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아이테크, 10% 낮춘 공모가...흥행 가능성 커지나 공모가 밴드 1만3000~1만6000원...상장 후 최대 1311억원
안준호 기자공개 2022-09-29 14:49:15
이 기사는 2022년 09월 27일 11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다음달 공모 절차를 시작하는 제이아이테크가 공모가 범위를 상장 예비심사 청구 당시보다 10%가량 낮췄다. 공모주 투자의 '인기 종목'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이지만 최근 시장 분위기를 감안해 눈높이를 낮춘 것으로 풀이된다.◇3개 소부장 기업 피어그룹...예상 시총 최대 1311억원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제이아이테크는 다음달 20일부터 이틀간 공모가 확정을 위한 수요예측을 진행할 예정이다. 계획대로 공모 일정을 마칠 경우 10월 중 코스닥 입성이 가능할 전망이다.
제이아이테크는 2014년 설립된 반도체 소재 생산업체다. 주력 사업은 반도체 증착 공정에 필요한 전구체(Precursor)로 SK하이닉스와 도시바 등 국내외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용 포토마스크 케이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소재 개발,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 수입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공모가 밴드는 1만3000~1만6000원을 제시했다. 덕산테코피아, 디엔에프, 레이크머티리얼즈 등 반도체 공정 관련 소부장 상장사들을 피어그룹(peer group)으로 선정했다. 상반기 기준 연환산 실적을 토대로 3개사의 평균 주가수익비율(PER)을 구해 밴드 산정에 활용했다.
밸류에이션에 반영된 평균 PER은 15.71배다. 개별 기업의 PER은 덕산테코피아(18.37배), 레이크머티리얼즈(16.35배), 디엔에프(12.40배) 순으로 나타났다. 제이아이테크의 상반기 순이익은 약 54억원으로, 이를 연환산한 109억원에 평균 PER을 곱해 1715억원의 평가 시가총액을 산출했다. 여기에 37.87~23.53%의 할인율을 적용해 최종 공모가 밴드를 계산했다.
공모 물량은 총 상장 예정 주식(819만6186주)의 약 22%인 172만8870주다. 공모 구조는 신주 발행 94%, 구주매출 6%로 계획했다. 구주는 최대주주인 함석헌 대표이사의 보유 지분 10만주로 밴드 상단 기준 16억원을 매출한다. 상장 이후 함 대표는 상장 예정 주식의 52% 가량을 갖게 되며 이를 30개월 간 전량 의무 보유할 예정이다.
◇10% 낮춘 공모가 밴드, 신사업과 함께 흥행 열쇠
제이아이테크의 현재 공모가 밴드는 지난 6월 상장 예비 심사 청구 당시보다 낮은 수준이다. 당시 제시한 발행가 범위는 1만4950~1만7200원이었다. 현재 밴드와 비교하면 하단은 약 10%, 상단은 7% 낮은 수준이다. 단가가 낮아지면서 예상 시가총액은 최대 1410억원에서 1311억원으로 감소했다.
공모주 투심이 저조한 점을 고려하면 공모가 할인이 증시 입성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기업공개(IPO) 투자자들 사이에서 '흥행 불패' 카드로 꼽혔던 소부장 업종도 최근 들어 공모 참여가 저조한 사례들이 나오고 있다.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는 WCP는 지난 14일부터 이틀간 수요예측을 진행한 뒤 공모가를 종전 대비 최대 40% 가량 낮췄다. 그럼에도 일반청약 경쟁률이 7.3대 1로 부진했다.
실적도 공모 흥행에 긍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제이아이테크는 상반기 전년(91억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315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6억원에서 67억원으로 증가했다. 주력인 전구체 사업이 지난해 연간 규모에 육박하는 매출을 올린 가운데 특수가스 수입 실적이 새롭게 더해진 결과다. 특수가스 부문은 상반기 137억원을 벌어들였다. 총 매출 중 44% 가량에 해당하는 규모다.
제이아이테크는 증권신고서에서 "최근 반기 실적은 신사업인 특수가스 부문 매출로 인해 가파르게 성장했다"며 "해외 기업으로부터 특수가스를 매입하여 특수가스 완성품 생산업체에 판매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제이아이테크는 지난 8월 러시아 업체와 우선독점공급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해당 업체는 러시아에서 유일한 공식 수출업체로 향후에도 특수가스 부문이 외형 성장에 기여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안준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주류 스마트오더 점검]데일리샷 김민욱 대표 "주류 이커머스 잠재력, 여전히 유효"
- 'A+' 오른 삼양식품, 조달 계획 없는 이유는
- 더핑크퐁컴퍼니, '손실 지속' 홍콩 자회사 매각
- 바이오비쥬, 공모 일정 연기…1분기 잠정 실적 반영
- [주류 스마트오더 점검]날개 단 편의점, 플랫폼과 '동반 성장' 가능할까
- 한세실업, 美 관세 대응 방안은
- [주류 스마트오더 점검]규제 개선으로 열린 시장, 트렌드 변화에 성장 주춤
- 인도시장 조준한 K뷰티…블리몽키즈 IPO 시동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 거점 베트남 '철퇴'…패션 OEM 불똥
- 더본코리아, '노랑통닭' 인수 포기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