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배당 돋보기]DB손보, 안정적 자본관리 힘입어 DPS 확대 지속배당성향·시가배당률도 상승…향후 주주환원 중점은 초과자본 확보
강용규 기자공개 2025-02-13 09:56:39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1일 07시5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DB손해보험(DB손보)이 1년 사이 주당 배당금(DPS)을 대폭 확대했다. DPS 인상률이 이익 증가율을 웃돌아 배당성향이 높아졌음은 물론이고 시가배당률까지 높아졌다.DB손보는 자본적정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K-ICS비율, 킥스비율)의 관리를 전제로 중장기적으로 주주환원율을 35%까지 높이겠다는 주주환원정책을 추진 중이다. 향후 배당 등 주주환원 확대에 있어 안정적 자본관리가 실적 개선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DPS·배당성향·시가배당률 다 잡았다
DB손보는 2024년 결산배당으로 보통주 1주당 6800원, 총 4083억원을 현금배당하는 안건을 2025년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을 예정이다. 전년 대비 DPS가 1500원, 배당총액이 28.3%(901억원) 증가했다.
DB손보는 2021년 DPS가 3500원으로 당시 역대 최고액을 기록한 이후 3년 연속으로 DPS를 늘리며 최대 배당기록을 갱신 중이다. 게다가 2024년 결산배당의 DPS 인상액 1500원은 2021년의 1300원을 뛰어넘는 역대 가장 큰 폭이다.
DB손보는 2024년 연결기준 순이익 1조8609억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이를 기반으로 산출한 연결기준 배당성향은 21.9%다. 2023년 결산배당의 경우 DPS의 확대와는 별개로 배당성향이 전년도 28.1%에서 18.3%까지 낮아져 일말의 아쉬움을 남겼으나 2024년 결산배당에서 이를 다소 만회한 셈이다.
심지어 시가배당률도 2023년 5.6%에서 2024년 7%로 높아졌다. 배당안 결정 당시의 주가가 2023년 6만원대 후반에서 2024년 10만원대 초반까지 상승했음을 고려하면 배당을 향한 투자자들의 만족도가 충분히 높을 것으로 보인다.

◇배당 지속 확대 전제조건 '지급여력비율 관리'
이번 배당안 결정에 앞서 DB손보는 배당을 포함한 주주환원율을 중장기적으로 별도기준 35%까지 확대하겠다는 주주환원정책을 내놓았다. 이와 같은 정책을 중장기 자본정책과 연계해 추진할 계획이다.
DB손보의 중장기 자본정책은 킥스비율을 200~220% 사이에서 관리하고 이 적정 자본구간의 초과분을 주주환원과 신사업, 해외진출 등에 투자하는 것이다. DB손보는 2024년 3분기 말 기준 킥스비율이 228.8%로 집계됐다. 킥스비율 8.8%만큼의 초과자본이 있었다는 말이다.
이 기간 DB손보의 가용자본(지급여력금액)은 20조4964억원, 요구자본은 8조9590억원으로 초과자본은 7866억원이었다. 2024년 결산배당 총액인 4083억원은 이 중 52%에 해당한다. 연말 기준 킥스비율이 아직 집계되지 않기는 했으나 무·저해지보험 해지율 가정 변경 등 작년 말 결산부터 적용된 가이드라인을 고려해 여유분을 설정한 것으로 파악된다.
DB손보는 주주환원의 가장 큰 기반인 이익 창출능력이 우수한 보험사로 꼽힌다. 순이익 규모로만 따지면 손보업계에서 삼성화재에 이은 2위를 장기간 유지 중이며 장기보험 중심의 포트폴리오에 기반을 둔 보험부문의 이익 안정성도 높게 평가받는다.
이는 안정적 자본관리만 따라준다면 DB손보가 순조롭게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이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DB손보는 자본확충을 위해 4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 발행계획을 내놓는 등 연초부터 자본적정성을 면밀히 관리하겠다는 뜻을 보이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임재택 변심에 당황한 다올증권, 황준호 체제 이어지나
- 한투저축, 전찬우 대표 사실상 연임…쇄신보단 '안정'
- 삼성생명, 이사진 3명 교체...위원회 개편은 최소화
- 오우택 한투캐피탈 대표 재연임…부동산금융 의존도 해소 과제
- HB저축, 여신관리 인력 대거 승진…부실 관리 '사활'
- [NPL 플레이어 경쟁지도]대신·키움F&I, 은행계 발목잡힌 사이 증권계 '스퍼트'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KB금융, 사외이사 키워드 '소비자보호·여성'
- [은행권 신지형도]빛났던 신한은행, 리딩뱅크 수성 전략은
- DB손보, 당국 출신 사외이사 대체영입...내부통제 공백 없다
- 유화증권 8년만에 최대 배당, 오너가 몫도 늘었다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생명, 이사진 3명 교체...위원회 개편은 최소화
- DB손보, 당국 출신 사외이사 대체영입...내부통제 공백 없다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흥국화재, 신종자본증권 기대 효과 '제한적'인 이유
- [IBK기업은행 인사 풍향계]IBK연금보험 새 대표에 임문택 부행장, 변동성 관리 과제
- [KB금융 CEO 인사이트]정문철 KB라이프 대표 "질적 성장으로 고객 선택 받겠다"
- 조용일 현대해상 부회장이 남긴 말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한화생명, 뚜렷한 신종자본증권 선호 경향 이유는
- [이사회 분석]미래에셋생명, 현 이사진 1년 더...안정성 확보에 중점
- 흥국생명 새 대표에 KB손보 출신 김대현, 영업강화 '특명'
- 메트라이프, 300%대 고배당에도 자본관리 '이상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