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내부통제 리뉴얼]부정대출 사태 반년, '내부통제 기준' 다시 세운다①2달간 구상한 쇄신안, 4달 만에 본궤도 안착…은행권 모범기준 정립 기대
최필우 기자공개 2025-02-19 12:28:57
[편집자주]
우리금융 전임 회장 친인척 부정 대출이 수면 위로 드러난 지 반년이 지났다. 금융 당국이 관련 검사 수위를 높이고 대대적인 개혁을 요구하면서 은행권 전반에 경종을 울리는 사건이 됐다. 쇄신 선두에 서게 된 우리금융의 행보에 따라 은행권 내부통제 기준이 다시 세워지는 셈이다. 임종룡 회장을 필두로 우리금융은 반년간 어떤 노력을 기울여왔을까. 우리금융이 리뉴얼한 내부통제 시스템과 이정표를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7일 15시1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 전임 회장 친인척 부정 대출 사태가 일단락 수순에 접어들고 있다. 부정 대출이 수면 위로 드러난 지 반년 만에 금융감독원 정기검사 결과가 나오면서다. 우리금융은 그간 금융 당국 검사에 협조하는 동시에 임종룡 회장을 필두로 강도 높은 쇄신안을 마련해 이행해왔다.후속 조치를 통한 내부 수습 뿐만 아니라 은행권 모범이 되는 내부통제 기준 재정립이 우리금융의 목표다. 임 회장이 공언한 내부통제 쇄신 방안이 대부분 본궤도에 안착한 상태다. 시스템 보완에 그치지 않고 그룹 차원의 조직 문화를 전반적으로 개선하는 게 임 회장의 과제로 남아 있다.
◇당국 교감 끝 마련된 '파격 쇄신안', 윤리내부통제위 설치만 남았다
임 회장이 부정 대출 사건을 최초로 인식한 시점은 지난해 3월이다. 1차 보고를 받은 뒤 자세한 정황 파악을 위해 추가적인 검사를 지시했다. 우리금융 차원의 사태 파악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은 2024년 6월, 제보를 받은 금감원이 검사에 나섰고 결과를 8월 11일 공개하면서 부정 대출이 외부에도 알려지게 됐다.

이 때부터 임 회장과 우리금융은 숨가쁜 일정을 소화해야 했다. 자체적인 조사로 해결 방안을 도출하려 했던 당초 계획과 달리 주도권을 잡은 금융 당국의 속도에 맞춰 검사에 응하고 자구책도 마련해야 했기 때문이다. 금감원이 부정 대출 실태를 밝힌 지 하루 만인 2024년 8월 12일 임 회장은 긴급 임원회의를 소집하고 국민, 고객 대상 사과에 나섰다.
이후 두달간 임 회장은 잠행을 이어갔다. 대외 행보를 최소화하고 부정 대출 관련 후속 대책도 보안에 부쳤다. 이 기간 임 회장과 우리금융은 쇄신안 마련을 위해 금융 당국과 긴밀하게 소통한 것으로 전해진다. 사태 인지 시점부터 금감원 검사 착수 때까지 별다른 소통이 없었던 탓에 은폐 의혹을 받았던 것을 고려했다. 사후 대책 논의에서 만큼은 원활한 소통을 중시했다.
금융 당국과 논의 끝에 다듬어진 쇄신안은 2024년 10월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공개됐다. 사태가 불거진 지 2달 만이다. 임 회장은 △자회사 임원 사전 합의제 폐지 △그룹 임원 친인척 정보 관리 △윤리내부통제위원회·윤리경영실 신설 △여신감리부 본부 격상을 대책으로 내놓았다. 자회사 임원 인사권 축소는 본인의 특권 내려놓기라는 점에서, 친인척 정보관리와 윤리내부통제위원회는 기존 금융권에 없던 시도라는 점에서 파격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쇄신안 공개 후 4개월이 지난 현재 대부분 이행됐다. 2025년 정기 인사 및 조직 개편 과정에서 자회사 임원 인사가 그룹사 CEO 주도로 이뤄졌고, 여신감리부는 여신감리본부로 격상됐다. 윤리내부통제위원회는 다음달 정기 주주총회에서 신설될 예정이고 산하 조직인 윤리경영실이 먼저 출범한 상태다. 그룹 임원 친인척 정보를 등록해 관리하는 시스템은 지난달 23일 론칭했다.

