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어, 연내 메가커피 투자금 전액 회수한다 유상감자로 지분 절반 이상 이미 정리, MOIC 2배 수준
최재혁 기자공개 2025-02-21 07:14:03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0일 14시1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모투자펀드 운용사(PEF) 프리미어파트너스(이하 프리미어)가 메가커피 운영사 '앤하우스'에 대한 투자금 전액을 연내 회수할 계획이다. 엑시트는 유상감자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지분 절반 이상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프리미어의 앤하수스 지분율이 17.74%로 감소했다. 2023년 초 우윤이 58.6%, 프리미어가 41.38% 지분을 보유했던 점을 감안할 때, 2년 만에 보유 지분의 절반 이상을 정리한 셈이다.
프리미어는 유상감자 방식으로 투자금을 회수했다. 앤하우스가 이익잉여금을 활용해 프리미어의 주식을 매입 후 소각하는 식이다. 프리미어는 연내 보유 지분 전량을 정리해 풀 엑시트에 나설 계획이다.
지난 2021년 프리미어는 전략적투자자(SI) 보라티알과 함께 앤하우스 지분 100%를 1400억원에 인수했다. 당시 프리미어는 2호 PE 펀드를 활용해 600억원 가량의 자금을 투입했다.
보라티알은 2015년 우윤에서 분할된 식품·식자재 수입 및 유통 사업부 모태다. 분할 이후 우윤은 보라물산으로 사명을 바꿨으며, 2018년 우윤파트너스로 변경했다가 지난해 우윤으로 고쳤다. 현재 김대영 보라티알 회장이 우윤 지분 59%, 김 회장의 아내가 40%를 보유하고 있다.
우윤과 프리미어는 특수목적법인(SPC) 엠지씨홀딩스를 세워 앤하우스를 인수했다. 이듬해 앤하우스가 100% 지배기업인 엠지씨홀딩스를 역합병하면서 우윤과 프리미어가 직접 앤하우스를 지배하게 됐다.
프리미어의 지분 정리는 2022년부터 진행됐다. 2023년 한 해 동안 앤하우스 총 주식의 7.58%를 정리한 데 이어, 지난해 추가로 16.06%를 회수했다. 앤하우스는 보유 자본금과 이익잉여금으로 유상감자를 진행해 프리미어의 지분을 회수했다.
배당금 등을 고려할 때 프리미어의 투자 원금 대비 회수금(MOIC)은 대략 두 배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엔하우스의 배당금은 지난해 502억원, 2022년 402억원, 2021년 188억원을 기록했다. 3년간 도합 1000억원이 넘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산일전기 상장 그후]이사회 구성원 확대했지만…내실·균형 '글쎄'
- [Company Watch]솔브레인, 원달러 상승 덕 '금융수익' 껑충
- [제노코 줌인]시장 지배력 강화로 인한 '경쟁제한성' 판단 관건
- [우리기술 사업 돋보기]연이은 해외 수주 낭보, 매출 규모 '껑충'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비이아이, 하반기 LMB 양산 돌입…2027년 IPO 계획
- [VC 투자기업]중고에서 길 찾은 트렌비…월 BEP로 생존력 증명
- [VC 투자기업]'위피·콰트' 엔라이즈, 흑자전환…"올해 글로벌 방점"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1000억 밸류 도전 미스터아빠, 1분기 매출 200억 달성
- 혁신산업펀드 출자 '흥행'…패자부활 전략 통했다
- 경남지역혁신펀드, 케이런벤처스 반전서사 쓸까
최재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프리미어, 바임 지분 10% 추가 확보…밸류 8300억 '껑충'
- 프리미어, PE 인력 잇단 파트너 승진…내부 분위기는 '미묘'
- [로이어 프로파일]개척자의 자격을 묻는다면, 반기일 지평 외국변호사
- [LP Radar]'기업투자 수익률 8%' 과기공, PEF 출자 보폭 넓힐까
- '한-일 합작 펀드 활용' 나우IB, 썬프로로시스템 2600억에 인수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코스닥 노리는 아이티켐, 수익성 본 궤도 올랐다
- '사상 최대 실적' 알스퀘어, 디지털 혁신 성과 가시화
- '3호 펀드 조성' VIG얼터너티브크레딧, 2300억 1차 클로징
- [thebell League Table]광장, 사업재편 자문 1위…김앤장 아성 무너뜨릴까
- [LP Radar]산은, 상반기 혁신성장펀드 위탁운용사 7곳 최종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