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십 시프트]'성장 둔화' 아이윈, 폴라리스웍스 M&A로 변화 모색③한 자릿수 영업이익률, 매출 정체 지속…외연 확장·새로운 시장 진출 효과 기대
신상윤 기자공개 2022-03-23 08:20:46
[편집자주]
기업에게 변화는 숙명이다. 성장을 위해, 때로는 생존을 위해 변신을 시도한다. 오너십 역시 절대적이지 않다. 오히려 보다 강력한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경영권 거래를 전략적으로 활용한다. 물론 파장도 크다. 시장이 경영권 거래에 특히 주목하는 이유다. 경영권 이동이 만들어낸 파생 변수와 핵심 전략, 거래에 내재된 본질을 더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2년 03월 17일 14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자동차 열선·통풍 시트 전문기업 '아이윈(옛 광진윈텍)'의 폴라리스웍스 인수합병(M&A)은 정체된 성장동력을 재창출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기존 사업구조만으로는 매출 성장이 정체된 데다 획기적인 수익성 개선도 힘겹기 때문이다. 아이윈은 폴라리스웍스를 통해 사세 확장과 더불어 새로운 먹거리가 될 수 있는 자율주행차 부품 시장 진출 등 변화를 모색한다는 계획이다.코스닥 상장사 아이윈은 지난해(연결 기준) 매출액 906억원, 영업이익 2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액은 6.4%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2.2% 줄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11% 개선된 2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2.7%로 전년대비 1.1%포인트 낮아졌다. 2019년 이후로 흑자 기조는 이어가고 있지만 영업이익률 개선 등은 풀지 못한 숙제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2/03/17/20220317103528732_n.jpg)
아이윈은 2017년 적자 전환을 시작으로 이듬해 고용 인력 대부분을 외주 용역으로 전환하는 등 원가 개선에 초점을 맞췄다. 2019년 흑자 전환으로 수익성은 개선했지만 여전히 한 자릿수대 영업이익률을 극복하는 데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매출원가율을 75.6%로 낮추며 과거 3년(2018~2020년) 평균 78.2%보다 개선시켰지만, 판관비가 늘면서 수익성 개선을 이루지 못했다.
외형 성장도 정체됐다. 아이윈은 2016년을 제외하면 수년째 매출액이 연 900억원대에 머물고 있다. 사실상 성장 정체가 고착된 것이다. 영업활동으로 번 현금도 금융권 차입금 상환 등 각종 지출로 이어지면서 곳간에 자금이 쌓이지 않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지난해 이례적으로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발행 카드를 낸 것으로 해석된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2/03/17/20220317103905604_n.png)
아이윈이 지난해 유상증자와 CB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은 500억원이 넘는다. 하지만 차입금 상환과 일부 투자를 제외하면 연말 기준 현금성 자산은 169억원 정도다. 아이윈은 이 자금을 폴라리스웍스 M&A와 같은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쓴 것으로 풀이된다. 부족한 재원은 부동산 담보로 330억원을 차입했다.
폴라리스웍스는 자동차 부품사로 오랜 업력을 가진 아이윈의 자율주행차 시장 진출을 위한 마중물이 될 전망이다. 폴라리스웍스는 이미지 센서 패키지 전문기업이다. 카메라용으로 주로 사용됐으나 최근 자동차 분야로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폴라리스웍스는 자동차용 이미지 센서를 양산해 일본 시장 납품 성과도 이뤄냈다.
폴라리스웍스는 아이윈 사세 확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별도 기준) 매출액 9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12.58% 증가한 규모다. 자산 규모도 446억원을 웃돈다.
아이윈은 폴라리스웍스 인수와 더불어 지난해 초 계열사로 편입한 '프로닉스'와 미래차 기술 확보에 시너지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프로닉스는 인공지능(AI) 음성 센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이 기술은 기존 자율주행차가 적용하고 있는 라이다나 초음파와 비교했을 때 측정 거리가 더 멀다는 장점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 2025]미래에셋 투자센터반포, '자산배분 전략' 기반 독보적 성장
-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 2025]적수 없는 미래에셋증권, 4년연속 연금 타이틀 수성
-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 2025]채권 강자 한투운용, 독보적 성장세 ‘눈길’
-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 2025]'헤지펀드 명가' DS운용, '디에스 Benefit.N' 성과 발군
-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 2025]팀워크의 저력, 멀티 최강자 슬기자산운용
-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 2025]미래에셋증권, PBS 5년만의 '왕좌'
-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 2025]투심 사로잡은 '미래에셋 TIGER미국S&P500'
-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 2025]'파죽지세' 얼라인운용, 헤지펀드 최강자로 우뚝
-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 2025]'가치투자 명가' VIP운용, 해외주식도 성과 입증
-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 2025]'TIGER 미국테크TOP10', 서학개미 마음 사로잡았다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곽준상 부회장, 1년만에 도화엔지 대표 보고자로
- SK에코플랜트, '환경 사업군' 구조조정 거론되는 까닭은
- 엠디엠자산운용, '한국오션플랫폼'으로 비부동산 개척
- [디벨로퍼 프로젝트 리포트]일레븐건설, 2년 남은 '더 파크사이드' 고민 깊어진다
- [2025 건설사 분양 지도]SK에코플랜트, 하반기 수도권 4곳에 '올인'
- [2025 건설사 분양 지도]현대건설, '부산·대전' 지방 부동산 시장 관건
- [2025 건설사 분양 지도]삼성물산, '래미안 원페를라'만 남았다
- [건설사 인사 풍향계]SK에코플랜트, '하이테크·신사업'향 임원 보강
- [thebell interview]김승배 한국부동산개발협회 회장 "주택 시장 골든타임"
- [건설사 도시정비 경쟁력 점검]삼성물산 건설부문, 자산 가치에 방점 둔 수주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