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 M&A]공정위 심사, 전원회의서 뒤집힐 가능성은제재건은 달라진 경우 많아…기업결합은 사례 거의 없어
원충희 기자공개 2020-11-18 08:17:12
이 기사는 2020년 11월 17일 15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딜리버리히어로(DH)가 공정거래위원회의 판단을 뒤집을 기회는 내달 열리는 전원회의 뿐이다. 쿠팡이츠나 네이버, 공공배달앱 등 잠재적 경쟁자들의 위협으로 경쟁제한성 완화 요인이 크다는 것을 어필할 필요가 있다. 다만 제재심사에서 사무처 의견이 뒤집힌 사례는 있어도 기업결합 심사에선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큰 기대를 걸긴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합의제 행정기관인 공정위는 심의·의결을 위해 위원 전원(9명)으로 구성되는 전원회의를 운영하고 있다. 법규 제·개정,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중요사건 등을 여기서 다룬다. 공정위원장과 부위원장, 상임위원 3명과 비상임위원 4명이 참석한다. DH의 우아한형제들(배달의 민족) M&A에 대한 최종결론도 내달 열릴 전원회의에서 내려진다.
공정위 사무처는 경쟁제한 요인이 있다는 판단 하에 DH의 인수조건으로 자산(요기요) 매각을 결정했다. 이 안건이 전원회의에 올라가면 공정위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찬성을 조건으로 최종결정을 내린다. DH는 이 과정에서 위원들을 설득하는데 일말의 희망을 품고 있다.
전원회의에서 사무처 의견이 뒤집힐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제재심사의 경우 사례가 꽤 있다. 2016년 오라클의 끼워팔기와 양도성예금증서(CD) 담합 건이 대표적인 케이스다. 공정위 조사팀이 미국 오라클의 끼워팔기 의혹을 조사해 올렸는데 전원회의에서 판단을 수개월 미루다가 무혐의 결론을 냈다. 같은 해 있었던 CD금리 담합 건도 비슷하다. 무려 4년을 조사했지만 무혐의 결정이 내려졌다.
최근에는 사무처 의견이 전원회의에서 완화되는 경우도 있다. 미래에셋그룹의 일감몰아주기 건은 예상과 달리 총수 고발 없이 과징금 제재로 마무리됐다. 증거부족 등으로 고발은 제재에서 빠졌다. 한화S&C 일감몰아주기는 아예 무혐의 처분이 결정됐다.
법무법인 한 관계자는 "공정위 사무처의 제재의견을 1심격인 전원회의에서 무혐의 처리한 경우는 수십건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다만 기업결합 심사건이 전원회의에서 뒤집힌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 40년간 공정위가 기업결합을 불허한 사례는 9건 정도다. 애초에 건수가 많지 않아 전원회의에서 뒤바뀐 케이스도 거의 없다. 가장 최근 불허된 사례가 2016년 SK텔레콤의 CJ헬로(현 LG헬로비전) 인수 건이다. 당시에도 공정위 사무처가 불허 의견을 명시한 심사보고서를 전원회의에 상정했다. SK텔레콤은 전원회의에 실낱같은 희망을 걸었으나 결론은 달라지지 않았다.
이 같은 전례로 인해 우아한형제들 건도 전원회의 과정에서 뒤집힐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는 시각이 많다. CJ헬로 M&A는 공정위 사무처가 7개월간의 심사숙고를 거쳤다. 이번 배달의 민족은 그보다 더 긴 1년 가까이 걸린 만큼 DH가 단번에 이를 뒤집는 것은 상당히 어려울 듯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Company Watch]GS건설, 해외 모듈러 신사업 '외형 확장' 성과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지방 주택 개발사업 '제자리걸음'
- [이사회 분석]롯데리츠, 'IB·회계사' 2인 감독이사 선임 '이례적'
- [i-point]씨플랫폼-엑스게이트, 총판 계약 체결
- [i-point]김연수 한컴 대표, 2025년 AI 사업 성과 '사활'
- 아이엠지티, 췌장암 국내임상 중간분석 결과 발표
- 라이프운용, 해외 패밀리오피스서 300억 펀딩
- 케이클라비스 NPL펀드 조성 지체…지방은행 유치 지연
- DS운용, 판매고 감소 속 'KB증권' 약진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사외이사 주 연령은 50~60대, 남성이 76% 이상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