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승부수]삼성SDI, 품질 관리 'PPB' 주문의 의미전영현 대표, 사고 수습 미션으로 시작해 고성장 달성…품질 관리에 1000배 노력 주문
김슬기 기자공개 2021-01-05 08:03:32
이 기사는 2021년 01월 04일 10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21년은 삼성SDI에 있어서 중요한 한 해다. 몇 년간 공들여왔던 중대형전지 사업에서 흑자전환을 앞두고 있다. 중대형전지는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비롯,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아우르는 사업으로 미래 성장사업으로 꼽힌다.삼성SDI는 2020년까지 해당 사업에서 적자를 냈지만 올해에는 가파른 성장세를 예고했다. 시장에서는 올해 삼성SDI가 연 매출 14조원대, 영업이익 1조원대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성장에는 위기가 따르기 마련이다. 삼성SDI는 그간 중대형전지 사업을 확대하면서 크고 작은 위기에 휩싸였다. 2017년부터 발생한 ESS 화재에 대한 정부조사로 2020년 상반기 관련 사업이 올스톱되기도 했다. 2020년 상반기에는 1000여곳의 ESS 사이트에 특수 소화 시스템을 설치하며 안전 문제에 만전을 다했다.

올해를 시작하는 전영현 삼성SDI 대표(사진)의 신년사는 품질과 안전에 방점이 찍혔다. 그는 4일 임직원들에게 메일로 공유한 신년사를 통해 "최고 품질 확보와 안전 문제 제로(Zero)를 달성해 시장의 기회를 우리의 기회로 만들어 나가자"고 강조했다.
전 대표는 2017년 갤럭시 노트7 배터리 폭발을 수습하기 위해 삼성전자에서 삼성SDI로 온 만큼 안전 문제에 있어서 민감할 수 밖에 없다.
그는 "안전을 기반으로 한 절대적인 품질 확보는 그 어떠한 것과도 바꿀 수 없는 우리 업(業)의 본질"이라며 "최첨단 제품의 성능을 좌우하는 배터리와 전자재료의 품질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행동하자"고 말했다.
그는 "품질 눈높이를 PPM(Parts Per Million)이 아닌 PPB(Parts Per Billion) 이상으로 높여 나가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기존 대비 제품 품질을 100만대 수준에서 관리했다면 앞으론 10억 대 수준에서 관리하자는 의미다. 품질 관리를 1000배 이상 세밀하게 관리하자는 뜻이다.
올해 삼성SDI의 시장 컨센서스(지난 3개월간 증권사에서 발표한 전망치 평균값)는 연결기준 매출액 14조2050억원, 영업이익 1조2013억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 실적이 나오지는 않았으나 매출액은 전년 대비 22%, 영업이익은 62%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품질 확보와 안전문제를 강조한 것은 잘못하면 성장세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대표는 품질을 일성으로 강조했다. 가파른 성장세가 예고되는만큼 한치의 실수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그는 시장 선도를 위한 제품 경쟁력 확보도 강조했다. 삼성SDI는 소형전지에서는 전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중대형 전지는 후발주자에 속한다. 그는 "차세대 선행기술 확보에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며 "기존 배터리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배터리 개발은 초격차 기술 회사로 발돋움하는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전지를 의미한다.
현재 삼성SDI는 전고체전지 개발에 있어 가장 앞서있다. 전고체전지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전지로 기존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고, 안정성이 높고, 수명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삼성종합기술원과 삼성전자일본연구소가 함께 개발을 주도하고 있고 삼성SDI도 연구 중에 있다. 향후 기술이관이 이뤄진 후 2025년 상용화,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한컴라이프케어, 경북 산불 호흡보호장비 정비 지원
- [게임사 인건비 리포트]'효율 치중' 더블유게임즈, 미래 성장 '안갯속'
- [thebell interview]"젠시, AI가 상품 소개 작성…로봇 촬영까지"
- LG이노텍·LG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사업화 시동
- [Company Watch]시노펙스, 반도체 필터 성장에 혈액투석 신사업까지 '본궤도'
- [i-point]제이엘케이, 'JLK-LVO' 혁신의료기기 통과
- [i-point]포커스에이아이,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유공 표창장 수상
- [thebell interview]"매출 1000억 이어 신사업 두 마리 토끼 잡을 것"
- [Red & Blue]테마 바람 탄 아이스크림에듀, 사업 경쟁력 '재조명'
- 제노스코 '상장 불발' 이후, 오스코텍·메리츠 복잡한 셈법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ating Watch]등급전망 '부정적' 달린 호텔신라, AA급에서 밀려나나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전면 나선 임종룡 회장, '리테일·IB' 투트랙 시동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미래에셋 출신 주도권, 우리은행과 화학적 결합 '관건'
- [Deal Story]'5년만에 등장' 보령, 수요·금리 둘다 잡았다
- [Deal Story]'11배 수요 확인' HD현대건설기계, 5년물 초강세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금융지주 내 이익 비중 '0.08%'…반전 보여줄까
- 흑자전환 성공 패스트파이브, 외형·수익성 다 잡았다
- [발행사분석]'5년만에 시장 노크' 보령, 등급 상향 조건도 갖췄다
- [Policy Radar]회사채 캡티브 영업, 금리 왜곡 입증 가능할까
- [판 바뀐 종투사 제도]현실화 된 IMA '미래에셋 vs 한투' 2파전 가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