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 '美셰일가스 대출' 손실 우려 2016년 '확대여신위'서 담보가치 하락 인지, 예외조항 활용해 대출 연장
고설봉 기자공개 2020-09-28 07:16:18
이 기사는 2020년 09월 24일 13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수출입은행이 미국 셰일가스 프로젝트 대출로 인한 손실 리스크에 직면했다. 2016년 관련 대출 재구조화를 위해 개최한 확대여신위원회에서 담보가치가 하락했다는 점을 인지했지만 이를 그대로 단행한 여파다. 여신 리스크 관리 내부통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24일 더벨이 입수한 수은의 ‘2016년 제 17차 확대여신위원회 의사록’에 따르면 수은은 담보권에 대한 재평가를 생략하고 예외취급 조항을 적용해 에이티넘에너지(Atinum Energy Investments, LLC)에 2억1700만달러(약2600억원)를 대출했다.
에이티넘에너지는 미국 셰일가스 프로젝트 투자기업으로 국내 에이티넘파트너스의 계열사다. 수은이 에이티넘에너지에 최초 대출을 실시한 것은 2015년 8월이다. 당시 2억1700만달러(약 2600억원)를 대출했다. 에이티넘에너지는 이 과정에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와 텍사스주에 보유한 유전 개발 프로젝트 유·가스전 광권을 담보로 제공했다.
이후 2016년 9월 에이티넘에너지는 수은에 대출 재구조화(연장)를 요청했다. 수은은 예외조항을 적용해 대출을 연장해줬다. 더불어 담보인 광권에 대한 재실사를 건너뛰는 조건도 추가했다. 이후 에이티넘에너지의 광권 개발은 실패해고 연체가 발생하는 등 사실상 회수 불능 대출금이 됐다. 수은은 현재 해당 대출금 전액을 손실처리할 지 여부를 검토 중이다.
그런데 수은은 2016년 9월 개최된 확대여신위원회(17차)에서 해당 광권의 가치가 하락해 담보로서 기능을 상실했다는 점을 이미 인지했다. 1년만에 4분의 1 수준까지 떨어진 상태였기 때문이다. 당시 셰일가스의 가격이 크게 하락해 광권의 가치도 떨어졌다. 담보가치가 대출액보다 낮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대출을 재구조화해 손실을 키운 셈이다.
당시 17차 확대여신위원회에는 구성위원 11명 전원이 참석했다. 이덕훈 전 은행장과 홍영표·최성환·김성택·강승중·신덕용·김영수 전 부행장 등 경영진은 물론 비상임이사, 상임감사 등도 함께 했다. 또 당시 이태형 자원금융실장, 이진균 비서실장, 천헌철 여신총괄부장, 이도형 자원금융실 1팀장 등 4명도 배석했다.
위원회 회의 과정에 해당 대출 재구조화에 대한 의문을 표하는 목소리도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당시 회의록에 따르면 김영수 전 부행장은 “재구조화 과정에서 담보가치를 재평가 해야한다”며 “그런데 본건 재구조화안에 따르면 매장량의 가치 평가를 유예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이 건은 매장량을 기초금융으로 승인한 건으로 생산물, 예상생산물 등 매장량의 현재 가치를 바탕으로 한 금융제공방식”이라며 “여신세칙에서는 매년 차입한도(Borrowing Base) 재산정을 규정하고 있다”고 발언했다.
수은이 에이티넘에너지 대출 연장 근거로 삼은 건 '예외취급 조항'이다. 당시 여신총괄부장은 “세칙에 따라 은행장의 방침을 받고 여신 최고의사결정기구인 확대여신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예외취급할 수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금융실장과 여신총괄부장, 여신제도팀장 등 해당 대출에 관련된 실무자들은 이를 근거로 위원들을 설득했다. 또 일부 위원들은 대출 재구조화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도 보였다.
당시 자원금융실 1팀장은 “그냥 예외취급을 해주자는 것이 아니라 동 세칙에 따르면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사업주에게 추가출자, 배당제한 등의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며 “현재 차주가 즉시 상환할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고 배당제한 등의 조치를 한 점을 감안해 규정에 따라 은행장의 방침을 받고 본 승인 전결권자인 확대여신위원회에 부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회의를 거듭할수록 재구조화를 해주자는 주장이 더 커졌고 결국 위원들도 이에 동의했다. 당시 위원회에서 재연장 불가를 결정하고 대출금을 조기 회수했다면 손실 규모를 줄일 수 있었지만 전혀 다른 결정을 내린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예외조항을 통해 담보가치가 없는 대출을 재연장한 것은 사실상 특혜로 볼 수 있는 소지가 있다”며 “당시 회의록을 보면 리스크관리단장 등도 참석했는데 리스크에 대한 진단 및 평가를 전혀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수은 측은 이에 대해 "자원개발 사업의 특성을 고려해 미래가치를 보고 대출을 실행했는데 유가 변동을 정확히 판단하지 못했다"며 "현재 대출 회수를 위해 광권 매각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thebell interview]"젠시, AI가 상품 소개 작성…로봇 촬영까지"
- LG이노텍·LG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사업화 시동
- [Company Watch]시노펙스, 반도체 필터 성장에 혈액투석 신사업까지 '본궤도'
- [i-point]제이엘케이, 'JLK-LVO' 혁신의료기기 통과
- [i-point]포커스에이아이,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유공 표창장 수상
- [thebell interview]"매출 1000억 이어 신사업 두 마리 토끼 잡을 것"
- [Red & Blue]테마 바람 탄 아이스크림에듀, 사업 경쟁력 '재조명'
- 제노스코 '상장 불발' 이후, 오스코텍·메리츠 복잡한 셈법
- [클리니컬 리포트]동아ST의 메타비아, 위고비 빈틈 겨냥 '비만약' 내약성 입증
- 유유제약, 수익성 개선에 쌓이는 현금 '차입 축소' 행보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호타이어, 저금리 조달로 고금리 빚부터 갚는다
- [GM·르노·KGM 생존기]한국GM, 최대성과에도 못 웃었다
- [GM·르노·KGM 생존기]돌파구는 '수출', 전략은 '3인 3색'
- [감액배당 리포트]OCI홀딩스, 비상장사 내놓고 OCI 지분 14% 돌려받다
- [GM·르노·KGM 생존기]수입차에도 밀린 3사, 입지 좁아지는 내수시장
- [GM·르노·KGM 생존기]중견 3사의 저력, 2년 연속 '70만대 벽' 넘어섰다
- [감액배당 리포트]'실적 부진' KCC글라스, 자본준비금으로 배당재원 확대
- [감액배당 리포트]HS효성, 분리독립 첫해 배당재원 3000억 장전
- [감액배당 리포트]'세금없는' 배당, 제도 바뀌기전 자금회수 '러시'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그룹 중견해운사 버팀목 '대한해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