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젠, 'SJ-607' 첫 해외특허의 의미 '플랫폼 L/O 가능성' 모태 기술 특허 장벽, 선도물질 SJ-650 중심 기술이전 작업 시작
김성아 기자공개 2025-02-05 09:20:55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18시2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라젠이 항암바이러스 플랫폼 'SJ-600' 시리즈의 첫 해외 특허 등록을 마쳤다. 이번 특허 취득은 그간 펙사벡 ‘원툴’ 기업으로 불리던 신라젠의 후속 파이프라인이 기술이전 채비를 마쳤다는 의미다.특히 SJ-600 시리즈는 단일 후보물질이 아닌 플랫폼 기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더 크다. SJ-600 시리즈에 적용된 GEEV 플랫폼 기술은 그간 항암바이러스 치료제의 한계로 꼽혔던 정맥 투여 시 낮은 종양 전달률 개선이 핵심이다. 신라젠은 SJ-600 시리즈의 전임상 데이터를 통해 빠른 기술이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SJ-600 시리즈 핵심 ‘SJ-607’ 일본 특허 “원천 기술 장벽”
신라젠은 SJ-600 시리즈의 모태가 되는 GEEV 플랫폼 기술인 SJ-607의 일본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항암바이러스 치료제는 바이러스 기반 약물이라는 한계로 체내 방어 시스템인 보체에 의해 약효가 약화된다는 단점이 있다. 정맥 투여가 편의성이 더 높고 치료영역(TA)이 넓지만 이 단점 때문에 항암바이러스 치료제는 종양 직접투여가 가능한 피부암 등에 적응증이 국한돼 왔다.
SJ-607은 보체조절단백질 CD55를 바이러스 외피막에 발현시켜 중화항체에 의한 무력화 극복과 면역세포 공격 회피를 통해 정맥 투여로도 종양까지 전달률을 높인다. 정맥주사를 통해 전신에 투여할 수 있어 고형암은 물론 전이암까지 직접적으로 약물 전달이 가능하다.
신라젠 관계자는 “SJ-600 시리즈는 플랫폼 기술로서 기존 항암바이러스 치료제의 항암 효과에 다른 항암제를 탑재해 효능을 배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후속 파이프라인 도출 가능성으로 기술이전 후보군이 더 넓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신라젠은 SJ-607을 기반으로 한 최신 파이프라인 SJ-640, SJ-650을 도출했다. 앞선 관계자는 “SJ-607은 SJ-600시리즈의 큰 형님이라고 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특허 장벽을 걸어 놓는 것”이라며 “추후 SJ-640, SJ-650 등 후속 파이프라인도 특허를 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SJ-650 L/O 로드맵 시작, 본임상 진입 예상 시점 2027년 이전 L/O 목표
신라젠은 SJ-600 시리즈 파이프라인 중 가장 효능이 높은 SJ-650을 선도물질로 확정했다. SJ-607 특허 취득 시점을 기점으로 SJ-650 중심 기술이전 작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SJ-650은 현재 본임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 패키지 마련에 나섰다. 신라젠은 지난 1월 이탈리아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레이테라와 SJ-600 시리즈 관련 CDMO 포괄적 협력 계약을 맺었다. 양사는 우선 SJ-650 상업화를 위한 GMP 공정개발과 임상 진입용 물질 생산에 나선다.
이를 위한 투입 자금도 이미 확보한 상태다. 신라젠은 지난해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모집액 1032억원 중 16%에 해당하는 170억원가량을 SJ-600 시리즈 R&D에 투입한다. SJ-650의 예상 본임상 진입 시점인 2027년까지 임상시험용 의약품 제조에 투입되는 비용만 100억원 수준이다.
신라젠 관계자는 “기술이전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는 시기가 본임상 진입을 위한 임상진입용 약물 규격이 나왔을 때”라며 “SJ-650 기술이전 목표 시점은 올해부터 내년 사이 기간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신라젠은 SJ-650의 기술이전을 위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과 함께 전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논문 작성을 진행 중이다. 논문 발표는 연내 이뤄질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지분 매각 끝 TCC스틸, 승계작업 본격화하나
- [i-point]폴라리스AI파마, 도메인 특화 AI ‘제약 ASK-Doc’ 개발 '박차'
- [IR Briefing]'전기차 전력변환 부품사' 모티브링크 “현대차와 인도 진출"
- [i-point]휴림로봇, 자율이동로봇 시장 확대 본격화
- [컨콜 Q&A 리뷰]'관세 태풍' 앞에 선 포스코, 일단은 '침착 모드' 유지
- [IR Briefing]LG화학, 'CAPEX' 또 줄인다...양극재 캐파 조정
- 'KDDX' 다시 고개드는 분할건조 "불가능" vs "선례 있어"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영풍-MBK, 순환출자 해소보다 법적대응 먼저 나선 배경은
- [Earning & Consensus]'최대 실적' 한국타이어, '영업익 32% 급증' 배경은
- 최태원 회장-올트먼 CEO 3차 회동…AI동맹 급물살타나
김성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신라젠, 'SJ-607' 첫 해외특허의 의미 '플랫폼 L/O 가능성'
- 존재감 돋보인 케이캡, 보령·종근당 실적 희비 갈랐다
- [트럼프발 관세전쟁]'제네릭·시밀러' 지지했지만…'MAGA'에 힘 잃은 기대감
- [오름테라퓨틱 IPO]'DAC' 선두여도 밴드입성 불발, 첫 도전 시총 절반 4000억
- [동국생명과학 IPO]탄탄한 매출도 역부족, 수요예측 부진에 공모가 줄었다
- 이오플로우, 오너 지분 담보 'NPE'에 유휴자산 매각
- [바이오 스펙트럼 리포트]폴리우레탄서 싹 튼 소재 바이오, 동성케미컬 '제네웰'의 도전
- [바이오 스펙트럼 리포트]동성케미컬, 바이오플라스틱 가능성 겨냥 '생태계' 조성 주목
- SK바이오팜 이동훈 대표의 셔틀경영, 올해는 키닥터 공략
- 8000억 부채상환 약속지킨 삼성바이오로직스, 다시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