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주 BNK캐피탈 대표, 1년 연임…빈대인 회장과 동행 지속 안정 기조 속 재신임…리스크 관리 강화 전망
김보겸 기자공개 2025-02-18 10:55:13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7일 19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성주 BNK캐피탈 대표(사진)가 1년 연임에 성공했다.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 체제에서 재신임받으며 함께 임기를 이어가게 됐다. '2+1' 체제를 보장하며 안정을 추구하는 BNK금융의 인사 기조 뿐 아니라 김 대표의 안정적 실적도 재신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김 대표는 리스크 관리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BNK캐피탈의 내실 다지기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BNK금융, 김성주 대표 1년 연임 결정
BNK금융그룹은 17일 지주 자회사추천위원회(자추위)를 열고 BNK캐피탈 차기 대표 후보로 김성주 현 대표를 추천했다. 추가 임기는 1년이다. BNK캐피탈은 계열사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차기 대표이사 후보에 대한 면접을 실시한다. 이후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쳐 선임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김 대표의 연임은 어느 정도 예견된 수순이었다. BNK금융은 경영 연속성과 전문성 등을 위해 일반적으로 계열사 CEO들의 기본 임기를 2년 보장하고 연임 시 1년을 추가하는 '2+1'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전임자인 이상춘, 이두호 전 대표 역시 각각 6년씩 장기 임기를 수행한 바 있다.
김 대표의 재신임 배경에는 실적 회복도 한몫했다. BNK캐피탈은 2024년 130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전년(1118억원) 대비 16.3%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약 3배 증가한 257억원을 기록했다.
비은행 부문 내에서 BNK캐피탈의 입지는 더욱 확고해졌다. 지난해 BNK금융 비은행 계열사 중 유일하게 1000억원 이상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그룹 내에서는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에 이어 3위 자리를 유지했다. BNK금융 비은행 부문의 순이익 77%를 책임지며 그룹 내 핵심 자회사로 자리잡았다.
◇빈대인 회장과의 협력 지속…리스크 관리 주력
김 대표의 연임으로 빈대인 회장과의 협력 체제도 이어지게 됐다. 빈 회장은 2023년 3월 취임 이후 9개 계열사 대표를 모두 교체하며 경영진을 재편했으며 당시 김 대표를 BNK캐피탈 대표로 발탁했다. 두 사람은 빈 회장이 부산은행장으로 재직하던 시절부터 IB사업본부와 여신영업본부에서 함께 손발을 맞춰 왔다.
빈 회장의 임기가 내년 3월까지라는 점을 고려하면 BNK금융이 이번 인사에서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빈 회장은 안정을 선택했고 향후 1년간 김 대표와 동행하게 됐다.
BNK캐피탈은 김 대표 체제에서 부동산PF 부실 문제 등 리스크 관리를 안정적으로 진행할 전망이다. 현재 BNK캐피탈의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모두 3%대 수준으로 건전성 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김 대표는 BNK금융 그룹리스크부문장을 역임한 경험을 바탕으로 부동산PF 사후관리와 포트폴리오 재조정을 통해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IR Briefing]메리츠화재, CSM 성과에 최대실적 또 경신..."올해 더 좋다"
- [이사회 분석]KB금융 이사회, 최소한의 교체로 '안정' 이어간다
- [2025 금감원 정책기조]'일류감독'의 꿈…금감원 쇄신은 계속된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방성빈 행장·김성주 대표 연임, 회장 후계 구도 짜여졌다
- [2025 금감원 정책기조]금융업권 제도 정비…‘제2의 티메프’ 막는다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배당잔치 옛말…부진한 경영실적에 현금배당 중단
- [thebell interview]"M캐피탈, 새마을금고와 시너지 통한 성장 나선다"
- [금융권 AI 빅뱅과 리스크]KB국민카드, AI 혁신 속 보안 강화…정보유출 악몽 씻는다
- [베테랑 사외이사 열전]경영과 정계 섭렵…김주성 한화손보 이사의 노익장
- [thebell interview]이준수 금융연수원장 "내공있는 이사가 빛 발한다"
김보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금감원 정책기조]'일류감독'의 꿈…금감원 쇄신은 계속된다
- [2025 금감원 정책기조]금융업권 제도 정비…‘제2의 티메프’ 막는다
- [thebell note]'1등 삼성' 자존심 지킨 삼성카드, 전략 변화할까?
- [금융권 AI 빅뱅과 리스크]KB국민카드, AI 혁신 속 보안 강화…정보유출 악몽 씻는다
- '은행권 내부통제' 강조한 이복현…"단기 성과주의 용납 안 돼"
- [2025 금감원 정책기조]금감원의 3월 과제는 '불법공매도 차단, ATS 정착'
- [2025 금감원 정책기조]저축·인터넷은행에 당근 제시…취약계층 돈맥경화 물꼬 튼다
- [2025 금감원 정책기조]GA 과당경쟁 제동…금감원, 보험업권 불완전판매 정조준
- NH저축은행, 흑자전환 성공…"리테일 경쟁력 강화 목표"
- 김성주 BNK캐피탈 대표, 1년 연임…빈대인 회장과 동행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