계약을 맺었다. 양사는 우선 SJ-650 상업화를 위한 GMP 공정개발과 임상 진입용 물질 생산에 나선다.


이를 위한 투입 자금도 이미 확보한 상태다. 신라젠은 지난해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모집액 1032억원 중 16%에 해당하는 170억원가량을 SJ-600 시리즈 R&D에 투입한다. SJ-650의 예상 본임상 진입 시점인 2027년까지 임상시험용 의약품 제조에 투입되는 비용만 100억원 수준이다.

신라젠 관계자는 “기술이전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는 시기가 본임상 진입을 위한 임상진입용 약물 규격이 나왔을 때”라며 “SJ-650 기술이전 목표 시점은 올해부터 내년 사이 기간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신라젠은 SJ-650의 기술이전을 위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과 함께 전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논문 작성을 진행 중이다. 논문 발표는 연내 이뤄질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