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와이어리스, 수익성 악화 불구 배당성향 '역대 최고' 지난해 기록 갱신, '소액주주 달래기' 배경
최현서 기자공개 2025-02-06 07:51:07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5일 11시4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노와이어리스가 지난해보다 줄어든 올해 배당 계획을 발표했다. 주당 배당금과 배당 총액 모두 전년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2023년 대비 25% 수준으로 급감한 탓이다.다만 배당성향은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다. 최대주주인 LIG를 비롯한 특수관계자와 소액주주로 양분되는 주주 구성이 배경이 됐다. 최근까지 주가가 하락세였던 만큼 소액주주를 달래기 위해 주주 환원을 강화한 모습이다.
이노와이어리스는 이달 4일 올해 실시할 배당을 공시했다. 주당 배당금은 120원, 배당금 총액은 9억1246만원이다. 시가배당율은 0.6%다. 다음달 27일에 진행할 주주총회를 거쳐 배당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올해 배당 규모는 지난해보다 줄었다. 이노와이어리스는 지난해 주당 350원의 현금 배당을 실시했다. 배당 총액은 27억원 수준이다. 올해 지급 예정인 주당 배당금과 규모 모두 작년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당기순이익이 급격하게 줄어든 탓이다. 이노와이어리스는 지난해 연결 기준 28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전년(108억원) 대비 25.6% 수준이다.
일본 법인을 중심으로 한 해외 법인의 부진이 순이익 감소의 배경이 됐다. 해외 법인의 지난해 3분기 누적 순손실은 4억6554만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2023년 3분기 해외 법인의 누적 순이익 규모는 9억1066만원이었다. 인건비 등 고정 비용의 상승도 순이익 감소에 영향을 끼쳤다.
다만 배당성향은 증가했다. 올해 이노와이어리스의 배당성향은 32.86%로 역대 최고치다. 종전 최고 기록이었던 지난해(24.5%)보다도 약 8%p 가량 높다.
이노와이어리스의 주주 구성이 배당성향의 증가 배경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노와이어리스의 최대주주는 LIG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이노와이어리스 지분 30%(228만1154주)를 보유하고 있다. 이수영 LIG시스템 기타비상무이사(5000주, 0.07%)와 곽영수 이노와이어리스 대표(4800주, 0.06%) 등 7명으로 이뤄진 특수관계자 지분은 총 30.19%다.
소액주주의 보유 지분은 같은 기간 기준 66.12%(502만8008주)다. 특수관계자와 소액주주 지분율을 합치면 96.31%에 이른다. 이노와이어리스의 주주 구성은 사실상 특수관계자와 소액주주로 양분되는 셈이다.
주가에 민감한 소액주주를 달래기 위해서라도 배당성향을 높여야 했다. 지난해 4월부터 이노와이어리스 주식은 우하향하기 시작했다. 그해 4월 이노와이어리스의 평균가는 2만7648원이었지만 통신장비 업황이 어두운 탓에 6개월 연속 평균가가 하락했다. 지난해 9월 평균가는 1만6464원까지 떨어졌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이노와이어리스의 주가는 상승세로 반전됐다. 적극적인 망 투자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직전인 지난해 10월 말부터 상승세가 시작됐다. 지난달 이노와이어리스의 평균가는 2만957원으로 올라섰지만 아직 작년 초 수준까지 회복하진 못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 이노와이어리스, 영업익 77% 급감·해외 법인 부진 '골치'
- 이노와이어리스, '자본잠식' 큐셀네트웍스 합병
- 이노와이어리스 스몰셀 자회사 큐셀네트웍스 '자본잠식'
- 원재료 공시 바꾼 이노와이어리스, 매출 구조 '변화 감지'
- 이노와이어리스, 성난 개미 달래기 '배당성향 20%'
- 바닥 향하는 이노와이어리스 주가 '해뜰날 언제쯤'
- 이노와이어리스, '지는 해' 통신 '뜨는 해' 전장
- '아메리칸 드림' 품은 이노와이어리스, LIG 신사업 '첨병'
- 이노와이어리스 조상열 CFO 등판, LIG와 접점 찾기 '특명'
- '지주 자회사 3년차' 이노와이어리스, 사업확장 청사진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한컴라이프케어, 총기 제조사 베레타와 업무협약
- [i-point]라온시큐어-모니터랩, 손잡고 제로 트러스트 보안 사업 추진
- [SOOP을 움직이는 사람들]'터줏대감' 최동근 전무, 리브랜딩·글로벌 확장 기술 책임자
- [퀀텀점프 2025]'보안칩 강자' 아이씨티케이, 대량 양산체제 전환 임박
- 빨라지는 바이오노트 승계, 장녀로 넘어간 485억어치 지분
- [클리니컬 리포트]강스템, '오스카' 1년 안정성 확보…'유효기간 2배 연장'
- [thebell interview]씨어스테크놀로지의 SI 활용법, '글로벌·B2C' 진출 발판
- [제약바이오 시총분석]보릿고개 버틴 엔솔바이오, 몸값 3000억 안착 'P2K 기대감'
- 성장 기대감에 투자자 러브콜, 알테오젠 '할증 유증' 조달
- [엘케이켐 road to IPO]안정적 지배력 확보, 단계별 락업 설정 '눈길'
최현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김범수를 둘러싼 '공 2개의 핑퐁'
- 카카오, 오픈AI와 맞손 좋지만…모호해진 카나나 존재감
- 이노와이어리스, 수익성 악화 불구 배당성향 '역대 최고'
- [클라우드 키플레이어 MSP 점검]베스핀글로벌, IPO 달성 과제 '거버넌스 투명성' 확보
- 이노와이어리스, 영업익 77% 급감·해외 법인 부진 '골치'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2년만 수장 교체 'B2B 교통정리'
- [클라우드 키플레이어 MSP 점검]IPO 놓친 베스핀글로벌, 늘어난 비용 통제법 'AI 올인'
- [클라우드 키플레이어 MSP 점검] 베스핀글로벌, 가파른 성장에 가려진 저조한 수익성
- 쏠리드, 트럼프 네트워크 투자 확대 소식에 '주가 훈풍'
- [안랩 30년의 명암]늘어난 배당금, 창업주 '곳간 채우기'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