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 수주 급증 '계열 4사' 영업이익 800억 [시평 급상승 건설사 분석]②부산·대구 '쌍끌이 흥행', 2세 이기환 대표 개인회사 두각
김경태 기자공개 2017-09-05 08:29:25
[편집자주]
국내 건설사들의 시공능력평가는 업계 순위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지표다. 높낮이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기도 한다. 시공능력평가 추이만 추적해 봐도 흥망성쇠를 가늠할 수 있다. 2017년 시공능력평가에서 순위가 급상승했거나 새로 100위권에 진입한 건설사의 성장 히스토리와 현주소, 향후 행보 등을 점검한다.
이 기사는 2017년 09월 01일 14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시공능력평가 순위 70위권으로 도약한 삼정은 최근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주택 분양을 순조롭게 진행하며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올리는 성과를 거뒀다. 외형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며 부산지역 건설 명가로 이름값을 높이고 있다.
|
삼정은 경남 함안 출신인 이근철 회장이 만들었다. 이 회장은 박종오 회장과 80년대부터 동업 관계를 이어왔다. 각각 삼정과 삼정기업을 이끌었다.
박 회장이 경영하는 삼정기업 계열을 제외하고 이 회장의 특수관계기업으로 삼정이 있다. 또 이 회장의 아들인 이기환 대표가 최대주주인 삼정코아건설, 삼정지씨건설, 센트럴프라자 등을 거느린다. 부림로직스도 있지만 금융감독원과 중소기업청에서 실적과 재무를 확인할 수 없는 곳이다.
부림로직스를 제외한 이 회장 계열 4개사의 지난해 매출 합계는 5163억 원으로 전년보다 96% 늘었다. 영업이익은 774억 원, 당기순이익은 590억 원으로 각각 2배, 3배 정도 불어났다. 영업이익률은 15%로 5.5%포인트 올라갔다.
계열 전체 실적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단연 삼정이다. 삼정은 지난해 '부산 사직역 삼정그린코아 더베스트'와 '대구 칠성동 삼정그린코아' 2곳의 현장에서 분양수익을 거둬들인 덕에 성장했다. 별도 매출은 2674억 원으로 전년보다 49.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427억 원, 당기순이익은 291억 원으로 각각 76.7%, 79.3% 불어났다.
삼정 관계자는 "올 들어 새롭게 자체사업으로 분양한 곳은 없다"며 "하지만 주택을 비롯한 도급사업이 늘면서 전년대비 실적이 소폭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최근 삼정의 수주는 폭발적으로 불어났다. 2014년 말 공사 수주잔고는 1526억 원이었는데 2015년 말 3330억 원으로 2배 이상 뛰었다. 지난해 말에는 6489억 원으로 또다시 2배가량 급증했다. 향후 공사를 원활히 진행해 대금이 들어오면 실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삼정 2세인 이 대표가 이끄는 삼정코아건설과 삼정지씨건설도 실적을 급격히 불어났다. 삼정코아건설의 지난해 매출은 1807억 원으로 전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65억 원, 당기순이익은 208억 원으로 각각 7배 이상 확대됐다. 2014년에 공급한 대구 세천리 삼정그린코아를 완판했다. 부산의 사직2차, 기장내리 삼정그린코아도 모두 분양수익을 거둬들이는데 성공했다.
삼정지씨건설 역시 주택 분양 덕분에 성장했다. 대구 죽곡 삼정그린코아 더베스트에서 분양수익이 들어왔다. 지난해 매출은 660억 원이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71억 원, 84억 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이 외 센트럴프라자는 전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 센트럴프라자는 2005년 한양개발로 설립됐고 2010년에 현재의 상호로 고쳤다. 울산 중구 옥교동 120-2(번영로 329)에 있는 센트럴프라자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20억 원,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9억 원, 5억 원이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