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개발공사, 부채비율 9년래 '최저' [건설리포트]분양선수금·사채 감소 233% 기록, 행자부 기준 충족 여부 '주목'
김경태 기자공개 2016-09-19 08:07:39
이 기사는 2016년 09월 13일 11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전북개발공사가 부채비율을 역대 최저 수준으로 만들며 재무구조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업진행에 따라 분양선수금이 줄었다. 또 사채를 상환한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와 같은 추세가 이어지면 조만간 행정자치부 권장수준인 200% 이하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전북개발공사의 올 상반기 부채비율은 233.00%로 지난해 말보다 42.48%p 낮아졌다. 전북개발공사는 사업보고서로 확인 가능한 2008년 이후 5년간 부채비율이 300%를 넘기도 했다. 하지만 올 상반기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
우선 부채가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말에는 5247억 원이었다. 올 상반기에는 8.96% 감축된 4777억 원을 나타냈다. 유동부채가 30.97% 줄어든 720억 원이다. 사업의 진행기준 매출인식에 따라 분양사업 선수금이 426억 원에서 187억 원으로 감소했다. 당기법인세부채도 192억 원에서 104억 원으로 축소됐다.
비유동부채는 3.49% 줄어든 4056억 원이다. 기타충당부채는 1208억 원에서 1445억 원으로 증가했다. 국민주택기금차입금은 1079억 원으로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사채를 485억 원에서 85억 원으로 감축해 전체적으로 줄었다. 전북개발공사는 2013년 5월과 6월 각각 300억 원 발행한 사채를 올 5월과 6월에 상환했다. 2014년 3월 발행한 300억 원의 사채 중 200억 원도 갚았다.
호실적으로 이익잉여금이 불어난 점도 부채비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전북개발공사의 올 상반기 매출은 1005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4.68% 늘었다. 영업이익은 160.15% 증가한 170억 원, 당기순이익은 106.59% 확대된 150억 원이다. 이를 통해 이익잉여금은 지난해 말보다 17.25% 불어난 988억 원을 기록했다. 자본은 지난해 말보다 7.64% 늘어난 2050억 원을 나타냈다.
총 자산은 지난해 말보다 4.54% 줄어든 6827억 원이다. 비유동자산은 825억 원에서 886억 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유동자산이 9.31% 줄어든 3871억 원을 나타내 총 자산이 축소됐다. 택지판매 등으로 인해 재고자산이 15.78% 감축된 1883억 원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행정자치부는 2017년까지 지방공기업의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낮추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전북개발공사의 경우 현재 기준을 상회하고 있어, 주요 프로젝트로 추진 중인 '전주 여의지구 도시개발사업'의 성공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여의지구사업은 전주시 여의동과 만성동, 장동 일원 64만 4000㎡ 를 개발하는 것이다. 주택 3577세대를 비롯해 상업시설과 교육시설, 공공기관 등 다양한 도시기반 시설이 들어설 계획이다. 2020년까지 도시개발사업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다. 전북개발공사가 여의지구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면서 계획대로 사채를 갚아 나가면, 행정자치부 권장 부채비율을 하회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