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사 리포트]대원강업, 허재철 회장이 강조한 ‘손익개선’ 언제쯤작년 2010년대 첫 당기순손실 기록, 코로나19·쌍용차 위기에 타격
김경태 기자공개 2021-03-22 11:30:45
[편집자주]
국내 자동차 부품사들은 현대차그룹을 중심으로 완성차업체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성장해왔다. 하지만 일부 거래처에 의존된 사업포트폴리오 때문에 실적과 재무에 큰 영향을 받았다. 여기에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를 비롯한 친환경차로 시장이 급격하게 바뀌는 변곡점을 맞이하면서 도태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산업이 어려워지면서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 더벨이 기로에 선 자동차 부품사들의 실적과 재무 등 경영 현황을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1년 03월 18일 14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원강업이 최근 수년간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손익 개선'이다. 허재철 대원강업 회장은 수익성 향상을 위한 사내 태스크포스팀(TFT) 활동을 직접 챙기며 의지를 드러냈다.하지만 큰 반전을 이루지 못했고 영업이익률은 대체로 하락세에 있었다. 작년에는 코로나19로 해외법인이 부진하고 주 거래처 중 하나인 쌍용차가 위기를 겪은 탓에 2010년대에 처음으로 손실을 기록했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대원강업의 작년 연결 매출은 8612억원으로 전년보다 10.3% 줄었다. 대원강업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줄곧 매출 1조원을 상회했다. 2016년 1조761억원을 거둔 뒤 4년 연속 외형 역성장을 기록하게 됐다. 작년 매출은 2010년(8140억원) 이후 최소다.
특히 작년 수익성이 크게 부진했다. 영업이익은 52억원으로 80.7%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0.6%다.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 27억원으로 적자다.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건 2010년대 처음이다.
특히 작년 수익성이 크게 부진했다. 영업이익은 52억원으로 80.7%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0.6%다.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 27억원으로 적자다.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건 2010년대 처음이다.

대원강업은 2012년까지 영업이익률이 6%를 웃돌았다. 그 뒤 점차 수익성이 악화하자 허 회장은 반전을 이루기 위해 각별한 관심을 갖고 챙겼다. 2016년11월에는 제품별 수익성 개선을 위한 TFT를 운영하면서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했다. 허 회장이 직접 참석했고 경영진 등이 참여했다.
그 후로도 매해 사업계획을 짤 때 이익 향상은 주된 화두였다. 작년 1월에도 사업개획의 수익성 개선 방안을 점검하기 위해 본사 경영진과 각 공장장, 해외법인장 등이 대거 참여해 발표와 토론을 했다.
그럼에도 지난해 부진이 심화했다. 사측 관계자에 따르면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코로나19로 인해 해외법인이 타격을 받았다는 점이다. 대원강업은 중국, 미국, 인도, 폴란드, 러시아, 멕시코에 생산 거점을 갖고 있다.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작년 1월 중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던 때 대원강업의 현지 공장이 장기간 가동을 중단했다. 이어 미국, 인도, 러시아, 멕시코 등 나머지 공장은 거래처의 셧다운과 현지 정부의 통행금지 등으로 4월에 생산 활동을 하지 못했다고 알려졌다.
이는 해외법인의 실적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대원강업의 연결 종속사 중 해외법인은 북경대원, 대원아메리카, 대원인디아, 대원유럽, 강소대원, 대원러시아, 대원멕시코 7곳이다. 7곳 모두 작년 적자를 기록했다. 대원아메리카의 당기순손실이 61억원으로 적자 규모가 가장 컸다. 그다음은 대원유럽(60억원), 북경대원(43억원) 순이다.
반면 대원강업의 종속사 중 지난해 상대적으로 선방하면서 버팀목이 된 곳은 삼원강재다. 삼원강재는 자동차 스프링용 소재인 압연제품을 생산해 대원강업과 상호보완 역할을 한다. 또 차량용 현가장치의 소재가공제품도 만든다. 작년 별도 매출은 2460억원으로 전년보다 8.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00억원으로 7.45%, 당기순이익은 81억원으로 22.18% 줄었다.

작년 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친 또다른 원인은 쌍용차 위기다. 대원강업의 최대 거래처는 현대차와 기아로 전체 매출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이 외에 GM, 크라이슬러, 폭스바겐, BMW 등 해외 자동차사와도 거래하고 쌍용차 역시 주요 고객이다.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쌍용차의 주요 협력사 5곳을 '쌍용차 탑건5'로 부르기도 하는데 대원강업은 이래오토모티브, 효림 등과 함께 포함된다고 알려졌다. 쌍용차가 작년 12월 회생절차 신청 후 자율구조조정프로그램(ARS)를 진행하면서 올들어서도 악영향을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허 회장은 올 1월19일 확대운영위원회에서 "쌍용차와 르노삼성, GM 등이 매우 불안정하고 또 반도체 수급 상태가 영향을 주고 있어 만만치 않은 상황"이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신한증권 '콥데이' 문전성시…운용업계 참여 '후끈'
- 외면받던 TDF ETF, 3년만에 재조명 배경은
- 신한PWM '라운지형' 리뉴얼 속속…반포센터 벤치마킹
- "강남 VVIP 타깃, 리빙트러스트 특화점포 만든다"
- NH증권, 신흥국에 주목…미국 주식 비중은 축소
- 한투밸류, '글로벌리서치배당인컴' 월지급형 내놓는다
- [Deal Story]'실적 주춤' LX하우시스, '파트너 보강'에 회사채 흥행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고소장'에서 물러선 증권사, 다음 스텝은
- [Deal Story]CJ제일제당, 공모채 조 단위 수요…금리도 '만족'
- [thebell note]VIP운용의 ‘최애 양성소’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