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경영위, 임원 성과급 주식 지급 주도했나 향후 주가 영향 고려 사외이사 논의 불참 지적…사후 이사회 보고 가능성
이돈섭 기자공개 2025-02-03 08:20:27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3일 15시50분 THE BOARD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전자가 임직원 성과급 절반 이상을 주식으로 지급키로 하자 시장에서 호평이 쏟아지고 있다. 이사회와 임직원, 주주 간 연결고리를 구축함으로써 본격적 주가 관리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하지만 이사회 공론화 과정 없이 경영진 판단만으로 해당 보상 정책이 도입됐다는 점에서 의사결정 과정이 적절했는지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최근 삼성전자는 올해부터 임원 초과이익성과급 일부를 주식으로 지급기로 결정했다. 임원 소속 사업부 실적이 연초 목표치를 넘어서면 해당 초과이익 20% 한도에서 상무는 성과급의 절반 이상, 부사장은 70% 이상, 사장은 80% 이상, 등기임원은 전량을 주식으로 지급한다는 것이다. 삼성전자가 성과급을 주식으로 제공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시장에서는 호평이 쏟아졌다. 임원 성과급을 주가에 연계시켜 기업 실적 확대뿐 아니라 주가 부양 의지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됐기 때문이다. 약정 체결 당시와 비교해 주가가 떨어지면 주식 지급 수도 작아지는 점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기업거버넌스포럼은 '주주와 이사회, 임직원 사이 연결고리 부재를 해결하기 위한 첫 단추'라고 평가했다.
거버넌스 관점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이번 정책을 둘러싼 의사결정 과정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이 향후 삼성전자 주가 향방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보는 만큼 이사회 의결을 거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데 입을 모은다. 하지만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사회에 해당 정책 실시 여부가 정식 안건으로 올라 검토가 이뤄진 바는 없다.
이사회 산하 경영위원회 안건으로 상정됐을 가능성은 있다. 한종희 부회 장(사진) 을 필두로 노태문 사장, 박학규 사장, 이정배 사장 등 사내이사 4명으로 구성된 경영위는 이사회에서 위임받은 경영 및 재무 등 사항을 결의한다. 여기에는 급여체계와 상여·후생제도 원칙을 결정하고 변경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 성과급 정책을 논의할 여지가 남아있다.
다만 경영위에 사외이사 가 참여하고 있지 않은 만큼, 실제 논의가 이뤄졌다고 하더라도 사외이사가 이번 정책 실시에 대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기회는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외이사가 참여하는 보상위원회와 지속가능경영위원회도 설치돼 있지만 두 위 원회 성격상 임원 성과급 정책 개편 여부를 논의했을 가능성은 낮다는 지적이다.
임원 성과급을 주식으로 지급하는 경우 정식 이사회 논의를 거친 사례가 없진 않다. 국내 대기업 가운데 가장 먼저 양도제한조건부 주식 제도를 도입한 한화의 경우 2020년 초 주식 성과급 지급 안건을 이사회에서 의결한 바 있다. 당시 한화 이사회는 사내이사 3명과 사외이사 5명으로 구성했는데, 이 안건은 만장일치로 이사회를 통과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학교수는 "통상 CEO의 보수를 어떻게 할 것인지는 이사회 의결 사항이 맞지만, 나머지 집행임원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도 종종 있다"면서 "연초에 그해 인센티브 정책을 이렇게 추진하겠다고 결정되면, 이 내용을 사외이사들에게 보고하는 경우가 많아 삼성전자 역시 사후적 보고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지분 매각 끝 TCC스틸, 승계작업 본격화하나
- [i-point]폴라리스AI파마, 도메인 특화 AI ‘제약 ASK-Doc’ 개발 '박차'
- [IR Briefing]'전기차 전력변환 부품사' 모티브링크 “현대차와 인도 진출"
- [i-point]휴림로봇, 자율이동로봇 시장 확대 본격화
- [컨콜 Q&A 리뷰]'관세 태풍' 앞에 선 포스코, 일단은 '침착 모드' 유지
- [IR Briefing]LG화학, 'CAPEX' 또 줄인다...양극재 캐파 조정
- 'KDDX' 다시 고개드는 분할건조 "불가능" vs "선례 있어"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영풍-MBK, 순환출자 해소보다 법적대응 먼저 나선 배경은
- [Earning & Consensus]'최대 실적' 한국타이어, '영업익 32% 급증' 배경은
- 최태원 회장-올트먼 CEO 3차 회동…AI동맹 급물살타나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아시아나항공 이사회 의장 "통합 법인 화학적 결합 목표"
- 삼성전자 경영위, 임원 성과급 주식 지급 주도했나
- [그룹 & 보드]조동길 한솔그룹 회장, 계열사 사외이사 후보 선임에 영향력
- [2025 이사회 리뉴얼]임기 꽉 채운 미래에셋 의장…금감원 출신 배턴 이을까
- [2025 이사회 리뉴얼]제주항공, 임기만료 사외이사 첫 배출…이사회 보강할까
-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쏘아올린 작은 공
- [Board Change]한진그룹, 아시아나항공 사외이사 키워드는 '안정+경험'
- [2025 이사회 리뉴얼]한진칼, '정책통'의 퇴장…통합 대한항공 향후 영향은
- [2025 이사회 리뉴얼]금융지주 사외이사 문 활짝…곳곳에서 신임 의장 수요도
- [2025 이사회 리뉴얼]완전한 세대교체…현대차 이사진에 '시선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