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I저축, 리스크·리테일본부 임원 재배치 '완료' CRO, 서영훈 이사→김영근 상무로 교체…온라인사업부장에는 롯데카드 출신 박태수 이사
유정화 기자공개 2025-02-13 09:57:01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1일 11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BI저축은행이 리스크관리팀을 한 단계 격상한 실로 편제했다. 대표이사 직속 조직이다. 기업부동산본부장을 맡던 김영근 상무가 리스크관리실장을 맡게 됐다. 위험관리책임자(CRO) 업무도 겸직한다.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비율 개선이란 과제를 안게 됐다.박태수 전 롯데카드 리스크관리부문장을 온라인사업부장으로 선임했다. SBI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상품 총괄 브랜드인 바빌론을 확대해야 하는 역할을 맡았다. 리스크관리 전문가를 영입한 건 온라인 중금리 대출 확대와 건전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리스크관리팀, 대표이사 직속 '실'로 승격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5/02/11/20250211111024768.png)
1972년생인 김 상무는 에이신(EISHIN) 국제비즈니스대학교 국제비즈니스학 학사 학위를 밟았다. SBI저축은행에서 부동산여신심사부장, 심사실장, 기업부동산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부동산 대출 관리 경험이 많은 만큼 부실채권 정리를 통한 건전성 지표 관리를 중점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리스크관리실은 이번에 대표이사 직속으로 편제되면서 '실'로 승격했다. 기존에는 팀으로, 전략리스크관리실 내 전략기획팀, 미래비전팀과 함께 속해있었다. 리스크관리팀을 떼어낸 전략리스크관리실은 전략기획실로 명칭을 바꿨다.
전략기획실은 서영훈 이사가 이끄는 대신 CRO 역할은 김영근 상무에게 넘겨줬다. 경영전략본부에 속한 전략기획실은 △전략기획팀 △미래비전팀 등 2팀 체제로 이뤄졌다. 서 이사는 1977년생으로 경기대 회계학과를 졸업했다. 앞서 재무관리실장을 맡기도 했다.
김 상무는 리스크관리실장이자 CRO로서 올해 건전성 관리에 매진할 것으로 보인다. SBI저축은행의 지난해 9월 말 NPL비율은 6.34%로 전분기(6.83%) 보다 0.49%p 하락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도 4.76%에서 4.69%로 소폭 개선됐다. 다만 올해 시장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지표 관리는 큰 숙제로 남아 있다.
◇건전성 관리 기조 속 '바빌론' 영업 확대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5/02/11/20250211110948700.jpg)
리스크 관리 기조 하에 디지털 플랫폼 '바빌론'을 통해 자산 확대를 꾀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바빌론이란 SBI저축은행의 전체 신용대출 상품을 총괄하는 하나의 브랜드다. 중금리 신용대출을 위한 모바일 앱 또는 PC 웹페이지 등 디지털 플랫폼을 말한다. SBI저축은행은 지난해 바빌론을 개편하면서 영업 확대를 위한 포석을 마쳤다.
기존 온라인사업부장을 맡던 안호중 상무는 디지털금융본부장을 맡게 됐다. 디지털금융본부는 기존 리테일영업2본부에서 명칭이 바뀌었다. 리테일영업1본부는 리테일영업본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광호 이사는 연임에 성공하면서 올해도 디지털금융실장을 담당하게 됐다. 이외에 이번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김용현 이사와 신지용 이사가 각각 리테일콜렉션실장, 정보시스템실장을 맡게 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신한금융, 자사주 소각 통한 '오버행 불식' 진심 통했다
- '뜨거운 감자' 해약환급금준비금, 제도 개선 논의 다시 불붙나
- [IR Briefing]삼성화재, 전자 주식 매각액 배당에 활용키로
- [보험경영분석]삼성화재, 손보사 첫 '2조 클럽' 진입
- [2025 금감원 정책기조]"버티면 입찰가 하향" 강수 둔 이복현…부실PF 재구조화 박차
- [저축은행경영분석]IBK저축, 건전성 악화 끊었지만…적자 2배로
- SBI저축, 리스크·리테일본부 임원 재배치 '완료'
- [제4인터넷은행 풍향계]한국소호은행, 유진투자증권 참여 이끌어낸 배경은
- [보험사 배당 돋보기]DB손보, 안정적 자본관리 힘입어 DPS 확대 지속
- [이사회 분석]KB저축은행, 신한 출신 김지욱 사외이사 선임 배경은
유정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저축은행경영분석]IBK저축, 건전성 악화 끊었지만…적자 2배로
- SBI저축, 리스크·리테일본부 임원 재배치 '완료'
- [금융 人사이드]IBK저축, 새 CRO에 김동화…부동산PF 집중 '관리'
- [저축은행 생크션 리스크]내부통제 고삐 죈 웰컴저축, 5년간 징계 '0건'
- [저축은행 생크션 리스크]OK저축, 당국 '기관주의' 징계만 3번…재발 방지 만전
- [2025 금융권 신경영지도]OK금융, '미래디지털본부' 저축은행에 전면 배치
- [저축은행경영분석]신한저축, 업황 부진 속 빛난 '보증대출' 전략
- [여전사경영분석]삼성카드, 순익 1위 등극…배경엔 '리스크 관리'
- [여전사경영분석]우리카드, 독자결제망 덕 순익 급증…연체율 '진정세'
- [저축은행 생크션 리스크]'맏형' SBI저축, 최다 제재 저축은행 '불명예'