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重 M&A 딴지 건 유암코·산은 '원성' 변제율 유암코 54%, 산은93% vs. 상거래 채권단 변제율 6.3%
이명관 기자공개 2015-12-24 09:12:21
이 기사는 2015년 12월 23일 08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고성중공업 담보권자인 유암코와 산업은행이 상거래 채권자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유암코와 산업은행이 채권자 중 채무 변제율이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더 받아내기 위해 고성중공업 매각에 반대하고 있어서다.23일 거래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다른 대기업들에겐 수천억 원에 이르는 자금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과 달리 수십억 원 때문에 고성중공업 매각에 반대하고 있다"며 "이를 두고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들이 나온다"고 밝혔다.
유암코와 산업은행의 채무 변제율은 각각 54%, 93%다. 특히 산업은행이 회수하지 못하는 금액은 27억 원에 불과하다. 반면 고성중공업의 거래사로 구성된 상거래 채권자의 채무 변제율은 6.3%로 약 10억 원이다. 담보권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유암코와 산업은행의 것과 비교했을 때 큰 격차를 보인다. 그럼에도 상거래 채권자들은 고성중공업 매각에 찬성하고 있다.
이들 상거래 채권자들은 고성중공업이 파산하면 덩달아 문을 닫을 가능성이 높다. 그도 그럴 것이 법원은 채권단 동의를 얻어내지 못할 경우 고성중공업을 파산시키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이 때문에 상거래 채권자들에겐 유암코와 산업은행의 동의가 절실할 수 밖에 없다.
최근 상거래 채권자들이 자신들이 받아야 할 몫을 포기할 뜻을 내비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거래 관계자는 "상거래 채권자가 산업은행에게 10억 원도 마저 받아가라고 했다"며 "그만큼 고성중공업을 살려야 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고성중공업 매각 거래는 유암코와 산업은행의 동의 없이는 성사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거래 종결을 위해서는 담보권자의 75% 이상의 동의가 필요한데, 유암코와 산업은행은 담보채권의 65%를 보유하고 있다. 고성중공업 관계인 집회는 오는 28일 열릴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온코크로스 AI 신약 사업화 전략]대표급 'BD' 추대 의미, '사업화' 중심 의사결정 올인
- 기아, 전기차 목표 '내리고' 하이브리드 '올리고'
- 한화·LG, 한전과 영등포 데이터센터 구축 '맞손'
- [thebell note]찜찜했던 한진칼 주총
- [캐시플로 모니터]한일시멘트, FCF 순유입 전환…환경투자 '지속'
- [i-point]에스넷시스템, 시스코 주최 세미나 참여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Company Watch]지란지교시큐리티, 순손실 배경 'SSR' 영업권 손상
- 삼성·LG 'OLED TV' 확전에 정철동 웃는다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올인'
- 유안타증권, '보수적 기조' 유지…'랩'만 손봤다
- 투게더운용·LX공사, 논현동 오피스 개발 본격화
- [윤석열 대통령 탄핵]외인 국장 복귀 가능성, 펀드매니저 '촉각'
- 미래에셋운용, 내부통제 강화
- 미래에셋운용, TDF ETF 지금 출시된 이유
- [thebell desk]출구전략 필요한 ETF
- "강남 VVIP 타깃, 리빙트러스트 특화점포 만든다"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고소장'에서 물러선 증권사, 다음 스텝은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증권사 법적대응 카드, 형사 이어 '민사'까지 투트랙 유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