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7년 09월 11일 14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의 고민거리는 좀처럼 의미 있는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국내 주택사업이다.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졸업 이후 경쟁력을 회복한 해외와 달리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김 회장은 요즘 회의 때마다 국내 주택사업을 입에 올린다고 한다.최근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여온 건설사 대부분은 분양 사업에 전념해온 중견 건설사다. 2013년부터 시작된 국내 아파트 시장 호황과 맞물려 오름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쌍용건설은 시대의 흐름에 편승하지 못했다. 대신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 자금난으로 워크아웃 절차를 진행하던 중 2013년엔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그 여파로 신용등급이 악화됐고 수주 부진으로 이어졌다. 외형도 자연스레 축소됐다.
주택 브랜드 '예가'도 시장에서 차츰 경쟁력을 잃어갈 수밖에 없었다. 2012년 6월 아파트 분양을 끝으로 쌍용건설은 분양 시장에서 자취를 감췄다.
쌍용건설이 다시 분양 시장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4년 후인 지난해 10월이다. 오랜 공백기로 인해 '예가'에 대한 인지도가 하락했기 때문일까. 성적은 기대치를 밑돌았다.
쌍용건설은 전력 보강에 나섰다. 올초 삼성물산 출신 주택 담당 임원을 영입했다. 부족한 브랜드 인지도를 감안한 전략도 세웠다. 리모델링 시장이 주 타깃이다. 정부 규제가 리모델링 시장은 비켜갔기 때문이다.
다만 이 같은 전략이 실적에 어떻게 반영될지는 미지수다. 최근 주택 시장은 호황기를 구가하던 시절과 분위기가 다르다.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책으로 국내 주택 경기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그만큼 리스크가 커졌다는 의미다.
때문에 주택 시장 확대 전략이 실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다. 관건은 부동산 규제로 인한 시장 냉각이 얼마나 이어질 지 여부다. 이 같은 우려 속에 쌍용건설이 주택사업에서 어떤 성적표를 받게 될 지 주목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SK스퀘어의 새판짜기]'스퀘어 임원' 이헌 대표, 티빙과 합병 완수 미션
- [i-point]폴라리스AI-식스팹, 국내 엣지컴퓨팅 시장 공략 협력
- [온코크로스 AI 신약 사업화 전략]대표급 'BD' 추대 의미, '사업화' 중심 의사결정 올인
- 기아, 전기차 목표 '내리고' 하이브리드 '올리고'
- 한화·LG, 한전과 영등포 데이터센터 구축 '맞손'
- [thebell note]찜찜했던 한진칼 주총
- [캐시플로 모니터]한일시멘트, FCF 순유입 전환…환경투자 '지속'
- [i-point]에스넷시스템, 시스코 주최 세미나 참여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Company Watch]지란지교시큐리티, 순손실 배경 'SSR' 영업권 손상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올인'
- 유안타증권, '보수적 기조' 유지…'랩'만 손봤다
- 투게더운용·LX공사, 논현동 오피스 개발 본격화
- [윤석열 대통령 탄핵]외인 국장 복귀 가능성, 펀드매니저 '촉각'
- 미래에셋운용, 내부통제 강화
- 미래에셋운용, TDF ETF 지금 출시된 이유
- [thebell desk]출구전략 필요한 ETF
- "강남 VVIP 타깃, 리빙트러스트 특화점포 만든다"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고소장'에서 물러선 증권사, 다음 스텝은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증권사 법적대응 카드, 형사 이어 '민사'까지 투트랙 유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