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타다', 규모의 경제...카카오 대항 위해 맞손 지분교환 통한 합병 협상 진행...두자릿수 점유율 확보, 경쟁력 강화 목적
원충희 기자공개 2023-02-01 10:33:50
이 기사는 2023년 01월 31일 11:2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타다 운영사인 브이씨엔씨(VCNC)와 아이엠(IM)택시 운영사 진모빌리티가 지분교환을 통한 합병을 검토하고 있다. 택시 기반 모빌리티 시장의 90%가량을 장악한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항하기 위해서다.가장 많은 1200여개의 면허를 보유하고 있는 진모빌리티와 브이씨엔씨는 드라이버 지원자가 몰리고 있음에도 차량이 부족해 증차에 애를 먹고 있었다. 두 회사의 합병은 투자시장에 대한 매력도 제고에도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카카오모빌리티 시장 90% 점유, 대항하려면 규모 키워야
모빌리티 업계에 따르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운영사)는 진모빌리티와 자회사 브이씨엔씨 간의 합병작업 협상을 진행 중이다. 방식은 인수보다 지분 교환을 통한 합병으로 가닥이 잡혔다.
어느 회사 주식이 교환대상일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업계에선 비바리퍼블리카(지분 60%)가 브이씨엔씨 지분을 내주고 합병법인 신주를 받는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점치고 있다. 합병법인 밸류에 따라 비바리퍼블리카의 지분율은 기존보다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진모빌리티와 브이씨엔씨 측 모두 "합병 논의 중이긴 한데 아직 초기단계라 확정된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모빌리티 업계 관계자는 "두 회사의 합병은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항하기 위한 사이즈를 키우는 목적으로 얘기가 시작됐다"며 "적어도 두 자릿수 이상 시장점유율을 확보해야 경쟁이 된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라고 말했다.
◇플랫폼 업체 메리트 저하, 확장성 보일 수 있는 돌파구 필요
진모빌리티는 100% 직영제를 고수한 채 운행차량(대형택시)을 1500대 이상으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가장 많은 1200여개의 면허를 보유하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월 400만원의 안정적 수입과 정규직 채용, 4대 보험, 퇴직연금 가입과 근무일 및 근무시간 선택 등 다양한 혜택을 내세우며 드라이버를 모으고 있다. 월 400만원은 개인승용 택시기사 월급의 2배 수준이다
브이씨엔씨는 시장점유율 확대와 택시대란 해소 기여를 위해 대형택시 '타다 넥스트'를 1500대까지 늘린다는 계획 실현에 힘을 쏟고 있다. 브이씨엔씨는 준고급 세단의 타다 플러스, 중형세단의 타다 라이트, 대형승합택시 타다 넥스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가운데 메인은 타다 넥스트다. 탄력요금제가 적용돼 수요에 따라 0.8~4배까지 받을 수 있다. 월급제, 정규직, 4대보험, 신형 스타리아 1인 1차 운행과 우수 드라이버 별도 인센티브 등도 내걸면서 계약대수가 1000명을 넘을 만큼 인기다.

또 다른 모빌리티 업계 관계자는 "두 회사 모두 아직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잡지 못한 만큼 확장을 위해선 추가 투자유치가 필요한데 플랫폼 업체의 메리트가 많이 떨어진 상황"이라며 "규모를 키우고 확장성을 보이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고 평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 모니터]대체식품 선두주자 인테이크, 상장준비 '이상 무'
- [챗GPT발 AI 대전]삼성·SK가 꽂힌 게임 체인저 'PIM'
- 컴투스의 첫 GCIO는 '투자 귀재' 송재준 사장
- 이사회 재편하는 컴투스, 높아진 '법무실' 위상
- SK시그넷, 돋보이는 해외수주 호조와 R&D 투자 확대
- 에이비엘바이오, 단돈 100만원 출자 '美법인' 39억 대여금
- 케어젠의 사업 효율화… 비주력 자산 청산 행보 지속
- [캐시플로 모니터]하나마이크론, 급증한 차입금에 '영구CB' 묘수
- 엠로 품는 삼성SDS, SaaS 경쟁력 '레벨업'
- 악재 겹쳤던 이스트소프트, 신사업으로 풀어낼까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챗GPT발 AI 대전]삼성·SK가 꽂힌 게임 체인저 'PIM'
- [캐시플로 모니터]하나마이크론, 급증한 차입금에 '영구CB' 묘수
- 삼성SDI, 올해 선보일 '46파이·전고체'에 쏠린 기대
- [챗GPT발 AI 대전]대표 수혜자 SK하이닉스 'HBM3' 기대감 고조
- [SM엔터 경영권 분쟁]카카오 입장문에 담긴 키맨과 우려
- [KT 차기 리더는]꼬이는 실타래, 그래도 지배구조 개선의지는 지속
- [KT 차기 리더는]거리 둔 2대주주 현대차, 3대주주 신한금융 행보는
- [SM엔터 경영권 분쟁]하이브-SM-카카오, 플랫폼 협업 방안은
- [모빌리티 플랫폼 지각변동]티맵, 내비게이션 넘어 'MaaS 플랫폼' 도약
- [모빌리티 플랫폼 지각변동]우버·SKT 등에 업은 우티…국내 점유율 확대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