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 신영운용, 성장주 라인업 확장한다 영국계 베일리기포드와 협업, 글로벌 재간접 펀드 출시
황원지 기자공개 2023-09-21 15:27:26
이 기사는 2023년 09월 21일 14:0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대표 가치주 하우스인 신영자산운용이 성장주 라인업을 강화한다. 테슬라, 엔비디아 등 해외 성장주들에 장기투자해온 것으로 유명한 영국계 액티브 운용사 베일리기포드와 손을 잡고 재간접 펀드를 출시한다. 기존 강점인 가치주에 성장주 라인업을 더해 하우스 확장의 기회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21일 신영자산운용은 이날 주한 영국대사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영 베일리기포드 글로벌그로스 펀드’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허남권 신영자산운용 대표는 “신영자산운용은 그간 저평가된 가치주에 장기투자하는 전략을 주력으로 사용해 왔다”며 “성장주를 조기발굴해 투자하는 것으로 유명한 베일리기포드와 손을 잡고 성장주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출시하는 펀드는 ‘베일리기포드 월드와이드 롱텀 글로벌 그로스 펀드(Baillie Gifford Worldwide Long Term Global Growth Fund, 이하 LTGG)’에 재간접 투자하는 구조다. LTGG는 운용자산이 4조5000억원 규모인 글로벌 성장주 펀드다. 베일리기포드가 2004년부터 같은 전략으로 운용해 온 펀드를 해외에서 투자할 수 있도록 2016년 신규 출시했다.
LTGG는 베일리기포드 펀드 중에서도 압축 투자 전략으로 유명하다. 보통 글로벌을 대상으로 투자하는 대형 펀드들은 리스크 관리를 위해 투자종목의 수를 늘리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경우 종목이 많아질수록 지수를 추종하는 것과 유사해져 시장을 아웃퍼폼하긴 어렵다. 반면 LTGG 펀드는 지금보다 5배 이상 투자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기업만을 선별해 투자한다. 현재 투자종목은 총 37개에 불과하다.
베일리기포드는 1908년 설립돼 약 400조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는 영국의 대표적인 자산운용사다. 회사를 소유한 파트너들이 무한책임을 지는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어 독립성을 갖고 장기투자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테슬라에 11년 넘게 투자해 8000%, 엔비디아에 7년 이상 투자해 2800% 넘는 수익률을 올린 바 있다.
신영증권과의 오랜 인연을 이어오다가 이번에 신영자산운용과 손을 잡았다. 베일리기포드는 국민연금 등 연기금 자금을 받는 판매사 창구로 신영증권과 거래를 텄다. 2011년부터는 신영증권과 라이센스 계약을 맺고 국내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LTGG 펀드를 공급했다. 이를 리테일 대상 공모펀드로 출시한 게 이번 신영베일리기포드글로벌그로스펀드다.
이번 펀드 출시로 신영자산운용의 포트폴리오도 다변화될 전망이다. 신영자산운용은 그간 가치주와 배당주 펀드가 주력 라인업이었다. 가치주 펀드로는 ‘신영마라톤’, ‘신영마라톤중소형’ 등의 상품을, 배당주 펀드로는 ‘신영고배당’, ‘신영밸류고배당’ 등을 간판 상품으로 운영했다. 이번에 성장주 펀드를 추가하면서 더 다양한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을 전망이다.
허 대표는 “신영운용은 그간 현재가치 평가가 중요한 가치주 투자에 강점을 가져 왔다”며 “미래가치에 확신을 가지고 투자하는 실력을 가진 베일리기포드와 협업으로 인사이트를 배우고자 한다”고 말했다.
임서홍 베일리기포드 한국비즈니스 공동대표는 “지금이 성장주에 투자하기 좋은 시점이라고 생각한다”며 “금리 인상이 있었던 2022년은 성장주에 어려웠던 시기였으나 올해부터 시장 상황이 개선됐다”고 말했다.
신영 베일리기포드 글로벌그로스는 글로벌 시장에 투자하는 재간접 펀드로 환헤지형(H)과 환노출형(UH) 두 종류로 상품이 개설된다. 신영증권, KB증권, 하나증권, 한국포스증권, 유안타증권, IBK투자증권이 판매를 맡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우리넷, 이음5G 자체 시험망 구축
- 타임폴리오, 업계 최초 채용 연계 투자대회 성료
- [공매도 금지 후폭풍]‘선물로 헤지’ 코스닥벤처도 출렁…불안감 상존
- 타임폴리오, 130억 규모 메자닌펀드 추가 설정
- 하나증권 도곡역WM, 나홀로 투자 '스페이스X' 대박
- HMM 인수 추진 동원그룹, 사옥 유동화 가능성에 업계 촉각
- 우리은행, 에너지·인프라펀드 출자 지속…수익원 다각화
- 아이티센, 아주대·우즈베키스탄 ICT 인재 양성·취업 '맞손'
- '공개매수 추진' MBK, 한국앤컴퍼니 경영 주도권 쥔다
- [한화 건설부문 합병 1년]지주사 회피 목적 컸지만 '부수 효과 더 컸다'
황원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공매도 금지 후폭풍]‘선물로 헤지’ 코스닥벤처도 출렁…불안감 상존
- 캠코 800억 NPL 펀드 PT 마무리…운용사 각축
- 하이즈에셋 선구안 빛났다…케일럼 상승에 '방긋'
- 아샘운용, 베트남 채권펀드 자금모집 '순항'
- [thebell interview]“자체 알고리즘 활용 로보어드바이저로 퇴직연금 시장 진출”
- IPO 시장 훈풍에…공모주 재간접펀드 '활황'
- [액티브 ETF 맞수대결]다시 뛰는 반도체, 국내 투자 KBSTAR 성과 '발군'
- 헤지펀드 성과보수의 주인은
- [Red & Blue]펄어비스, 붉은사막 ‘한방’ 언제쯤 터질까
- [헤지펀드 운용사 실적 분석]아샘운용 실적 기지개…고유재산 성과에 회복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