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도, 신성장동력 분할 '지배구조·재무구조' 변화는 신설법인 100% 소유, 만도헬라 외 우리엠오토모티브 지분 넘겨…별도 부채비율 하락 효과
김경태 기자공개 2021-06-11 09:01:39
이 기사는 2021년 06월 09일 18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라그룹의 주력사 만도가 미래 신성장동력 사업 강화를 위해 회사분할을 선택했다. 새롭게 탄생할 법인을 100% 소유하는 방식으로 떼어낸다. 신설회사는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뿐 아니라 우리엠오토모티브의 지분도 가져간다. 분할이 완료되면 만도의 별도 부채비율이 하락하는 효과가 발생할 전망이다.◇물적분할 추진, 만도헬라·우리엠오토모티브 지분 넘겨
만도는 9일 이사회를 열고 자율주행(ADAS) 사업부문과 모빌리티(Mobility) 사업부문 중 무인순찰, 무인전기차충전, 플랫폼(Cloud server) 부문 등을 분할하는 안건을 결의했다. 신설법인명의 가칭은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MMS·Mando Mobility Solutions)다. 내달 20일 주주총회에서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다. 분할기일은 오는 9월1일이다.
이번 분할 과정에서 만도는 MMS에 100% 자회사인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이하 만도헬라)의 지분 전량을 넘긴다. 만도헬라는 자율주행과 전장부품 전문기업이다. MMS가 자율주행사업부문을 맡기로 한 만큼 만도헬라를 휘하에 거느리는게 효율적이라 판단한 셈이다.
만도헬라는 올 들어 두 번째 주주 변화를 겪게 된다. 작년까지만해도 한라그룹의 지주사 한라홀딩스와 헬라(HELLA Holding International GmbH)가 지분 50%씩을 보유했다. 그러다 한라그룹은 올 2월말 만도를 통해 만도헬라 지분 100%를 인수했다.
기존의 지분구조는 '만도→만도헬라'인데 분할 후 '만도→MMS→만도헬라'가 된다. 만도헬라가 만도의 자회사에서 손자회사로 변모하는 셈이다.

만도헬라뿐 아니라 다른 법인의 지분 구조에도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만도는 만도헬라뿐 아니라 보유 중인 우리엠오토모티브 지분 29%도 MMS에 넘기기로 했다. 이곳은 우리산업이 지분 71%를 보유해 최대주주인 곳으로 자동차 전장부품 제조사다. 만도는 2018년에 지분을 취득했고 관계기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우리엠오토모티브는 ADAS 등 자율주행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있어 만도는 시너지 효과를 노렸다. 앞으로 MMS가 맡게 될 분야인 점을 고려해 우리엠오토모티브 지분도 넘기기로 결정한 셈이다.
◇분할 후 별도 부채비율 약 20%p 하락
향후 MMS가 만도의 100% 자회사가 되고 만도헬라는 MMS가 100% 지배하기 때문에 분할 시점에 만도의 연결 재무상태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다만 별도 재무상태에는 변화가 발생한다.
올 1분기말 재무상태표를 기준으로 분할 전 만도의 별도 자산은 3조3535억원이다. 부채는 2조2207억원이다. 자본은 1조1328억원이다. 부채비율은 196%다. MMS를 떼어낸 후 자산과 부채는 각각 3조1368억원, 2조40억원이다. 자본은 1조1328억원으로 동일하다. 신설 법인이 100% 자회사 구조라 존속 법인 자본금에 포함해 인식된다. 부채비율은 177%로 20%포인트(p) 정도 하락한다.
MMS는 자산 3658억원으로 출발한다. 분할 전 만도 별도 자산의 10.9%에 해당한다. 부채는 2168억원, 자본은 1491억원이다. 부채비율은 145%다.
만도는 앞으로 MMS가 자율주행 고도화와 지역 및 고객 다변화, 신사업 확장으로 자율주행·모빌리티 분야 전문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 밝혔다.
다만 분할 후 MMS가 보유할 실탄을 고려할 때 만도의 도움이 없는 독자적인 대규모 투자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분할 후 MMS의 자산 중 유동자산은 1599억원이다. 이 중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210억원이다. 분할 전 만도의 별도 현금 및 현금성자산(3833억원)의 5.5%에 불과한 금액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한컴라이프케어, 경북 산불 호흡보호장비 정비 지원
- [게임사 인건비 리포트]'효율 치중' 더블유게임즈, 미래 성장 '안갯속'
- [thebell interview]"젠시, AI가 상품 소개 작성…로봇 촬영까지"
- LG이노텍·LG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사업화 시동
- [Company Watch]시노펙스, 반도체 필터 성장에 혈액투석 신사업까지 '본궤도'
- [i-point]제이엘케이, 'JLK-LVO' 혁신의료기기 통과
- [i-point]포커스에이아이,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유공 표창장 수상
- [thebell interview]"매출 1000억 이어 신사업 두 마리 토끼 잡을 것"
- [Red & Blue]테마 바람 탄 아이스크림에듀, 사업 경쟁력 '재조명'
- 제노스코 '상장 불발' 이후, 오스코텍·메리츠 복잡한 셈법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전자, 로비스트 커빙턴&벌링 향한 지속적 신뢰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DI의 로비스트, 홀랜드&나이트 키맨에 쏠린 눈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 강공' H20 수출규제, 삼성전자 돌파구 '절실'
- [상호관세 후폭풍]'급박' 삼성SDI, 트럼프 인연 '특급 로비스트' 고용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K, 미 상무부 빗장수비·속도전 공세 '긴박한 21일'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K, 일희일비 어려운 '불확실성' 연속
- 노종원 솔리다임 사장, 멕시코사업 챙기기 '분주'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SK그룹, 실트론 매각 추진 배경 '오너 지분 탓'
- [Company Watch]삼성메디슨, 소니오 시너지 가시화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