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 Briefing]삼성SDS, 클라우드·첼로스퀘어 성장에 '밸류업' 더한다"이사회 중심 결정 추진"…3분기 매출·영업익 급증 '호실적'
김경태 기자공개 2024-10-31 07:36:09
이 기사는 2024년 10월 30일 16시04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SDS가 올 3분기 시장의 전망을 웃도는 실적을 거뒀다. 신성장동력인 클라우드사업과 디지털 물류 플랫폼인 첼로스퀘어 실적이 급증했다. 그룹 관계사와 거래가 여전히 높기는 하지만 외부 고객 확보에 적극 나서겠다는 방침이다.이날 삼성SDS는 밸류업 프로그램을 실행할 것이란 계획도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현재 이사회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다음 열릴 이사회에서 관련 내용이 결정될 전망이다.
◇매출·이익 '어닝서프라이즈', 주요 사업 대다수 선방
삼성SDS는 이날 오후 3분기 잠정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구형준 클라우드사업부장 부사장, 송해구 솔루션사업부장 부사장, 오구일 물류사업부장 부사장, 이정헌 전략마케팅실장 부사장, 서원석 IR팀 팀장 등이 참여했다.
이날 삼성SDS 발표한 실적은 '어닝 서프라이즈'였다. 올 3분기 연결 매출은 3조569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3%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528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1% 급증했다. 증권업계에서는 삼성SDS의 올 3분기 연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3조4700억원, 영업이익 2300억원 수준으로 예상했는데 이를 상회했다.

실적 성장을 견인한 사업으로는 클라우드를 꼽을 수 있다. 올 3분기 매출 6370억원을 거둬 전년 동기보다 35.3% 늘어 전 사업부문 중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클라우드사업 중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기반 클라우드서비스(CSP), 클라우드관리서비스(MSP),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사업 모두 성장했다.
사업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 그룹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태다. 구 부사장은 컨콜에서 "클라우드 MSP 사업의 현재 관계사 매출 비중은 80% 정도이고 Saas는 90% 정도"라면서 "전체적으로 초기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시엔 관계사 비중이 높지만 향후 대외사 비중을 높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컨콜에서 최근 삼성전자의 부진과 삼성SDS에 대한 영향을 묻는 질의도 나왔다. 이에 대해 이 부사장은 "전반적인 IT투자가 보수적일 가능성이 있지만 생성형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활용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당사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생성형AI와 클라우드 사업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류 부문에서는 첼로스퀘어의 선전이 돋보였다. 올 3분기 매출 320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배 이상 급증했다. 오 부사장은 컨콜에서 올해 첼로스퀘어의 연간 매출을 1조2000억원 전후로 전망했다.
그는 "첼로스퀘어는 고객사에게 데이터에 기반을 둔 밸류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리텐션율이 높다는 점에서 20% 수준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밸류업 프로그램 실행 준비 중, 이사회 중심 결정 추진
삼성SDS는 이날 컨콜에서 밸류업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라는 계획을 공개했다. 현재 이사회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는 상태로 다음번에 열릴 이사회에서 관련 내용이 결정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삼성SDS의 가장 최근 이사회는 이달 열렸고 다음 정기이사회는 1월에 열릴 예정이다. 다만 이 부사장은 컨콜에서 정기이사회 전에도 필요한 경우 이사회가 열릴 수 있기 때문에 더 빠르게 결정될 가능성을 열어뒀다.
그는 "주주환원 이외에도 중장기 성장계획이든 자기자본이익률(ROE) 개선이든 여러 내용이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철저히 준비 중"이라면서 "지난주 이사회 내 ESG위원회에 보고했고 추가로 이사들이 계획을 수립한 후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 삼성SDS, AI 시대 맞아 CSP 부문도 빠른 성장
- 삼성SDS, 클라우드 매출 'MSP'가 견인…CSP와도 '윈윈'
- 삼성SDS, 쑥쑥 크는 클라우드 매출 '신성장 효자' 등극
- '똑똑한 비서 장착' 삼성SDS, 생성형 AI 본토 공략
- 오브젠, 삼성SDS 수주 이어 증자까지 '체력회복'
- '체질개선' 삼성SDS, 클라우드 급성장에 2분기 '순항'
- 효성ITX, 삼성SDS 출신 홍혜진 부사장 대표이사 내정
- 'e삼성 출신' 시큐아이, 삼성SDS 품 안긴 뒤 '고속성장'
- 삼성SDS, 바이오전시회 첫 등장…키워드는 '의약품 물류'
- '삼성SDS 사내벤처 태생' 파수, DRM 최강자로 '우뚝'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SK그룹, 실트론 매각 추진 배경 '오너 지분 탓'
- [Company Watch]삼성메디슨, 소니오 시너지 가시화 '아직'
- [Company Watch]삼성전자, 실적 버팀목 MX…'노태문 직대' 힘실리나
- '파운드리 끈기' 삼성, 빅테크 영업에 'ARM 출신' 투입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