◇연간 과제로 남아 있는 그룹사 동참 유도
우리금융은 쇄신안에서 공개하지 않은 대책도 적극 이행했다. 지난달 20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주도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활용해 임직원 윤리문화진단을 시행한 게 대표적이다. 지난달 15일 경영전략워크숍, 이달 5~11일 임 회장의 자회사 방문 일정에서도 윤리 경영과 내부통제에 초점을 맞췄다.
임 회장은 인사 차원에서도 쇄신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우리은행장을 새로 선임한 데 이어 12월 진행된 자회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계열사 CEO 6명 전원을 교체하며 쇄신에 방점을 찍었다. 우리은행장, 우리카드 대표 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계열사 CEO 임기를 1년으로 단축한 것도 내부통제 관련 책임 경영을 강조하려는 의도다. 지난해 12월 신설된 윤리경영실을 이끌 수장으로는 검사 출신 법조인을 선임하면서 강도 높은 내부통제를 예고했다.
임 회장은 반년 만에 시스템 정립과 인사로 우리금융을 수술대 위에 올려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본격적인 쇄신 이행은 올해 과제로 남아 있다. 새로운 시스템을 바탕으로 그룹 계열사와 구성원들의 윤리 경영 동참을 이끌어 내야 한다. 근본적인 조직 문화 개선 여부에 내부통제 리뉴얼 성패가 갈릴 전망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통상적으로는 연초에 성과주의를 강조하는 분위기인데 올해는 대부분의 조직이 내부통제 강화를 가장 우선적인 과제로 삼고 있다"며 "새로 갖춘 시스템이 의도대로 작동해 근본적인 조직 문화 개선으로 이어지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IR Briefing]메리츠화재, CSM 성과에 최대실적 또 경신..."올해 더 좋다"
- [이사회 분석]KB금융 이사회, 최소한의 교체로 '안정' 이어간다
- [2025 금감원 정책기조]'일류감독'의 꿈…금감원 쇄신은 계속된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방성빈 행장·김성주 대표 연임, 회장 후계 구도 짜여졌다
- [2025 금감원 정책기조]금융업권 제도 정비…‘제2의 티메프’ 막는다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배당잔치 옛말…부진한 경영실적에 현금배당 중단
- [thebell interview]"M캐피탈, 새마을금고와 시너지 통한 성장 나선다"
- [금융권 AI 빅뱅과 리스크]KB국민카드, AI 혁신 속 보안 강화…정보유출 악몽 씻는다
- [베테랑 사외이사 열전]경영과 정계 섭렵…김주성 한화손보 이사의 노익장
- [thebell interview]이준수 금융연수원장 "내공있는 이사가 빛 발한다"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NK금융 인사 풍향계]방성빈 행장·김성주 대표 연임, 회장 후계 구도 짜여졌다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BNK금융, 빈대인 회장 '주주친화 행보' 통했다
- [우리금융 내부통제 리뉴얼]부정대출 사태 반년, '내부통제 기준' 다시 세운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신용정보 대표에 경남은행 출신, 빈대인 회장 '탕평 인사'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하나금융, 빛발한 'RoRWA' 중심 관리 체계
- 김태한 경남은행 부행장보, 승진 2달 만에 행장 선임 '파격'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우리금융, 동양생명 인수에 달린 주가 레벨업 가능성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하나금융, '배당 확대→자사주 소각' 환원 중심축 이동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신한금융, 비은행 기여도에 '리딩금융 프리미엄' 달렸다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우리금융, 자본잉여금 활용 '비과세 배당' 꺼내든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