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Watch]CJ대한통운, 밸류업 핵심은 역대급 수익성 달성영업익 5000억 돌파, 호실적 기반 배당성향 60%…시장은 주가로 화답
고설봉 기자공개 2025-02-17 07:49:47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3일 16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CJ대한통운이 글로벌 사업을 발판으로 창립 이래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달성했다. 내수 침체 등 경기둔화 악재에도 글로벌 사업 다각화로 돌파구를 찾은 덕분이다. 북미와 유럽, 아시아 등 중 대륙별 구축한 물류네트워크를 활용해 이익체력을 키우며 지속가능성장의 발판을 다졌다.◇경기둔화에도 자체 경쟁력 높여 외형 성장
CJ대한통운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2조1168억원, 영업이익 5307억원, 순이익 2683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2023년 대비 매출은 3.0%, 영업이익은 10.5%, 순이익은 10.5% 각각 증가했다.
CJ대한통운은 경기둔화에도 W&D(보관 및 창고·운송)사업에서 신규 매출처를 확보하며 고성장을시현했다. 중국발 이커머스사와이 제휴, 국내 3자물류사와의 협력 등 거래처 다변화의 결실이다. 10여년 전부터 꾸준히 진행한 글로벌 네트워크 확보도 호실적의 바탕이다.
사업 부문별로 택배·이커머스부문 매출은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알리와 테무 등 물량 확대에 따라 3조7289억원으로 불어났다 2023년 대비 0.2% 늘었다. 영업이익은 2388억원으로 예년에 비해 감소했지만 수익성이 크게 저하되는 않았다.
CL(계약물류) 사업은 물류컨설팅 기반 신규수주 확대에 힘입어 매출 2조9857억원을 달성했다 2023년 대비 4.6%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 또한 수주효과 및 생산성 혁신 프로젝트 영향에 따라 2023년 대비 28.1% 늘어난 1848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부문 매출은 2023년 대비 5.4% 성장한 4조4329억원을 차지했다. 사업부문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전략국가인 미국, 인도 등 현지 CL사업이 성장세를 보였고 포워딩사업 매출이 확대된 결과다. 영업이익은 862억원으로 2023년 대비 11.3% 증가했다.

◇수익성 고공행진, 배당도 통크게…밸류업 효과 톡톡
국내외를 넘나드는 사업다각화 결과로 이익체력이 커진 가운데 물류관리시스템 등 IT 기술 등을 적극 활용한 결과 원가경쟁력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 등 수익성 지표고 일제히 개선됐다.
지난해 대한통운은 영업이익 5307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창립 이래 최대 규모다. 2023년 대비 10.52% 가량 이익 규모가 커졌다. 영업이익률은 2023년 4.08%에서 지난해 4.38%로 0.30% 포인트 개선했다.
글로벌 각지에서 사업을 펼치는 만큼 환율 상승에 대한 부담도 컸다. 그러나 글로벌 비용 이슈대비 매출 규모가 커지면서 환차손 등에서도 비교적 자유로웠다. 영업외손실 등 환율효과에 따른 부대비용 없이 영업이익의 상당부분이 순이익으로 전환됐다. 지난해 순이익은 2683억원으로 순이익률 2.21%를 기록했다.
탄탄한 이익체력을 기반으로 대한통운은 밸류업 성과도 냈다. 2024년 결산배당으로 보통주 1주당 800원을 현금 배당하기로 결정했다. 배당금총액은 160억원이다.
시장은 곧바로 반응했다. 올해 초 8만원 선에 머무르던 대한통운 주가는 실적발표 이후 거듭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3일 종가 기준 9만5200원을 형성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아직 밸류업 전략을 내놓지 않았지만 탄탄한 이익체력을 증명하면서 밸류업 효과를 누리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아이티센 "금 품귀 현상, 조각투자·개인거래 등 대안 주목"
- 무뇨스 현대차 사장, 첫 타운홀 미팅…'3H 청사진' 의미는
- '현대엔지 시공' 신광교 클라우드시티 '반도체 수요 겨냥'
- 에스이인터, ‘젤라또피케’ 브랜드 안착…사업 다각화 순항
- [에이유브랜즈 IPO]무신사 플랫폼 동반성장, 브랜드 발굴 '성공작' 나올까
- [주주총회 프리뷰]주주서한 받은 농심, '기업가치 정상화' 요구 배경은
- [Company Watch]현대지에프홀딩스, 재무 청사진 '순차입금 20% 감축'
- [IR Briefing]이광후 모니터랩 대표 "SaaS 플랫폼 비즈니스 집중"
- [i-point]대동로보틱스·안산시, 농업 분야 로봇 도입 업무협약 체결
- [i-point]투루발렛, 설 연휴 공항 주차대행 사전예약률 95% 돌파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예림당이 엑시트 선택한 이유 ‘자금력’
- 현대로템, 배당성향 지속 증대 기대감
- [배당정책 리뷰]HMM, ‘2.5조 주주환원’ 약속…배당 얼마나 늘릴까
-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새 국면 맞은 분쟁, 극적합의 성사될까
- [배당정책 리뷰]CJ대한통운, DPS 상향…배당성향도 높일까
-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대명소노의 가처분 취하, 예림당과 협상 급진전
- 섬에어, 항공면허 취득…지역공항 활성화 기대감
- [트럼프발 관세전쟁 대응전략]“정부지원 기대할 수 없다”…기업인들 각개전투 나섰다
- [트럼프발 관세전쟁 대응전략]정의선 회장 트럼프 장남과 밀착…미국 대관 확대
- [Company Watch]CJ대한통운, 밸류업 핵심은 역대급 수익성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