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뱅크, 흑자 전환 앞두고 기업대출 속도 조절 카카오뱅크, 기업여신 잔액 역전…건전성 지표 3%대 진입하자 부실자산 관리
김영은 기자공개 2024-12-04 13:28:32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3일 15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출범과 함께 소상공인 포용에 앞장섰던 토스뱅크가 최근 관련 대출을 줄이고 있다. 올해 들어 기업대출 연체율 및 부실여신 비중이 3%대를 넘어가자 속도 조절에 나섰다.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기업대출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카카오뱅크, 케이뱅크와는 상반된 모습이다.연간 흑자 전환은 무난히 달성 가능할 전망이다. 고객 기반 확대 및 여수신 잔액 성장으로 기초체력이 강화하며 분기당 2000억원에 가까운 이자손익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전월세담보대출 및 함께대출 등 여신 다각화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도 안정화 효과가 커지고 있다.
◇기업 여신 13.1% 감소…부실 관리 총력
토스뱅크 3분기 경영공시에 따르면 기업대출 잔액은 1조556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1조7915억원) 대비 13.1% 감소한 수치다. 토스뱅크는 올해 들어 기업대출 잔액을 감축하고 있다. 1분기 1조6995억원, 2분기 1조6345억원, 3분기 1조5560억원을 기록했다.

토스뱅크는 출범 이후 포용금융의 일환으로 소상공인 대출을 빠르게 확대했다. 햇살론뱅크, 사장님 대환대출 등의 상품을 선보이며 인터넷은행 3사 중 개인사업자대출 잔액 비중 및 규모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최근 토스뱅크가 기업대출 속도 조절에 나서자 카카오뱅크가 그 규모를 역전했다. 카카오뱅크의 3분기 기업대출 잔액은 1조6660억원으로 전년말(9495억원) 대비 75.5% 늘어났다. 케이뱅크는 같은 기간 1조474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악화한 영향이다. 상반기말 토스뱅크의 기업대출 연체율 및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각각 3.24%, 3.33%로 출범 이후 처음으로 3%대에 진입했다. 이에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은 전년 동기(2347억원) 대비 66% 증가한 3896억원을 기록했다.
다른 인터넷은행과의 성장 전략에도 차이가 감지된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그간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여신을 확대한 뒤 기업대출을 차기 성장 동력으로 삼았다. 두 은행은 기존의 개인사업자 대상 신용대출 및 보증서대출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담보 대출로 확대하고 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은행의 건전성을 지키면서도 지속가능한 포용 금융을 실천할 수 있도록 개인사업자 대출의 여신 상품을 넓혀나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천만 고객 돌파하자 분기당 2000억 규모 이자손익 지속
연간 흑자 전환 과제는 무난히 달성 가능할 전망이다. 토스뱅크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345억원으로 전년 동기(299억원 적자) 대비 흑자 전환했다. 분기 순이익은 100억원으로 현재 5분기 연속 흑자 실적을 내고 있다.
은행으로서 기초 체력이 강화한 만큼 일정 수준의 이자손익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3분기 누적 순이자손익은 5623억원으로 전년 동기(3918억원) 대비 43.5% 늘어났다. 1분기 1759억원, 2분기 1904억원, 3분기 1960억원을 기록했다.
여신상품의 다각화 전략을 통해 자산 안정성 제고 효과도 커지고 있다. 작년 9월 출시한 전월세보증금대출의 경우 잔액이 1조9572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여신 비중의 13%로 늘어났다. 또한 올 8월 광주은행과 출시한 '함께대출'은 3개월만에 2780억원을 신규 공급하는 성과를 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오스코텍 대표 교체, 주주갈등 2주만…이상현 CFO 선임
- 티몬 인수 ‘8부 능선’ 오아시스…'데이터·브랜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관세 유예'에도 국제유가 내림세…고민 커지는 정유사
- '최대 매출' LX판토스, 지분 더 늘린 LX인터 배당 '두둑'
- [i-point]DS단석, 콜마와 바이오디젤 제품 5만톤 공급 계약 체결
- 프레시지, 비용 구조 개선…디지털 전환 '성과'
- 구다이글로벌, '독도토너' 서린컴퍼니 품는다
- [금통위 POLL]4월 기준금리 동결 우세…'환율·금융안정' 부담 커졌다
- [i-point]아이티센그룹-경기혁신센터, '유니콘 브릿지' 참여 기업 모집
- '체코원전 수주' 대우건설,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통위 POLL]4월 기준금리 동결 우세…'환율·금융안정' 부담 커졌다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케이뱅크, 자본력 여전히 발목…IPO 열쇠는 '기업금융'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카카오뱅크, 지방은행과 다각도 협업 나서는 까닭
- 거대 양당 연이어 은행장 소집…관세 후폭풍 대응 논의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확장성 제한적인 지방은행, 인뱅에서 돌파구 찾는다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iM·농협 미얀마 법인, 나란히 순익 회복세…성장 전략은 상이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리테일 강자 된 인터넷은행…다음 타깃은 소호 금융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전북은행 PPCB, 포트폴리오 다변화 통했다…순익 '성장일로'
- [윤석열 대통령 탄핵]동력 잃은 금융 정책…백지화 가능성도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인터넷은행 도입 10년…지방은행 위협하는 순익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