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부자' 크래프톤, 퓨리오사AI에 200억 투자 추진 최근 진행 투자유치 참여 '유력', 추가 투자자 확보 영향 주목
김경태 기자공개 2024-07-19 09:20:23
이 기사는 2024년 07월 18일 14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크래프톤이 퓨리오사에이아이(AI) 측이 추진 중인 투자 유치에 자금을 투입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크래프톤의 투자가 이뤄지면 향후 새로운 투자자를 유치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18일 반도체 및 투자업계에 따르면 크래프톤은 최근 퓨리오사AI가 추진하는 80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 라운드 참여를 추진하고 있다. 논의 중인 금액은 200억원이다.
다만 크래프톤 관계자는 "투자유치 참여 여부와 세부적 금액 등에 관해 확인해주기 어렵다"고 말했다.
퓨리오사AI는 AI 반도체 칩 설계업체(팹리스)로 2017년 설립됐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설계팀, 미국 AMD의 GUP 설계팀 등을 거친 백준호 대표가 창업했다. 국내에서는 리벨리온, 사피온이 경쟁사로 꼽힌다.
이번에 추진하는 투자유치는 기업공개(IPO) 전에 시리즈C의 후속 성격으로 진행하고 있다. 시리즈C에는 게임체인저인베스트, 교보생명, 한국투자파트너스 등이 참여했고 기업가치(EV)는 6800억원을 인정받았다.

이 사안에 밝은 반도체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퓨리오사AI는 오는 9월까지 이번 투자유치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투자자들의 납입까지 고려하면 늦어도 10월까지는 끝내는 것이 목표로 알려졌다.
크래프톤을 투자자로 합류하게 되면서 향후 퓨리오사AI의 추가적인 투자자 포섭에 탄력이 붙을지 주목된다. 투자유치에서 대형 전략적투자자(SI)의 등장은 사모투자펀드(PEF)나 벤처캐피탈(VC)에 자금을 대려는 출자자(LP)들의 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크래프톤은 국내 게임사 중 시가총액 1위 기업이다. 최근 시총은 13조원 안팎을 기록하고 있다. 실탄도 넉넉한 상황으로 지분·펀드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서울 성수동에 대규모 부동산을 대거 인수해 주목받기도 했다. 작년 12월에는 성수동1가 메가박스 스퀘어를 2435억원에 매입했다.
올 1분기 말 연결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8806억원이다. 단기간 현금화가 가능한 유동성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2조4847억원이다. 같은 시점에 별도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6419억원,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2조4806억원이다.
인수합병(M&A)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을 공언하기도 했다. 배동근 크래프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지난해 전 세계 게임사 350곳을 대상으로 검토하며 미팅(회의)을 진행했고 올해는 그런 관계 형성을 기반으로 M&A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역할 많아진 최원준, '노태문 부담 최소화' 초점
- 헥토, 스포츠토토 온라인 결제대행사 선정 '초읽기'
- 삼성, 평택 4공장 구축 속도조절 '5공장 잠정중단'
- [이사회 모니터/SOOP]‘비욘드 코리아’ 달성 목표, 글로벌 인사 전진배치
- [Company Watch]네패스, 출범 4년 만에 'FO-PLP' 사업 철수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체크멀, 영업이익률 60% 유지 관건 '비용통제'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
- [thebell interview]김종윤 비버웍스 대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경쟁력 확고"
- 비버웍스, 시장 격변 넘을 카드 '토털솔루션·인하우스'
- 삼성전자, DX부문 공백 최소화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